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직업상담사[합격]공식카페[No.1]직업상담사2급,직업상담사1급
 
 
 
카페 게시글
모음[10]질문답변 동시타당도와 동형검사신뢰도
직상사! 추천 0 조회 205 12.04.20 21:54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04.20 23:06

    첫댓글 일단 기본개념은
    신뢰도는 해당검사가 반복시행되더라도 얼마나 일관성있는 검사결과를 산출하는가이고
    타당도는 해당검사가 측정하고자하는 바를 측정하고 있는가 입니다.

    지능검사를 실시 했을 때 왕이뻐에게 1월에 측정하고 동일한 지능검사를 2월에 실시해도 측정값이 유사하다면
    신뢰도가 있는 검사입니다.
    타당도는 지능검사가 지능을 측정해야지 성격이나 흥미를 측정하면 안되겠지요.
    이젠 궁금한 점이 하나 생깁니다.
    그럼 그 검사가 신뢰도가 있고 타당도가 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지?
    즉 비교 대상이 있어야 신뢰도높다 타당도가 낮다 등등을 평가할 수있지요
    그래서
    기존에 표준화된 검사와 비교하는것입니다.

  • 12.04.20 23:07

    단 ! 주의점
    신뢰도는 기본개념에서 말씀드렸던것처럼
    동일인 동일검사를 반복 시행에도 얼마나 일관성있는 검사 결과가 나오는가의 문제입니다.
    다시말해 다른 기존의 평가받은 검사와 비교해서 신뢰도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평가가 이루어집니다.
    검사-재검사, 동형검사 ,반분신뢰도검사, 내적합치도 등의 방법으로요

  • 12.04.20 23:08

    하지만 타당도의 기본개념은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잘 측정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기존의 다른 검증된 검사지와 비교 평가해야합니다.
    질문에 올리신 동시타당도는 준거타당도의 한 방법입니다.
    준거타당도는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준거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가의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수능점수 좋은 학생이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도 좋을 것이다라는 가정은
    수능이 검사점수이고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가 준거점수가 됩니다.
    즉 수능시험의 타당도가 높은지 낮은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성취도 평가라는
    표준화된 검사를 통해서 확인이 되지요.

  • 12.04.20 23:12

    이렇게 검사점수와 준거점수까지의 상관을 분석하기 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것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검사가 동시타당도입니다. 위에 제시한 예는 예측타당도이고요.
    동시타당도의 경우가 토익과 토플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토익이라는 새로운 검사지의 타당도
    즉 영어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존에 표준화된 검사인 토플과의 상관을 내는것이지요.
    토플점수는 이미 산출되어 있으니 토익만 산출하면 동시에 상관을 낼 수있으니 동시타당도 입니다.

  • 12.04.20 23:13

    너무 길어서 더 복잡하시지는 않으실런지 ??
    신뢰도와 타당도는 평가영역이 다른 부분이라 설명이 길어졌네요 ㅡㅡ!
    작은 도움이라도 되셨다면 ..^^!
    공부하다 졸려서 잠깐 들려갑니다.~ 막판까지 화이팅!!^^
    re) 동형검사신뢰도는 신뢰도 검사하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재검사 하면 시간도 걸리고 변인통제가 안되고 하니까
    동형의 검사지를 하나더 만들어서 동일인에게 시험끝나고 다시 바로 검사하게하는 방법입니다.

  • 작성자 12.04.20 23:11

    아니요... 그동안 배웠던 것을 정리해주신것을 보니 확인이 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동형검사에 동형의 검사라는 것을 두 검사를 비교하는 것으로 설명하면서 동시타당도때처럼 기존의 검사지 새로운 검사지로 설명한 것을 보았기 때문에 헷갈려서요.

    감사합니다.

    이런분들과 경쟁하는겁니까? 제가....깨갱~
    이미 붙으신 분이겠지요.^^

  • 12.04.21 13:49

    동형검사 신뢰도에서 두 개의 동형검사지를 모두 새로 만드는 게 쉽지 않습니다. 또한, 그렇개 두개를 새로 만들면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만 알수 있을뿐, 검사지가 "충분한 신뢰도를 갖고 있느냐?" 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죠! 그래서 통상적으로 하나는 기존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검사를 사용합니다. 아마 이 설명을 보신 것 같네요! 그리고 "동형" 과 "동시" 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쉬울거에요. "동형"은 형태가 같다는 말이고요, "동시" 라는 말은 "한꺼번에" 라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동시타당도" 는 준거관련 타당도의 하나로 검사점수와 특정 준거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한번에 측정하는 겁니다.

  • 12.04.21 01:06

    도움이 되셨다닌 기분이 좋아요~^^ 저두 일욜에 2차 봐요 직상사님도 한방에 합격 기원합니다. ! ~~
    점 점 촉박해오는 이 리프팅긴장 ㅎㅎ 아자아자 화이팅!!

  • 작성자 12.04.21 17:14

    트리어스님 함께해요님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