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 도시형 한옥들로 형성된 전주 한옥마을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부촌이었다. 문화연필, 백양메리야쓰 같은 유명 기업이 한옥마을에 자리했다. 문화연필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생긴 연필 공장으로 1949년 전주시 완산구 교동 79번지에서 창업하여 1978년 팔복동으로 이전하기까지 한옥마을에 자리했으며, 1950년대 이후 내의류업체 BYC의 옛 상표인 백양메리야쓰를 제조하던 생산시설이 1980년대까지 이곳 한옥마을에 위치했다.
그러나 제조업이 도심 외곽으로 이전하고, 점차 주거 환경이 변화하면서 한옥마을은 퇴락하기 시작하였다. 1977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되면서 한옥은 보존될 수 있었지만 마을은 급격히 공동화(空洞化)되기 시작했다. 집이 무너져도 마음대로 손을 댈 수 없는 극심한 규제 속에 주민 반발이 높아졌다. 1987년 전주시는 한옥보존지구를 ‘제4종 미관지구’로 변경하고 건축규제를 완화했다. 10년 후인 1997년, 미관지구가 폐지되면서 법적 규제가 사라짐에 따라, 양옥이 다수 들어섰다. 그러나 건설경기불황과 IMF 여파로 신규 가옥이 많이 지어지지는 않아, 크게 훼손되지 않고 지금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
1996년 대한민국이 한일월드컵을 유치하고 이듬해 전주가 개최도시로 선정되면서 한옥마을은 다시 한 번 꿈틀거린다. 한옥마을 보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99년 전통문화특구 기본 및 사업계획이 작성되었다. 세계인이 전주를 찾아올 때를 대비해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보여줌으로써 전통문화도시 전주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자는 의도였다. 보기 좋은 한옥들과 다양한 체험시설이 늘어나고 은행로에 실개천이 놓이는 등 크고 작은 변화를 거치면서 전주 한옥마을은 오늘에 이르렀다.
2010년 전주는 국제슬로시티연맹으로부터 세계 최초 도시형 국제슬로시티로 선정되었고, 2016년 재지정되었다. 또한 2012년 유네스코 음식 창의 도시로 선정되었고, 2016년 론리플래닛이 선정한 ‘1년 안에 가봐야 할 아시아 10대 명소’에 3위로 선정되었다. 이에 발맞추어 전주한옥마을은 2014년 이후 해마다 국내 관광지 최상위에 올랐다. 전주한옥마을은 국제적인 문화관광의 명소가 되어 한 해 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녀가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 국제적인 문화관광명소가 되었다
무성서원
10월6일(日) 07시 출발 광장 분수대앞
▣ 가는곳:
▶ 정읍시 산내면 청정로926-79 (매죽리571) 옥정호 구절초꽃동산
☎063)536-6171~3
▶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44-12 (무성리500) 무성서원
(시간적 여유가 없을때 생략)
☎063)531-1022
▶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99 (풍남동3가64-1) 전주한옥마을
☎063)538-9388
▣ 테마탐방 및 둘러보기:
▶ 가을동화속 구절초꽃동산 테마탐방
● 제1주차장(3.4.5)- 유색벼 아트경관- 구절초 풍경산책로- 구절폭포- 돌담길-
코스모스.해바라기 경관지- 징검다리- 망경대(출렁다리,전망대)- 호변구절초길
- 메인광장- 제1주차장(3.4.5) 원점회귀 (7km 3시간 소요)
▶ 무성서원(유네스코 등재) 둘러보기 (20분 소요)
▶ 전주한옥마을 둘러보기
정차대- 경찰기마대- 경기전- 전동성당- 풍남문- (유턴)- 문조집(좌회전)-
하루일기(우회전)- 전주소리문화관(우회전)- 정차대
원점회귀 (3.6km 1시간40분 소요)
▣ 참가비 : 30,000원 (입장료 5천원 회원부담, 토큰 3천원 회원사용)
신청후 352-0851-9323-13 농협 김대웅 입금
(입금순: 카페에 신청 댓글을 달고 5일내에 입금치 않으면
운영진에서 삭제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17.11.28변경
▣ 준비물 : 개인장비, 우의, 행동식, 카메라, 식수, 여벌옷
개인 약, 반찬(2~3가지)
(아침: 생수와 간식 제공, 중식: 밥만 제공)
▣ 산행신청방법
다음 카페, 서산 산사모 등산안내/신청방 꼬릿말에 신청하세요.
☞ 산행& 탐방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질병에 의한 발병 등은 본인책임으로
사전 해당보험에 가입하거나 질병에 대한 대비를 강구하기 바람
산 사 모 회 장 김 대 웅 (☎ 010-5426-0186)
사무국장 맹 범 영 (☎ 010-5404-6600)
감 사 박 상 의 (☎ 010-4421-2912)
등반대장 김 동 석 (☎ 010-5406-6280)
등반대장 김 한 중 (☎ 010-9599-0658)
|
첫댓글 김근덕, 김대웅, 김은자 신청합니다.
강경화신청요.
이은자 신청합니다
가재태 같이 가요
이순석부부, 차애석부부 신청합니다
황의복, 이용우부부 신청합니다.
김기종외 1명 같이가요
유동림 신청해요
박병호 부부 신청합니다
이영숙 신청합니다
이영숙 박용녀(수란) 성진숙 허선우
성진숙 허선우 취소 한답니다. 죄송합니다
한향순 부부 접수했습니다
김영애님, 김춘환님 신청합니다
이연옥씨 같이 갑니다
이영지 부부 신청합니다
김묘제 신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