|
목차
책 앞에
1장 다만 나라를 구하고자 할 따름이다
법가 사상의 공간적 배경에 대하여
2장 문둥병자가 군주를 불쌍하게 여긴다
궁중 사회에 대하여
3장 죽은 전사의 고아가 밥을 빌어먹는다
한나라의 실정에 대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Yhf9mdwexLM
4장 지금 세상은 기력을 다툰다
법가 사상의 시대적 배경에 대하여
5장 늘 강할 수도 없고 늘 약할 수도 없다
법치를 주장하는 이유에 대하여
6장 주막의 개가 사나우면 술이 쉰다
중신에 대하여
7장 지사는 다리가 잘렸다고 울지 않는다
개혁의 어려움에 대하여
8장 허수아비가 백만이라도 강하다 할 수 없다
신뢰에 대하여
9장 한 사람만을 통하면 나라가 멸망한다
권력의 대기실에 대하여
10장 득이 되는 자가 도리어 비난받는다
한비자만의 설명 방식에 대하여
11장 옛것을 따르지도 법을 지키지도 않는다
역사에 대하여
12장 아들을 낳으면 축하하고 딸을 낳으면 죽인다
인간에 대하여
13장 꾸짖는 사람이 맛있는 국을 먹는다
군신 관계에 대하여
14장 먼 곳의 물로 가까운 곳의 불을 끌 수 없다
성인과 통치자에 대하여
15장 흙밥과 진흙국을 먹을 수는 없다
유가 사상에 대하여
16장 좀벌레가 많으면 나무가 부러진다
공과 사에 대하여
17장 겸허한 몸가짐을 보배로 삼는다
무위에 대하여
18장 지혜를 버림으로써 총명해진다
지혜를 모음에 대하여
19장 성인은 인민을 다스리지 않는다
술에 대하여
20장 바람의 힘을 타면 약한 화살도 멀리 간다
세에 대하여
21장 삶을 즐기지 못하면 존중받지 못한다
법에 대하여
22장 군생의 어지러움을 구해 천하의 화를 없앤다
구세지사의 다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