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후를 대비하자 ◈
두 달이 지나면 다가올 2025년은 한국 사회에 중대한 변곡점이 되지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고 있어요
바야흐로 우리 사회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는 이야기지요
그 나이대 인구는 올해 이미 1000만명을 넘어섰어요
일본은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30%이지요
우리나라는 10년 후인 2035년이 되면 일본처럼 되지요
일본서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막 넘겼을 때가 지난 2005년이었어요
즉 지금의 한국은 일본의 20년 전이고, 지금의 일본은 한국의 10년 후이지요
전 세계적으로 빠른 고령화로 온갖 사회 현상과 문제를 겪은 일본인데,
그들이 20년에 걸쳐 겪은 사회 변화를 우리는 10년 안에 겪어야 한다니,
정말 아찔하지요
두 나라는 사는 문화, 먹는 방식, 가족 구성, 노동 구조가 유사하다 할수 있어요
우리는 일본의 초고령사회 성공과 실패를 보고, 잘한 것은 따라 하고,
못한 것은 피하면 되지요
이를 사회학적으로 미래를 경험하게 해주는 모델이라고 하지요
우리의 미래, 미리 보는 초고령사회, 도쿄를 산책해 보기로 해요
공영방송 NHK가 매일 아침 6시 25분에 방영하는 장수 인기 프로그램
‘테레비 체조’에는 가운데에 앉아서 체조를 따라 하는 사람이
항상 등장하지요
휠체어를 타고 있는 고령자도 상체 운동을 따라 해보라는 의미이지요
일본은 의자 왕국이라 할수 있어요
고령자들이 워낙 많이 돌아다니기에 곳곳에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들이 많아요
엘리베이터 안에도 의자가 있지요
버튼을 누르면 간이 의자가 되는 지팡이도 잘 팔리지요
할머니들은 바퀴가 4개 달린 작은 여행용 가방을 끌고 다니며
동네 시장을 다니고 있어요
길거리 횡단보도 입구에는 고령자용 버튼이 있는데,
누르면 보행자 녹색등 신호가 1.5배 길어지지요
택시를 타면 좌석 앞에 손잡이가 크게 걸려 있어요
그걸 잡고 당기며 ‘끙~’ 하고 일어나면 내릴 때 편하지요
버스를 타면, 손 닿는 데마다 손잡이가 있어요
워낙 고령자 낙상 사고가 많기에 그렇지요
시내 버스는 시속 30㎞로 달리고 있어요
다음 정류장에 내리려고 미리 하차 문 쪽으로 움직이면
운전사가 움직이지 말아 달라고 하지요
승객이 내리고 다 올라타서 자리를 잡은 뒤에 버스는 출발하지요
시속 60㎞ 이상으로 달리는 서울 버스는
도쿄 기준으로 보면 버스 경주에 가까워요
거동이 힘든 어르신을 차로 모시고 다닐 때 보면,
태우는 데 5분, 내리는 데 5분이지요
일본에는 버튼을 누르면 좌석이 차 밖으로 나오고,
버튼을 누르면 안으로 들어가는 도요타, 혼다 자동차가 있어요
크기가 작은 차량인데도 뒷좌석에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게
설계된 것이 많아요
미래 차는 전기차, 수소차라고 다들 그러지만, 사실은 일본차이지요
움직이는 초고령사회가 되려면 누구나 어디든 돌아다닐 수 있는
배리어 프리(barrierfree) 사회가 되어야 하지요
1964년 도쿄 올림픽 당시에 시작된 하루 만보 걷기는
일본 국민 건강 캠페인이었어요
만보계도 일본서 나왔지요
요즘은 걷기에서 근육으로 바뀌었어요
열심히 걸었는데도 결국은 노쇠가 오더라는 것이지요
근육이 있어야 노쇠가 천천히 오고
인생 막판까지 세상을 돌아다닐 수 있어요
팔과 다리에 근육을 만들어야 하지요
근육 잔고, 근육 저축이라는 말이 일상에서 쓰이고,
TV 광고에는 근육 단백질 제품이 쏟아져 나오지요
초고령사회에서는 근육이 연금보다 강하다 할수 있지요
젊은이와 외국인이 몰려 있는 도쿄 시내 중심가 롯폰기에는
‘캔토스’라는 라이브 뮤직 클럽이 있어요
50~70대 어른들이 1960~1970년대 로큰롤과 팝송을 들으며 춤추는 곳이지요
남자 싱어와 7명의 밴드 뮤지션은 엘비스 프레슬리 머리와
복장을 하고 있어요
여자 싱어는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주인공을 연상시키지요
캔토스 뮤직 클럽은 도쿄에 긴자, 신주쿠점이 성업 중이며,
전국 대도시로 퍼져 나갔어요
도심에는 손님들이 연주하고 노래하는 음악 클럽도 많아요
재즈 클럽에서는 뒤늦게 악기를 배워 한 곡 연주하러 오는
중절모 어르신이 있고, 팝송 악보를 가져와 연주를 부탁하고
노래를 부르는 할머니들도 있지요
지팡이를 짚고 와서 1000엔에 위스키 한 잔 마시고
추억의 음악을 듣고 가는 할아버지도 보이지요
일본에는 이 같은 어른들의 놀이터가 많아요
고령자들이 모여서 활동하는 이른바 살롱(salon)이 동네마다 있고,
그 수가 6만여개나 되지요
독서, 바둑 등 취미를 공유하는 ‘노인 구라부’( club)는
전국에 10만여 개가 있고, 회원 수는 600만명에 이르지요
집에서 혼자 지내긴 힘들고, 병원에 입원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은
고령자들이 낮에 모이는 소규모 다기능 주택이 5000여 개나 있어요
집과 병원의 중간 ‘의료 사랑방’으로, 우리는 그런 게 한 개도 없지요
의사와 간호사가 거동 불편한 고령자 집을 찾아가는 방문 진료와
간호는 한 해 1000만 건 이상 이뤄지고 있어요
고립은 사회를 우울하게 만들고, 개인을 늙게 하지요
일본에서는 사회적 은퇴자들에게 등산 가는 것도 좋지만,
등산 갔다 와서 뭐 하고 지내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어요
“어울림 하면 한국인이지!”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우리의 어울림은 대개 학교 동창, 고향 친구, 직장 동료 등 연고 중심이지요
연고 기반 어울림은 75세가 넘으면 시들해지는데
동네 중심 어울림 인프라를 만드는 게 앞으로의 숙제이지요
그러나 한국 사회는 미래를 미리 번듯하게 준비하지는 못하나,
뭐든 닥치면 잘 이겨낸다고 하지요
이제 초고령사회가 닥쳤어요
슬슬 움직이고 어울리는 친고령사회 문화와 인프라를 만들어 가야 하지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처사(一松) *-
첫댓글 그때까지. 살 자신이 없어 패스
허허 그런가요?
이젠 100세 시대 이지요 ~~
좋은글감사합니다
그래요 고마워요
10년후 우리의 모습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