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일단 기본개념은 신뢰도는 해당검사가 반복시행되더라도 얼마나 일관성있는 검사결과를 산출하는가이고 타당도는 해당검사가 측정하고자하는 바를 측정하고 있는가 입니다. 즉 지능검사를 실시 했을 때 왕이뻐에게 1월에 측정하고 동일한 지능검사를 2월에 실시해도 측정값이 유사하다면 신뢰도가 있는 검사입니다. 타당도는 지능검사가 지능을 측정해야지 성격이나 흥미를 측정하면 안되겠지요. 이젠 궁금한 점이 하나 생깁니다. 그럼 그 검사가 신뢰도가 있고 타당도가 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지? 즉 비교 대상이 있어야 신뢰도높다 타당도가 낮다 등등을 평가할 수있지요 그래서 기존에 표준화된 검사와 비교하는것입니다.
단 ! 주의점 신뢰도는 기본개념에서 말씀드렸던것처럼 동일인 동일검사를 반복 시행에도 얼마나 일관성있는 검사 결과가 나오는가의 문제입니다. 다시말해 다른 기존의 평가받은 검사와 비교해서 신뢰도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평가가 이루어집니다. 검사-재검사, 동형검사 ,반분신뢰도검사, 내적합치도 등의 방법으로요
하지만 타당도의 기본개념은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잘 측정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기존의 다른 검증된 검사지와 비교 평가해야합니다. 질문에 올리신 동시타당도는 준거타당도의 한 방법입니다. 준거타당도는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준거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가의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수능점수 좋은 학생이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도 좋을 것이다라는 가정은 수능이 검사점수이고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가 준거점수가 됩니다. 즉 수능시험의 타당도가 높은지 낮은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성취도 평가라는 표준화된 검사를 통해서 확인이 되지요.
이렇게 검사점수와 준거점수까지의 상관을 분석하기 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것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검사가 동시타당도입니다. 위에 제시한 예는 예측타당도이고요. 동시타당도의 경우가 토익과 토플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토익이라는 새로운 검사지의 타당도 즉 영어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존에 표준화된 검사인 토플과의 상관을 내는것이지요. 토플점수는 이미 산출되어 있으니 토익만 산출하면 동시에 상관을 낼 수있으니 동시타당도 입니다.
너무 길어서 더 복잡하시지는 않으실런지 ?? 신뢰도와 타당도는 평가영역이 다른 부분이라 설명이 길어졌네요 ㅡㅡ! 작은 도움이라도 되셨다면 ..^^! 공부하다 졸려서 잠깐 들려갑니다.~ 막판까지 화이팅!!^^ re) 동형검사신뢰도는 신뢰도 검사하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재검사 하면 시간도 걸리고 변인통제가 안되고 하니까 동형의 검사지를 하나더 만들어서 동일인에게 시험끝나고 다시 바로 검사하게하는 방법입니다.
동형검사 신뢰도에서 두 개의 동형검사지를 모두 새로 만드는 게 쉽지 않습니다. 또한, 그렇개 두개를 새로 만들면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만 알수 있을뿐, 검사지가 "충분한 신뢰도를 갖고 있느냐?" 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죠! 그래서 통상적으로 하나는 기존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검사를 사용합니다. 아마 이 설명을 보신 것 같네요! 그리고 "동형" 과 "동시" 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쉬울거에요. "동형"은 형태가 같다는 말이고요, "동시" 라는 말은 "한꺼번에" 라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동시타당도" 는 준거관련 타당도의 하나로 검사점수와 특정 준거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한번에 측정하는 겁니다.
첫댓글 일단 기본개념은
신뢰도는 해당검사가 반복시행되더라도 얼마나 일관성있는 검사결과를 산출하는가이고
타당도는 해당검사가 측정하고자하는 바를 측정하고 있는가 입니다.
즉
지능검사를 실시 했을 때 왕이뻐에게 1월에 측정하고 동일한 지능검사를 2월에 실시해도 측정값이 유사하다면
신뢰도가 있는 검사입니다.
타당도는 지능검사가 지능을 측정해야지 성격이나 흥미를 측정하면 안되겠지요.
이젠 궁금한 점이 하나 생깁니다.
그럼 그 검사가 신뢰도가 있고 타당도가 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지?
즉 비교 대상이 있어야 신뢰도높다 타당도가 낮다 등등을 평가할 수있지요
그래서
기존에 표준화된 검사와 비교하는것입니다.
단 ! 주의점
신뢰도는 기본개념에서 말씀드렸던것처럼
동일인 동일검사를 반복 시행에도 얼마나 일관성있는 검사 결과가 나오는가의 문제입니다.
다시말해 다른 기존의 평가받은 검사와 비교해서 신뢰도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평가가 이루어집니다.
검사-재검사, 동형검사 ,반분신뢰도검사, 내적합치도 등의 방법으로요
하지만 타당도의 기본개념은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잘 측정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기존의 다른 검증된 검사지와 비교 평가해야합니다.
질문에 올리신 동시타당도는 준거타당도의 한 방법입니다.
준거타당도는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준거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가의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수능점수 좋은 학생이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도 좋을 것이다라는 가정은
수능이 검사점수이고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가 준거점수가 됩니다.
즉 수능시험의 타당도가 높은지 낮은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성취도 평가라는
표준화된 검사를 통해서 확인이 되지요.
이렇게 검사점수와 준거점수까지의 상관을 분석하기 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것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검사가 동시타당도입니다. 위에 제시한 예는 예측타당도이고요.
동시타당도의 경우가 토익과 토플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토익이라는 새로운 검사지의 타당도
즉 영어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존에 표준화된 검사인 토플과의 상관을 내는것이지요.
토플점수는 이미 산출되어 있으니 토익만 산출하면 동시에 상관을 낼 수있으니 동시타당도 입니다.
너무 길어서 더 복잡하시지는 않으실런지 ??
신뢰도와 타당도는 평가영역이 다른 부분이라 설명이 길어졌네요 ㅡㅡ!
작은 도움이라도 되셨다면 ..^^!
공부하다 졸려서 잠깐 들려갑니다.~ 막판까지 화이팅!!^^
re) 동형검사신뢰도는 신뢰도 검사하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재검사 하면 시간도 걸리고 변인통제가 안되고 하니까
동형의 검사지를 하나더 만들어서 동일인에게 시험끝나고 다시 바로 검사하게하는 방법입니다.
아니요... 그동안 배웠던 것을 정리해주신것을 보니 확인이 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동형검사에 동형의 검사라는 것을 두 검사를 비교하는 것으로 설명하면서 동시타당도때처럼 기존의 검사지 새로운 검사지로 설명한 것을 보았기 때문에 헷갈려서요.
감사합니다.
이런분들과 경쟁하는겁니까? 제가....깨갱~
이미 붙으신 분이겠지요.^^
동형검사 신뢰도에서 두 개의 동형검사지를 모두 새로 만드는 게 쉽지 않습니다. 또한, 그렇개 두개를 새로 만들면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만 알수 있을뿐, 검사지가 "충분한 신뢰도를 갖고 있느냐?" 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죠! 그래서 통상적으로 하나는 기존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검사를 사용합니다. 아마 이 설명을 보신 것 같네요! 그리고 "동형" 과 "동시" 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쉬울거에요. "동형"은 형태가 같다는 말이고요, "동시" 라는 말은 "한꺼번에" 라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동시타당도" 는 준거관련 타당도의 하나로 검사점수와 특정 준거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한번에 측정하는 겁니다.
도움이 되셨다닌 기분이 좋아요~^^ 저두 일욜에 2차 봐요 직상사님도 한방에 합격 기원합니다. ! ~~
점 점 촉박해오는 이 리프팅긴장 ㅎㅎ 아자아자 화이팅!!
트리어스님 함께해요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