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눈>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순수한 삶을 되찾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을 ‘눈’과 ‘기침’의 변증법적 지양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1연은 ‘눈은 살아 있다’라는 문장을 세 번 변주하여 순수한 생명으로서의 ‘눈’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2연 역시 1연처럼 ‘기치를 하자’라는 문장을 세 번 변주하고 있다. ‘눈’이 보도록 기침을 하자고 ‘젊은 시인’에게 권유하는 내용인데, 순수 의식을 지향하는 시적 화자의 태도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기침을 하도록 권유받는 ‘젊은 시인’은 바로 시적 화자 자신을 가리킨다. 즉 자신에게 ‘눈 위에 대고, 눈 더러 보라고, 마음 놓고, 기침을 하자’고 한다. 이 ‘기침’은 부패한 현실 속에서 화자 내면에 잠재해 있는 불순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3연에서는 눈이 살아 있는 이유를 알려 준다. 그 이유는 ‘눈’이 염두에 둔 ‘죽음을 잊어버린 영혼과 육체’, 바로 시적 화자 때문이다. 4연에서 알 수 있듯이 시적 화자의 가슴에는 이미 밤새 가슴에 가래가 고여 있다. 이 ‘가래’는 ‘젊은 시인’ 또는 화자의 영혼과 육체를 더럽히는 현실의 부정적인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살아 있는 눈’을 바라보며, ‘가슴의 가래’를 ‘마음껏 뱉자’는 말은 눈의 한없는 순수한, 차가움, 신선함을 통해 현실의 더러움을 씻어 내고 순수한 삶에 도달하고자 하는 시적화자의 소망과 의지를 고백한 것이다.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비판적, 참여적, 의지적, 상징적
제재 : 눈
주제 : 순수하고 정으로운 삶에 대한 소망과 부정적 현실 극복 의지
특징
① ‘눈’과 ‘기침(가래)’의 이미지가 대립 구조를 보임
② 동일한 문장의 반복과 문장 변형 및 첨가를 통해 점층적 진행으로 역동적 리듬감을 만들어 냄
출전 <문학예술> 1956
◆작품 연구실 : 반복법과 접층법의 시적 효과
이 시의 1, 3연에서는 ‘눈은 살아 있다’, 2, 4연에서는 ‘기침을 하자’를 반복하고 변형함을오서 의미를 점층적으로 강조하고 이ᅟᅡᆻ다. 즉, 같은 문장에 점차로 문장 요소들이 덧붙으면서 뚜렷해지는 점층적 전개를 이루는데, 이를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으며,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극복과 순수하고 가치 있는 삶에 대한 갈망이라는 작가의 주제 의식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작품 연구실 : 이 시에 드러난 작가의 현실 인식
김수영은 암울했던 시대에 ‘시’를 통해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자신의 의지를 표현한 시인이다. 이 시 역시 1954년 대통령직을 연임한 이승만이 장기 집권을 위해 대통령 3선 제한의 철폐를 핵심으로 하는ㄴ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시대적 배경 속에서 창작되었다. 이 시에서 시인은 ‘기침을 하자’, ‘가래를 뱉자’고 하면서 부정부패한 현실을 물리치고 순수하고 정의로운 삶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