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진 국악인 및 국악단체 활동기반 조성은 물론 흥미있는 프로그램으로 시민과 함께하는『우리가락 우리마당 전통예술 야외상설공연』의 성공적 추진을 위하여 시민홍보를 통한 참여 유도 |
❍ 기 간 : 2008. 5. 17(토) ~ 9. 7(일) 매주 토요일 19:00 / 5개월(25회)
― 개막제(‘08. 5. 17 19:00), 폐막제(’08. 9. 7 19:30)
․ 상설공연 : “해설이 있는 전통예술” / 5. 17 ~ 9. 7
․ 집중공연 : 한 여름밤의 국악한마당 “신명의 바다 신명의 하늘” / 7. 25 ~ 8. 2(월요일제외)
․ 폐막축제 : 가을 국악 한마당 축제 “달아 높이곰 솟아라! ”/ 9. 5 ~ 9. 7
❍ 장 소 : 대전시립미술관 잔디광장
❍ 주 최 : 대전광역시, 문화체육관광부
❍ 주 관 : 민족예술단 우금치(대표 류기형)
❍ 공연내용 : 체험마당, 본마당, 뒤풀이
❍ 주요프로그램
― 개막제 “하늘울림 땅울림”
․체험마당(나도 예술가), 본마당(의식무, 소리, 무용, 모듬 북, 국악), 뒤풀이(풍물)
― 해설이 있는 전통예술공연 : 신진국악인 공연 / 15회 이상
․체험마당(나도 예술가)
․본마당(소리, 전통극, 무용, 정가, 국악, 한국의 미, 마당극), 뒤풀이
― 명인․명창 한마당 : 전문예술인 중심 / 10회 이상
․무형문화재 초청공연
: 홍성 결성농요, 박첨지 놀이, 앉은 굿, 법우스님 승무, 한자이 정가,
웃다리 농악, 줄타기 등
․춤 공연 : 백제탈춤, 창작탈춤 미얄, 정은혜 무용단, 시립무용단 등
․음악공연
: 왕기석 명창, 국립창극단, 조영제․이규호 명창, 실내악단 모리, 뉴던,
연정국악연주단, 풍물패 소리마당, 금송가야금 연주단 등
우리가락 우리마당 세부 프로그램
ꊱ 개막제 “하늘울림, 땅울림” : ‘08. 5. 17(토) 17:00
구 분 |
공연 내용 |
프 로 그 램 / 내 용 |
체험 마당
“나도 예술가” |
기악 /사물 (20‘-30’) |
살아 숨쉬는 풍류체험(한지인형의 국악 연주) ㅇ한지인형인 듯한 국악연주자가 나무아래 준비된 1인·2인 무대위에서 아쟁, 대금, 피리, 거문고, 가야금 등 선율악기를 독주 또는 합주 등을 해낸다. 우리 음악을 가까이에서 느끼고 쉽게 설명을 듣는 시간을 갖는다.
ㅇ우리 악기 사물의 용도와 의미를 이해하고, 직접 연주도 해 보며 기본적인 가락을 배워보는 시간을 갖는다. 아이들 중에 잘하는 아이들을 본마당의 ‘함께 하는 프로그램’에서 직접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본다.
ㅇ본마당의 농요, 민요를 배워보고 함께 부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우리 음악적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전통예술 공연에 참여하여 전통예술이 쉽고 우리의 언어로 체득할 수 있는 고유의 예술임을 이해한다 |
본 마당 |
의식무 (15‘) |
고천의식무_우리전통예술의 뿌리 ㅇ전통예술야외상설공연의 시작을 하늘에 알리고, 땅에 알리는 의식무로 고사와 풍물이 어울러져 신명을 불러 일으키고, 전통예술야외상설공연 - 우리가락 우리마당의 성공을 기원하는 의식으로 전래 제천의식의 원형을 복원 ㅇ판씨음, 고천의식무, 고천문 낭독, 씻김무 등 풍물과 춤으로 어우러지는 신성하고, 신비스런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
소 리 (10‘) |
일 노래, 삶의 노래(농요 / 노동요 공연) ㅇ수집과 채록과정을 통해 획득 된, 잊혀져가는 충청도지방의 노동요, 농요, 장례의식요, 세시민요를 전문 국악인의 소리로 신명나게 재창조한 소리공연 | |
무 용 (15‘)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춤판) ㅇ고전무용(살풀이, 승무, 소고춤, 북춤)과 창작무용이 함께 추어지며 춤사위와 춤에 대한 해설이 함께하는 신명의 춤판. | |
하 늘 울 림 (모듬북) (15‘) |
하늘울림, 땅울림(신명의 모듬북) ㅇ모듬북을 통하여 전통예술야외상설공연의 시작을 장엄하게 알리고 웅장한 북소리와 사물악기의 조화로서 상설공연의 성공을 기원한다. 모듬북의 신명과 화려한 무대가 어울러져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 |
국 악 (20‘) |
꽃, 나무, 풀,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 ㅇ판소리와 기악, 국악실내악, 퓨전국악이 함께하는 국악공연 ㅇ다양한 장르의 크로스 오버 공연과 타악 실내악의 만남, 서양악기와 국악기의 만남, 판소리와 기악의 만남 등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한다. | |
뒤풀이 |
대 동 마 당 (20‘) |
풀어헤치는 신명의 난장(대동놀이) ㅇ풍물패와 소리꾼, 춤꾼 등 전 출연진과 관객이 함께 강강술래, 소지행사를 하며 대동놀이를 하며 끝을 맺는 종야 굿 |
ꊲ 신진예술가 중심 “해설이 있는 전통예술” / 15회 이상 출연
구 분 |
공연 내용 |
프 로 그 램 / 내 용 |
체험 마당
“나도 예술가” |
기악 /사물 (20‘-30’) |
살아 숨쉬는 풍류체험(한지인형의 국악 연주) ㅇ한지인형인 듯한 국악연주자가 나무아래 준비된 1인·2인 무대위에서 아쟁, 대금, 피리, 거문고, 가야금 등 선율악기를 독주 또는 합주 등을 해낸다. 우리 음악을 가까이에서 느끼고 쉽게 설명도 듣는 시간을 갖는다. ㅇ우리 악기 사물의 용도와 의미를 이해하고, 직접 연주도 해 보고 기본적인 가락을 배워보는 시간을 갖는다. 아이들 중에 잘하는 아이들을 본마당의 함께 하는 프로그램에서 직접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본다. ㅇ본마당의 농요, 민요를 배워보고 함께 부르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우리 음악적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전통예술 공연에 참여함으로써 전통예술이 쉽고 우리의 언어로서 체득할 수 있는 고유의 예술임을 이해토록 한다. |
본마당 |
소 리 (10‘) |
일 노래, 삶의 노래(농요 / 노동요 공연) ㅇ수집과 채록과정을 통해 얻어진, 잊혀져가는 충청도지방의 노동요, 농요, 장례의식요, 세시민요를 전문 국악인의 소리로 신명나게 재 창조한 소리공연 |
전통극 (15‘) |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 신화 이야기 (전통극) ㅇ할머니가 등장하여 나무와 흙, 별에 관련된 전통신화, 민담, 설화를 들려주며 자연스럽게 마당극으로 연결된다
악·가·무로 풀어내는 옛날이야기(표현극) ㅇ다양한 소품과 악기를 부가물로 하여 배우가 등장하여 옛날이야기를 우리 몸짓과 소리, 악기로 풀어내고, 그것을 형상화하는 우리만의 독특한 전통극을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 | |
무 용 (15‘)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우리 춤(춤판) ㅇ고전무용(살풀이, 승무, 소고춤, 북춤)과 창작무용이 함께 추어지며 춤사위와 춤에 대한 해설이 함께하는 신명의 춤판. | |
정 가 (10‘) |
마음에 흐르는 하늘 소리(해설이 있는 정가공연) ㅇ예로부터 전해지며 우리의 마음을 씻어주던 시조, 한시 등이 해설과 함께 소개되며 정가로 불려진다. ㅇ정통 정가와 더불어 현대적 어법으로 쉽게 가사를 이해할 수 있는 현대의 창작 정가를 함께 배치하여 자칫 지루하고 재미없게 느낄 수 있는 고전정가를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국 악 (20‘) |
꽃, 나무, 풀,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 ㅇ판소리와 기악, 국악실내악, 퓨전국악이 함께하는 국악공연 ㅇ다양한 장르의 크로스 오버 공연과 타악 실내악의 만남, 서양악기와 국악기의 만남, 판소리와 기악의 만남 등 다양한 볼 거리를 마련한다. | |
한국의 미 (10‘) |
이야기와 해설이 있는 우리문화유산 바로알기 ㅇ지역에 있는 무형문화재 및 문화유산에 얽힌 설화나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어 알려주는 문화해설사 ㅇ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재나 문화·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직접 무형문화재 전승자를 모셔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그 소중함을 풀어내는 문화체험 | |
마당극 (50‘-60’) |
전통고전해학마당극 체험 ㅇ해학마당극을 통하여 우리 전통예술이 어떻게 마당극으로 표현되는가를 이해하고, 결코 어렵거나 진부한 장르가 아니라 우리에게 웃음과 울음을 같이 선사할 수 있는 우리네 예술임을 보여준다. (청아 청아 내딸 청아, 땅별을 짊어진 놀부, 박타령 중 ) | |
뒤풀이 |
대동마당 (20‘) |
풀어헤치는 신명의 난장(대동놀이) ㅇ풍물패와 소리꾼, 춤꾼 등 전 출연진과 관객이 함께 강강술래, 소지행사를 하며 대동놀이를 하며 끝을 맺는 종야굿 |
구 분 |
프 로 그 램 / 내 용 |
무형문화제 초청공연 |
금산 농요 초청공연, 홍성 결성농요 초청공연 가면극 박첨지 놀이 초청공연 앉은굿 신석봉 무형문화재 초청공연 승무 무형문화재 법우스님 초청공연 정가 무형문화재 한자이 초청공연 무형문화재 웃다리 농악 초청공연 무형문화재 줄타기 공연 |
춤 초청공연 |
백제탈춤 초청공연 민족예술단 우금치 창작탈춤 미얄 공연 정은혜무용단 초청공연 대전시립무용단 초청공연 |
소리 / 기악 초청공연 |
왕기석 명창 초청 공연 국립창극단 명창 판소리 공연 조영제, 이규호 명창 판소리 공연 국악실내악단 모리 기악합주 공연 현대음악앙상블 ‘뉴던’/ 대전연정국악원 풍물패 “소리마당” 초청공연 금송가야금연주단 초청공연 국립창극단 기악부 민속악 연주 |
테마와 해설이 있는 한국화이야기 /우리문화유산이야기 |
시립미술관 큐레이터의 한국화 이야기 우리지역 문화유산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풀어내는 문화유산 이야기 |
구 분 |
공연 내용 |
프 로 그 램 / 내 용 |
체 험 마 당
“나도 예술가” |
기악/사물 (20‘-30’) |
살아 숨쉬는 풍류체험(한지인형의 국악 연주) ㅇ한지인형인 듯한 국악연주자가 나무아래 준비된 1인·2인 무대위에서 아쟁, 대금, 피리, 거문고, 가야금 등 선율악기를 독주 또는 합주 ㅇ우리 음악을 가까이에서 느끼고 쉽게 설명도 듣는 시간을 갖는다. ㅇ우리 악기 사물의 용도와 의미를 이해하고, 직접 연주도 해 보고 기본적인 가락을 배워보는 시간을 갖는다. 아이들 중에 잘하는 아이들을 본마당의 함께 하는 프로그램에서 직접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본다. ㅇ본마당의 농요, 민요를 배워보고 함께 부르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우리 음악적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전통예술공연에 참여함으로서 전통예술이 쉽고 우리의 언어로서 체득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예술임을 이해토록 한다. |
마당극 (50‘-60’) |
전통고전해학마당극 체험 ㅇ해학마당극을 통하여 우리 전통예술이 어떻게 마당극으로 표현되는가를 이해하고, 결코 어렵거나 진부한 장르가 아니라 우리에게 웃음과 울음을 같이 선사할 수 있는 우리네 예술임을 보여준다.(청아 청아 내딸 청아, 땅별을 짊어진 놀부, 박타령 중 ) | |
본마당 |
의식무 (15‘) |
의식무_우리전통예술의 뿌리 ㅇ전통예술야외상설공연의 끝을 하늘에 알리고, 땅에 알리는 의식무로 고사와 풍물이 어울러져 신명을 불러 일으키고, 전통예술 야외상설공연 - 우리가락 우리마당의 성공적 진행을 시민들과 함께 나누는 자리이다. ㅇ판씨음, 고천의식무, 고천문 낭독, 씻김무 등 풍물과 춤으로 어우러지는 신성하고, 신비스런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
소 리 (10‘) |
일 노래, 삶의 노래(농요 / 노동요 공연) ㅇ수집과 채록과정을 통해 획득 된, 잊혀져가는 충청도지방의 노동요, 농요, 장례의식요, 세시민요를 전문 국악인의 소리로 신명나게 재창조한 소리공연 | |
무 용 (15‘)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우리 춤(춤판) ㅇ고전무용(살풀이, 승무, 소고춤, 북춤)과 창작무용이 함께 추어지며 춤사위와 춤에 대한 해설이 함께하는 신명의 춤판. | |
하늘울림 (모듬북) (15‘) |
하늘울림, 땅울림(신명의 모듬북) ㅇ모듬북을 통하여 전통예술야외상설공연의 시작을 장엄하게 알리고 웅장한 북소리와 사물악기의 조화로서 상설공연의 성공을 기원한다. ㅇ모듬북의 신명과 화려한 무대가 어울져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 |
국 악 (20‘) |
꽃, 나무, 풀,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 ㅇ판소리와 기악, 국악실내악, 퓨전국악이 함께하는 국악공연 ㅇ다양한 장르의 크로스 오버 공연과 타악 실내악의 만남, 서양악기와 국악기의 만남, 판소리와 기악의 만남 등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한다. | |
뒤풀이 |
대동마당 (20‘) |
풀어헤치는 신명의 난장(대동놀이) ㅇ풍물패와 소리꾼, 춤꾼 등 전 출연진과 관객이 함께 강강술래, 소지행사를 하며 대동놀이와 함께 끝을 맺는 종야굿 |
○ 체험마당 : 살아 숨쉬는 풍류체험 / 19:00~19:30
― 8월에는 17:30~18:00까지 운영
체험 마당 “나도 예술가” |
기 악 /사 물 (20‘-30’) |
살아 숨쉬는 풍류체험(한지인형의 국악 연주) ㅇ한지인형인 듯한 국악연주자가 나무아래 준비된 1인·2인 무대위에서 아쟁, 대금, 피리, 거문고, 가야금 등 선율악기를 독주 또는 합주 등을 해낸다. 우리 음악을 가까이에서 느끼고 쉽게 설명도 듣는 시간을 갖는다. ㅇ우리 악기 사물의 용도와 의미를 이해하고, 직접 연주도 해 보고 기본적인 가락을 배워보는 시간을 갖는다. 아이들 중에 잘하는 아이들을 본마당의 함께 하는 프로그램에서 직접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해 본다. ㅇ 본마당의 농요, 민요를 배워보고 함께 부르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우리 음악적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전통예술공연에 참여함으로서 전통예술이 쉽고 우리의 언어로서 체득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예술임을 이해토록 한다. |
○ 본마당
― 1회 [개막제_열음] “하늘울림, 땅울림” / 5. 17(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판씻음 열음굿 |
고천의식, 판씻음굿, 선반사물, 검무 등 |
풍물패 ‘길’단원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흥보가’ 중 눈대목 |
조영제 명창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동래학춤 |
대전시립무용단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한마당 ‘뱃노래 등’ |
함영희 외 |
|
하늘울림·땅울림 |
대전연정국악원 공연 |
연정국악연주단 |
|
― 2회 [창조1] / 5. 24(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창세설화 1 |
신화팀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태평무 |
정은혜무용단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경기민요 한마당 |
대전지역 민요팀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농요 ‘집터 다지는 소리’ |
김미경 외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피리 3중주 |
김선영외 |
|
― 3회 [창조2] / 5. 31(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창세설화 2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창작판소리 - 슈퍼댁 |
김명자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산조춤 |
임현선 무용단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농요 ‘모심기소리’ |
김미경 외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해금독주 외 |
어랑 어랑 |
|
― 4회 [생명·환경 1] 6. 7(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삼신할망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민요야 놀자 |
민요그룹 아리수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당금애기춤 |
정은혜무용단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농요 ‘김메는 소리’ |
김미경 외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피리산조 외 |
김선영 |
|
― 5회 [생명·환경2] 6. 14(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원천강 오늘이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경기민요 |
김보성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판소리 적벽가 중 |
국립창극단 이시웅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문둥춤 |
고성오광대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농요 ‘자장가’ |
김미경 외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대금산조 외 |
노정은 |
|
― 6회 [생명·환경3] 6. 21(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한락궁이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창작판소리 쌀타령 |
김지희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병신춤 |
정승천(부산민족춤연) |
|
일의 노래 삶의 노래 |
충청의 소리 김메는 소리 |
김미경 외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아쟁산조 |
이태백 |
|
― 7회 [생명·환경4] 6. 28(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창작신화 1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춘향가 중 |
국립창극단 박애리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탈굿 |
황혜순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농요 목도소리 |
이상호 외 |
|
하늘소리 땅의 노래 |
퓨전 국악 실내악 |
퓨전국악그룹 낭만 |
|
― 8회 [자연과 문명1] 7. 5(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황후양씨와 막막부인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
민은경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의 소리 |
박창숙 외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정은혜무용단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퓨전국악공연(실내악) |
퓨전국악그룹 낭만 |
|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삼신할망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수궁가 중 |
국립창극단 남상일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검무 외 |
최영란무용단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상여소리 |
이상호 외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거문고 산조 외 |
연정국악원 |
|
― 10회 [자연과 문명3] 7. 19(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견우와 직녀 |
신화팀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사품정감 |
법우스님 전수생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국악 실내악 연주 |
모리 |
|
― 11회 [신명과 뿌리1] 7. 25(금) 19:30~21:00
[한여름밤의 국악 한마당 축제] - “신명의 바다, 신명의 하늘”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
주호종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장구춤 외 |
정은혜 무용단 |
|
한국의 미 |
지역의 소중한 문화알기 |
황효순 등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국악과 현대음악의 만남 |
현대음악앙상블 뉴던 |
|
― 12회 [신명과 뿌리2] 7. 26(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줄 위에 몸을 맡기다 |
왕의남자 ‘줄타기’ |
인간문화재 전원태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흥보가 중 |
고향임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미얄마당 |
대전시립무용단 |
|
한국의 미 |
해설이 있는 우리 문화 |
황효순 등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
최예슬 외 |
|
― 13회 [신명과 뿌리3] 7. 27(일)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폭소 놀이 마당극 |
‘보부상 난전놀이’ |
민족예술단 우금치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승무 |
법우스님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태평소 시나위 |
김선영 외 |
|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악가무로 풀어내는 표현극 |
박첨지놀이 |
보존회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 |
경기민요 |
최예슬 |
|
마음에 흐르는 시가 |
가곡 |
한자이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대전시립무용단 |
|
한국의 미 |
해설이 있는 우리 문화 |
황효순 등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결성농요 |
경성농요보존회 |
|
― 15회 [신명과 뿌리5] 7. 30(수)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한대목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국악관현악 등 |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
|
|
― 16회 [신명과 뿌리6] 7. 31(목)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역사 서사 마당극 |
‘동창이 밝았느냐’ -동춘당 송준길- |
민족예술단 우금치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시나위합주 |
모리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임현선무용단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물페기 농요 |
물페기농요 보존회 |
|
― 17회 [신명과 뿌리7] 8. 1(금)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악가무로 풀어내는 신명 |
창작신화 2 |
신화팀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가야금병창 |
강정희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살풀이 |
조희열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상여소리 |
이상호 외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
최예슬 외 |
|
― 18회 [신명과 뿌리8] 8. 2(토) 18:00-19: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악가무로 풀어내는 신명 |
황후양씨와 막막부인 |
신화팀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소고춤 |
대전시립무용단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목상동 소리 |
들말두레보존회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
최예슬 외 |
|
― 19회 [조화1] 8. 9(토) 18:00-19: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할머니가들려주는 우리신화 |
한락궁이 |
신화팀(대전지역 연합팀)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너울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의 소리 ‘상여소리’ |
이상호 외 |
|
― 20회 [조화2] 8. 16(토) 18:00-19: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한대목 |
연정국악원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연정국악원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
연정국악원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북의 향연 |
연정국악원 |
|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폭소 마당극 |
청아 청아 내 딸 청아 |
민족예술단 우금치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한마당 |
정대호 |
|
― 22회 [조화4] 8. 30(토) 18:00-19: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연진 |
비고 |
가무악으로 풀어내는 표현극 |
마법의 동물원 |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의 소리 |
이상호 외 |
|
※ 8. 2~8. 30일까지는 문화예술의전당 여름축제기간과 중복되어 시간 단축
○ 폐막축제 : 가을 국악 한마당 축제 _ “달아 높이곰 솟아라”
― 23회 [상생1] 9. 5(금)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한대목 |
타지역교류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정은혜무용단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의 소리 |
이상호 외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경기민요 |
타지역교류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국악실내악팀공연 |
타지역교류 |
|
― 24회 [상생2] 9. 6(토)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전통춤 |
무용단 너울 |
|
일의노래 삶의노래 |
충청의 소리 |
이상호 외 |
|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신화 |
자청비 |
신화팀(대전연합팀) |
|
― 25회[폐막제_상생3] 9. 7(일) 19:30~21:00
프로그램 |
세부내용 |
출 연 진 |
비고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1 |
판소리 한마당 |
국립창극단 왕기석 |
|
하늘의 몸짓, 땅의 디딤새 |
큰머리 태평무 |
대전시립 무용단 |
|
풍류를 찾아가는 소리여행2 |
국악실내악의 향연 |
연정국악원 |
|
하늘소리·땅의 노래 |
실내악과 소리의 만남 |
연정국악원 |
|
일의 소리 삶의소리 |
충청의 소리 |
김미경외 |
|
하늘에 고함 |
대동놀이마당(촛불의식) |
전출연자 |
|
※ 일정에 따라 섭외 및 프로그램 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현재 여름축제 기간도 우기 등 날씨 상황을 고려하여
7월말~8월초로 조정할 수 있음.
※ 본마당이 끝난 후 함께 풀어내는 “대동난장”이 펼쳐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