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日別(일별) 六十甲子(육십갑자)의 循環(순환) > | |||||||||||
甲子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壬子 |
癸丑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위의 표에서와 같이
甲子에서 출발하여 마지막인 癸亥로, 다시 乙丑으로 이어지며 다시 돌고돌아 丁亥로, 戊子에서 계해를 거쳐 다시 처음이라 할수있는 갑자로 끊임없는 순환을 하여 육십갑자가 이어지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이것이 순환이며 곧, 운기의 흐름이자 소통이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육십갑자의 순환은 매일 매일에 따라 한 단계씩 흐르며 이어지는 것입니다. 일진을 보는 방식은 이러한 순환되는 기운과 나 자신의 기운을 대조하고 살피는것입니다.
흔히,
오늘의 운세라 하여 자신의 일주천간(日干)과 살피고자하는 그날의 六十甲子만을 살피는 분들이 있을것입니다.
이것은 그릇된 생각이며 그만큼 찾고자하는 운을 덮어두는것과 같습니다. 설사 맞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이런 방식으로는 답을 찾지 못하게 되는것입니다.
3. 日辰(일진)을 살피기 전에 알아야 할것.
일진을 살피는 방법을 말하기 전에 몇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기운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의 기본이 되는 기운은 분명 日柱天干(일주천간)의 기운이 될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기운의 주체는 日干만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쉽게 從格인 사람은 오늘의 운을 일간의 기운과 그날의 일진을 살피는 것만으로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사람은 從格이 아니며, 身弱함과 身强함을 지니며, 저마다의 기운의 用神이 다르듯, 기운의 주체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자신의 기운을 살피되,
내 안에 담겨있는 강한 기운을 알아야 하는것이며, 동시에 弱하여 衰退(쇠퇴)되어있는 기운을 알아야만 하는것입니다.
사주를 들여다 볼 수록, 세분화 할수록 어려워지는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바른 日辰을 알기위해서는 나의 기운과 그 안에 담겨있는 나의 강한 기운, 또한 나의 약한 기운을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의 기운을 바로 보지 않고 단순히 日干의 기운만을 찾아 六十甲子와 대응시켜 들어오는 운을 살핀다면, 하루의 일진이 아니라 월운, 더 나아가서는 년운또한 제대로 살필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4. 日辰(일진)을 살피는 방법.
자신의 사주의 주체가 되는 日柱天干(일주천간)의 기운과 그에 따른 강함과 약함이 서려있는 기운을 바로 알았을때
비로서 그날의 기운을 바라볼 수가 있게 됩니다.
좀더 자세히 말한다면,
四柱는 네 기둥의 年柱, 月柱, 日柱, 時柱가 존재하는것입니다. 이 가운데에서 강함과 약함이 서려있는 기운을 찾아 그 기운이 육십갑자와 마주쳤을때 이때 일어나는 기운을 분별해 내는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日辰을 살핌에 있어 그날의 六十甲子의 기운과 자신의 사주에서의 年柱를 비교해 보는것입니다.
다시 그날의 육십갑자의 기운과 자신의 사주에서의 月柱를 비교해봅니다.
다시 그날의 육십갑자의 기운과 자신의 사주에서의 日柱를 비교해봅니다.
다시 그날의 육십갑자의 기운과 자신의 사주에서의 時柱를 비교해봅니다.
이처럼 각 柱(주)에 서려있는 힘과 그날의 기운을 맞춰봄으로서 오늘의 일진이 나에게 어떠한 힘으로 들어오게 되는지를 찾는 것입니다.
또한,
동시에 나의 사주에서의 强한 氣運과 그날의 기운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찾아야 함이며, 나의 사주에서의 弱한 氣運과 그날의 기운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찾아야 할것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나의 用神과 그날의 기운의 만남을 다시 분별해 본다면, 이로서 올바른 기운이 들어옴과 하루의 운수라 할수있는 일진의 바른 기운을 분별해 살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아래의 표는 그날의 기운을 비교해 볼수있는 일진의 한 예시가 될것입니다. 사주의 형태에 따라 기운의 크기와 강약이 달라질것이지만 비교하여 하루 하루를 체크해 보신다면 日辰의 변화또한 작게나마 알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十二支(십이지)와 自身의 支(지)가 만났을때의 기운의 예시 > | ||||||||||||
地支\자신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 | ◎ | ○ | △ | ◎ | ○ | X | △ | ◎ | △ | ○ | ○ |
丑 | ◎ | ○ | ○ | ○ | △ | ◎ | △ | X | ○ | ◎ | △ | ○ |
寅 | ○ | ○ | ○ | ○ | ○ | △ | ◎ | ○ | X | ○ | ◎ | ○ |
卯 | △ | ○ | ○ | ○ | △ | ○ | △ | ◎ | ○ | X | ◎ | ◎ |
辰 | ◎ | △ | ○ | △ | △ | ○ | ○ | ○ | ◎ | ◎ | X | ○ |
巳 | ○ | ◎ | △ | ○ | ○ | ○ | ○ | ○ | ○ | ◎ | ○ | X |
午 | X | △ | ◎ | △ | ○ | ○ | △ | ◎ | ○ | ○ | ◎ | ○ |
未 | △ | X | ○ | ◎ | ○ | ○ | ◎ | ○ | ○ | ○ | △ | ◎ |
申 | ◎ | ○ | X | ○ | ◎ | ○ | ○ | ○ | ○ | ○ | ○ | △ |
酉 |
△ | ◎ | ○ | X | ◎ | ◎ | ○ | ○ | ○ | △ | △ | ○ |
戌 |
○ | △ | ◎ | ◎ | X | ○ | ◎ | △ | ○ | △ | ○ | ○ |
亥 |
○ | ○ | ○ | ◎ | ○ | X | ○ | ◎ | △ | ○ | ○ | △ |
좋음(◎) 조금좋음(○) 조금나쁨(△) 나쁨(X) |
위의 표에서의 좋고 나쁨은 하나의 예시일 뿐입니다. 자신의 사주의 기운에 따라 그 상이 달라진다는것을 염두하고 살펴봐야 한다는것을 말씀드립니다. 명리학의 기초를 다루는 자리에서 日辰을 살피는것은 다소 어려움이 따릅니다. 그만큼 흔히 접하는 말이지만, 실상으로 매우 어려운것이 하루의 일진을 살펴보는 일인 것입니다. 더불어 그 사람에게있어서 일진의 좋고 나쁨을 論할 수 는 있지만, 엄밀히 살핀다면, 日辰은 月運의 지배하에 있는 것이며, 다시 年運의 그늘안에서 일어나는 일과 같은 것입니다. 의문이 많을 수 있지만, 하나하나 원인과 까닭을 찾아 가며 배움을 쫓으신다면 큰 깨달음을 얻으실 수 있을것입니다. 조금하지 말고 느긋한 자세로 차근차근 한자 한자 읽어보시며 命理의 眞髓를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
첫댓글 잘 알겠습니다. 더위에 건강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히 봤습니다.
용신으로만 일진을보는게아니네요.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Q(^.^Q)
감사합니다.
일진에 대하여 깊고 넓은 이미를 새롭게 깨우쳐 준데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