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대가 어우러져 소통하는 북촌의 문화와 예술은 다양하다. 현대가 숨 쉬는 공간에서 전통의 가치를 느껴보는 건 어떨까. 한옥에서 전통 놀이를 해보고, 우리 민족의 삶도 살펴보고, 과거와 현대 미술의 전시를 보고, 전통 공예를 보고 체험해보는 온고지신의 장을 따라간다.
여행코스 : 아트 로드(전통 미술)
상촌재 - (529m, 9분) - 청와대 사랑채 - (161m, 3분) - 청와대 - (504m, 6분) - 국립민속박물관 - (117m, 2분) - 학고재 갤러리 - (559m, 9분) - 북촌박물관 - (302m, 5분) - 북촌전통공예체험관
※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도보 기준
조선 백성의 삶을 새긴, 상촌재
평범한 조선 백성들이 살던 삶은 어땠을까. 그 삶과 생활 모습을 상촌재에서 볼 수 있다. 상촌재는 장기간 방치되었다가 새롭게 복원된 후 개관한 전통 한옥 문화공간이다. 상촌재란 이름은 경복궁 서쪽 지역이자 세종대왕 탄생지인 세종 마을의 옛 명칭인 ‘웃대(상촌)’에서 착안해 붙여졌다. 양반이 살던 한옥 형태가 아닌 평범한 조선 시대 중인이 살았던 가옥 형태를 복원해 당시 백성들의 삶을 재현했다. 안채, 사랑해, 별채 등 총 3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한옥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엿볼 수 있다. 실내에서는 체험장이 마련되어 있어 선조들처럼 함께 다례를 즐기고, 전통 놀이를 해볼 수 있다.
사계절에 걸쳐 열리는 세시풍속 전통 행사는 절기별로 다르게 진행되니 미리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한옥에서 즐기는 전통 놀이’ 프로그램은 평소 접하지 못했거나, 생소하지만 재미있는 놀이로 다양하니 잠시 어린아이가 되어 보는 것은 어떨까.
주소 :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2-11
문의 : 02-6013-1142
관람시간 : 화~일요일 09:00~18:00, 월요일, 명절 휴무
입장료 : 무료
홈페이지 : https://www.jfac.or.kr/site/main/content/sangchj01
우리 민족 생활을 느껴보는,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인의 전통 생활을 깊이 살펴보고 싶다면 경복궁 안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을 둘러봐야 한다. 이곳에서는 우리 전통의 생활 문화를 전시, 수집, 보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통 생활과 문화를 만나볼 수 있다. 총 3개의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전시에서는 한반도의 선사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주요 생활을 볼 수 있다. 2전시에서는 생업과 공예, 의식주 등 좀 더 면밀한 생활 모습이 전시되어 있다. 해안이나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와 어류 채취 도구, 농사 활동의 모습 등 농업과 관련된 세시 풍속에 대해 역동적으로 표현했다. 3전시에서는 한국인으로 태어나 죽을 때까지의 생활환경을 순차적으로 느껴볼 수 있다. 개인의 일생을 통해 담겨있는 전통 사회의 다양한 의례들과 활동기 모습은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다. 우리 민족의 민속 문화와 삶을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고 있으니, 그들의 희로애락을 천천히 느껴보자.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37
문의 : 02-3704-3114
관람시간 : 3~10월 09:00~18:00, 11~2월 09:00~17:00, 화요일, 1월 1일 휴관, 단, 6~8월 토요일, 공휴일 09:00~19:00
입장료 : 무료
홈페이지 : https://www.nfm.go.kr/home/index.do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예술 세계, 학고재 갤러리
학고재 갤러리에서는 전통 미술과 현대 미술이 함께하는 예술 세계를 감상할 수 있다. ‘옛 것을 배워 새것을 만든다’는 이념을 담고 있는 학고재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아름다운 공간이다. 본관 건물은 전통 한옥으로, 신관 건물은 21세기 현대 건축으로 만들어져 개성 있는 조화가 매력적이다. 그로 인해 전시 작품들도 늘 새롭게 보인다. 시간을 거스르는 건축과 전시되는 작품들은 방문할 때마다 달라지는 아름다움과 분위기에 지루하지 않다.
전통 미술품 전시는 새로운 가치로 돋보이게 하고, 현대 미술품 전시는 현대성 흐름 속에서도 전통의 미가 느껴진다. 학고재에는 우리나라 작품 외에도 해외 작가들의 작품도 전시되어 동서양의 조화로움도 느낄 수 있다.
과거와 미래가 교차하고, 동양과 서양이 소통하며, 지역과 세계가 연결되는 이곳은 마치 하나의 정거장과 같다. 다양한 세계가 펼쳐지는 이곳에서 새로운 감동과 예술적 감각을 느껴볼 수 있을 듯하다.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50
문의 : 02-720-1524
관람시간 : 화~토요일 10:00~18:00, 일·월요일 휴관
입장료 : 무료
홈페이지 : http://www.hakgojae.com
선조들의 생활을 향유하는, 북촌 박물관
옛것의 가치를 알고 우리 생활 속에서 문화자산으로 소통하는 북촌 박물관은 선조들의 삶을 잘 표현하고 기억한다. 선조들의 삶에서 이어져온 유. 무형의 문화자산을 전시하고 미의식의 가치를 오늘의 생활에 연결시킨다. 그 가치가 새롭게 해석되고 재현되는 전시를 통해 그 속에 깃든 우리 문화는 소중하게 다가온다. 조선시대 목가구와 고미술품, 도자기 등 생활 공예가 전시된 이곳은 총체적인 삶의 아우라로서의 우리 문화를 재조명한다. 기간에 따라 전시되는 작품들이 다양하고 다르니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전시주제와 기간을 알아보고 가는 것이 좋다.
각양각색의 전시품들을 보고 있으면 마치 풍속도의 한 장면처럼 선조들의 생활이 그려진다. 그 의미의 형태가 기억되어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 삶의 가치도 달라진다. 생활 문화의 전통적인 가치를 공유하는 많은 이들에게 어떤 의미로 남게 될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주소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39
문의 : 02-766-8402
관람시간 : 화~토요일 10:00~18:00, 일·월요일, 명절 휴관
입장료 :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 만 65세 이상 2,000원
홈페이지 : https://bukchonmuseum.modoo.at
전통공예 장인이 되어 보는, 북촌 전통공예 체험관
전통 공예 미술을 눈으로 보았다면, 이제 오감으로 즐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북촌 전통공예 체험관에서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전통 공예를 소개하고 원하는 전통 공예를 취향에 따라 선택해 체험해 볼 수 있다. 북촌 공방장인들이 40개의 전통 공예 프로그램을 진행해 다채롭고 풍성한 작품들을 직접 만들어 보는 시간은 매우 이색적이다.
시간과 요일에 따라 체험할 수 있는 공예 작품들이 다르니 전화로 만들고 싶은 공예 작품이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아울러 개인인 경우 별도 예약하지 않아도 되지만, 프로그램에 따라 소요 시간이 상이하니 일정상 미리 알아보는 것도 좋다. 단체일 경우에는 최소 3일 전까지 전화로 신청해야 하니 참고해보면 좋겠다.
전통공예 체험은 꽃잎 주머니 만들기, 조각보 브로치 만들기, 탈 만들기, 호패 만들기, 칠보 손거울 만들기 등 매 계절, 요일마다 각기 다르니 여러 번 방문하여 즐겨보는 건 어떨까. 오늘까지 이어오는 우리 전통공예 체험은 남녀노소 누구나 아이처럼 즐거워하니 꼭 한 번 경험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주소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2길 24-5
문의 : 02-741-2148
운영시간 : 3~10월 10:00~18:00, 11~2월 10:00~17:00, 명절 당일 휴무
이용료 : 체험 프로그램에 따라 상이
홈페이지 : https://tour.jongno.go.kr/tour/main/contents.do?menuNo=110544
여행정보
대중교통 정보
- [지하철]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2번 출구에서 시작
주변 식당 및 카페
- 삼청동 수제비 : 수제비, 옹심이 /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101-1 / 02-735-2965
- 풍년쌀농산 : 떡볶이, 순대, 튀김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5가길 32 / 02-732-7081
- 황생가칼국수 : 칼국수, 만두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5길 78 / 02-739-6334
- 대장장이 화덕피자 : 피자, 리조또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42-4 / 02-765-4298
- 소금집델리 안국 : 샌드위치, 스테이크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4길 19 1층 / 02-766-2617
- 오설록티하우스 북촌점 : 녹차, 떡, 녹차 롤 케이크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45 / 070-4121-2019
- 삼청빙수 : 팥빙수, 아메리카노 /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84-1 / 02-720-8233
- 월영당 서울 : 안동대마라떼, 쑥떡쉐이크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5길 62 / 070-8866-8613
- 땡스오트 안국 : 샌드위치, 그래놀라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21-10 2층 / 02-766-0890
- 차 마시는 뜰 : 쌍화탕, 대추탕, 오미자차 / 서울 종로구 북촌로 11나길 26 1층 / 02-722-7006
※ 위 정보는 2023년 5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