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기중심적 행동
-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식이 무슨 이야기를 하든
자신의 욕구를 최우선시하며 자녀의 필요나 감정을 무시함
자녀: 엄마, 저 오늘 축구 대회가 있는데요. 오늘...
부모: 아이고, 그게 뭐라고? 나는 오늘 친구들과 약속이 있어. 바쁘니까 너무 시끄럽게 말하지 마.
2. 자녀에 대한 감정적 관심 부족
- 나르시시스트 엄마, 나르시시스트 아빠는
자녀가 힘든 감정을 털어놓으면 본인이 더 힘들었다고 화제를 전환하며
자녀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 없이 무시하고 억압시킴
자녀: 아빠, 오늘 수학 시험에서 난 정말 힘들었어요.
부모: 그게 뭐가 그렇게 힘드니? 엄마는 너보다 더 힘들었으니까 시끄럽게 하지 마.
그리고 내가 너 때문에 이렇게 힘든 건데 그런 말을 하고 싶니? 철없는 것...
3. 자녀를 보호하지 못함
- 자녀가 부당한 일을 당해도 딸에게 문제가 있다고 하며 보호하지 못함
자녀: 길 지나가는데 남자가 성적인 얘기를 해서 무서웠어요.
부모: 네가 그렇게 짧은 치마를 입고 다니니까 그렇지. 네가 잘못해놓고 누굴 탓하냐?
4. 자녀를 자신의 연장으로 여김
-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딸의 외모, 성격, 성적 등
자녀를 자신의 이상적인 확장으로 여기고, 자신의 욕구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음
자녀: 엄마, 이 옷 어때요?
부모: 아이고, 그게 뭐니 너는 여성스러운 옷이 더 잘 어울려.
살은 왜 이렇게 찌고, 머리는 왜 이렇게 짧니?
관리 좀 해라.
5. 자녀의 경험 무시, 비난과 비판
-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녀를 자주 비난하거나 비판하며, 자녀의 자존감을 훼손시키는 경향이 있음
또한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녀의 개인적인 성장과 경험을 무시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에 대해 비난할 수 있음
자녀: 아빠, 오늘 학교에서 좋은 일 있었어요.
부모: 그래봤자지 뭐~ 네가 지금 좋은 일 있다고 좋아할 때냐? 공부나 해라.
6. 성취에 대한 지나친 기대
- 부모는 자녀에게 지나치게 높은 성취 기대를 가지며, 그것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녀를 책망할 수 있음
자녀: 엄마, 오늘 수학 시험에서 90점 받았어요!
부모: 왜 100점 못 받았어? 내가 너한테 기대한 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면 넌 실패한 거야.
7. 자녀 간 선호 / 경쟁심 유발
- 부모가 특정 자녀를 선호하고 다른 자녀를 소외시키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음
자녀 1: 엄마, 우리 동생이 학교에서 상 받았어요.
부모: 너보다 동생이 훨씬 더 잘하는 거 같아. 넌 뭔가 부족한 거야.
-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녀 간의 경쟁을 조장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할 수 있음
자녀 1: 아빠, 오늘 축구 경기에서 이겼어요!
부모: 그렇게 말하면서 네 동생이 어떻게 느낄까? 너보다 더 잘 하는 걸 네가 말하면 어떡해?
8. 자녀에 대한 지나친 통제
-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녀의 삶을 지나치게 통제하고, 자유로운 발언과 행동을 제한할 수 있음
자녀: 아빠, 오늘 친구들과 영화 보러 가고 싶어요.
부모: 영화? 너는 집에 있어야지. 내가 허락하지 않은 곳으로는 가면 안 돼.
9. 부정적 감정 표현을 도전으로 받아들임
- 본인의 말과 행동에 상처받았다고 말하면 본인에 대한 비난으로 받아들이고 방어적인 모습을 보임
자녀: 엄마가 나한테 그렇게 말해서 내가 얼마나 상처받았는지 알아?
부모: 네가 뭔 상처를 받아? 이제 좀 컸다고 말대꾸하고 대드는 거니?
이래서 자식 키워봤자 소용없다. 다 잘 되라고 하는 소리인 줄도 모르고...
10. 자식이 마땅히 가져야 할 경계를 침범한다. (Break Personal Boundaries)
자녀의 일기를 몰래 읽거나 방을 뒤지는 등 자녀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지 않고
허락 없이 들여다보는 행동을 함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자녀를 낳을 경우 가족 패턴은 다음과 같음
1. 부모는 자신과 이성인 자녀를 골든 차일드로, 동성인 자녀를 스케이프 고트로 선택
(동성 자녀를 경쟁자로 인식. 예를 들어, 어머니는 아들을 골든 차일드로 생각하며 키우게 되는데, 아들이 결혼을 해서 며느리를 맞이하면 이성인 며느리를 경쟁자로 인식하고 며느리를 스케이프 고트로 만듦)
2. 자녀가 동성인 경우, 첫째 자녀를 골든 차일드로, 둘째 자녀를 스케이프 고트로 선택
3. 자녀 중, 커서 나에게 도전이 될수 있는 자녀 (똑똑하고 외모가 괜찮고 공감능력이 높고 등)를 스케이프 고트로, 상대적으로 약한 자녀를 골든 차일드로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