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낙 언급되는 표현이어서 한번 노선별로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역번은 옛날식으로 하였음)
역명이 중복되는 경우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생략 처리하였습니다.
--------------------------------------
지하철편
1호선
구로(<-쿠로)~회기
쿠로(Kuro)
쉰도림(Shindorim)
용둥포(Yongdungpo)
쉰길(Shingil)
태방(Taebang)
-
-
남용(Namyong)
50. 소울(Soul) [-> 소울욕(Soulyok)]
51. 쉬총(Shichong)
52. 총각(Chonggak)
53. 총노 3카{->가}(Chongno 3-ka[-> 3-ga])
54. 총노 5카{->가}(Chongno 5-ka[-> 5-ga])
55. 통대문(Tongdaemun)
56. 쉰솔동(Shinsol-dong)
57. 체기동(Chegi-dong)
58. 총냥니(Chongnyangni)
-
경부선
카리봉(Karibong)
톡산(Toksan)
쉬훙(Shihung)
속수(Soksu)
콴악(Kwanak)
-
묭학(Myonghak)
쿰종(Kumjong)
쿤포(Kunpo)
푸곡(Pugok)
송균관대(Songgyungwandae)
화소(Hwaso)
-
-
푱좀(Pyongjom)
-
-
소종리(Sojong-ri)
푱택(Pyongtaek)
송환(Songhwan)
칙산(Chiksan)
투종(Tujong)
촌안(Chonan)
경원선
-
소빙고(Sobinggo)
-
-
웅봉(Ungbong)
왕쉼니(Wangshimni)
총냥니(Chongnyangni)
-
쉬니문(Shinimun)
속켸(Sokkye)
송북(Songbuk)
-
녹촌(Nokchon)
-
팡학(Panghak)
토봉(Tobong)
토봉산(Tobongsan)
-
의종부(Uijongbu)
의종부푹부(Uijongbu-pukbu)
경인선
쿠일(Kuil)
캐봉(Kaebong)
-
-
욕콕(Yokkok)
-
푸촌(Puchon)
충동(Chungdong)
-
푸개(Pugae)
푸푱(Pupyong)
팩운(Paegun)
통암(Tongam)
칸속(Kansok)
추안(Chuan)
체물포(Chemulpo)
-
통인촌(Tong-inchon)
인촌(Inchon)
2호선(여기서부터 위의 것과 중복되는 것은 통과합니다)
1. 울치로1~4가(Ulchiro 1~4ga)
5. 통대문운동장(Tongdaemun-undongjang)
6. 쉰당(Shindang)
7. 상왕쉼니(Sang-wangshimni)
9. -
10. 뚝솜(Ttuksom)
11. 송수(Songsu)
12. 콘대입쿠(Kondaeipku)
13. 쿠의(Kuui)
14. 캉뵨(Kangbyon)
15. 송내(Songnae)
16. 참쉴(Chamshil)
17. 쉰촌(Shinchon)
18. 총합운동장(Chonghap-undongjang)
19. 삼송(Samsong)
20. 솔룽(Sollung)
21. 욕삼(Yoksam)
22. 캉남(Kangnam)
23. 쿄대(Kyodae)
24. 소초(Socho)
25. 팡배(Pangbae)
26. -
27. 낙송대(Naksongdae)
28. 소울대입쿠(Souldaeipku)
29. 퐁촌(Pongchon)
30. 쉴림(Shillim)
31. 쉰대방(Shindaebang)
32. 쿠로공단[<-쿠로콩단](Kurogongdan[<-Kuro-kongdan])
33. 태림(Taerim)
35. -
36. 용둥포쿠총(Yongdungpo-kuchong)
37. 탕산(Tangsan)
38. 합총(Hapchong)
39. 홍대입쿠(Hongdaeipku)
40. 쉰촌(Shinchon)
41. -
42. 아횬(Ahyon)
43. 충종노(Chungjongno)
성수지선
11-1. -
11-2. 쉰답
11-3. -
신정지선
34-1. 토림촌(Torimchon)
34-2. 양촌쿠총(Yangchon-kuchong)
34-3. 쉰종네고리(Shinjong-negori)
34-4. -
3호선
0. 태화(Taehwa)
1. 추욥(Chuyop)
2. 총발산(Chongbalsan)
3. -
4. 팩속(Paeksok)
5. 태곡(Taegok)
6. 화종(Hwajong)
7. -
8. -
9. 치축(Chichuk)
10. 쿠파발(Kupabal)
11. 욘쉰내(Yonshinnae)
12. 풀광(Pulgwang)
13. 녹폰(Nokpon)
14. -
15. 무악채(Muakchae)
16. 통님문(Tongnimmun)
17. 쿙복쿵(Kyongbokkung)
18. -
21. -
22. 통대입쿠(Tongdaeipku)
23. -
24. 쿰호(Kumho)
26. 압쿠종(Apkujong)
27. 쉰사(Shinsa)
28. 참원(Chamwon)
29. 코속토미놀(Kosok-tominol)
31. 남부토미놀(Nambu-tominol)
32. -
33. -
34. 토곡(Togok)
35. 태치(Taechi)
36. 항뇨울(Hangnyoul)
37. 태총(Taechong)
38. -
39. 수소(Suso)
4호선
9. 탕고개[<-탕코개](Tanggogae[<-Tangkogae])
10. -
11. -
13. -
14. -
15. -
16. 미아삼고리(Miasamgori)
17. 키룸(Kirum)
18. 송쉰요대입쿠{톤암}(Songshinyodae-ipku{Tonam})
19. 한송대입쿠{삼손교}(Hansongdae-ipku{Samsongyo})
20. -
24. 묭동(Myong-dong)
25. 회횬(Hoehyon)
27. 숙태입쿠{칼월}(Suktaeipku{Kalwol})
28. 삼각치(Samgakchi)
29. 쉰용산(Shinyongsan)
31. 통작(Tongjak)
32. -
33. -
34. 남태룡(Namtaeryong)
50. 손바위(Sonbawi)
51. 쿙마공원[<-쿙마콩원](Kyongmagongwon[<-Kyongma-kongwon])
52. 태공원(Taegongwon)
53. 콰촌(Kwachon)
54. 총부콰촌총사(Chongbu-kwachon-chongsa)
55. 인독원(Indokwon)
56. 푱촌(Pyongchon)
57. 폼계(Pomgye)
-
-
태야미(Taeyami)
판월(Panwol)
-
-
충앙(Chungang)
코잔(Kojan)
콩단(Kongdan)
-
쉰길온촌(Shingil-onchon)
총왕(Chongwang)
-
분당선
6. -
8. 캐포동(Kaepo-dong)
9. 태모산입쿠(Taemosanipku)
11. 폭총(Pokchong)
12. 쿙원대(Kyongwondae)
13. 태푱(Taepyong)
14. -
15. -
16. -
17. 소횬(Sohyon)
18. -
19. 종자(Jongja)
20. 미굼(Migum)
21. -
5호선
10. 팡화(Panghwa)
11. 캐화산(Kaehwasan)
12. 킴포콩항(Kimpo-konghang)
13. 송종(Songjong)
14. -
15. 팔산(Palsan)
16. -
17. -
19. 쉰종(Shinjong)
20. -
21. 오목쿄(Omokkyo)
22. 양푱(Yangpyong)
24. 용둥표쉬장(Yongdungpo-shijang)
26. 요의도(Youido)
27. 요의나루(Youinaru)
28. -
29. 콩독(Kongdok)
30. -
32. 소대문(Sodaemun)
33. 쾅화문(Kwanghwamun)
37. 총구(Chonggu)
38. 쉰쿰호(Shinkumho)[<-쉰굼호(Shingumho)]
39. -
41. -
42. 탑쉼니(Tapshimni)
43. 창한푱(Changhanpyong)
44. 쿤자(Kunja)
45. -
46. 쾅나루(Kwangnaru)
47. 촌호(Chonho)
48. 캉동(Kang-dong)
49. 킬동(Kil-dong)
50. 쿱운다리(Kubundari)
51. 묭일(Myongil)
52. 코독(Kodok)
53. -
마천지선
45-1. 툰촌동(Tunchon-dong)
45-2. 올림픽콩원(Olimpik-kongwon)
45-3. 팡이(Pangi)
45-4. 오굼(Ogum)
45-5. 캐농(Kaenong)
45-6. 코요(Koyo)
45-7. 마촌(Machon)
6호선
10. 웅암(Ungam)
11. 욕촌(Yokchon)
13. 톡파위(Tokpawi)
15. 쿠산(Kusan)
16. 새졸(Saejol)
17. 충산(Chungsan)
18. -
19. 송산(Songsan)
20. 마포쿠총(Mapo-kuchong)
21. -
23. -
24. 쾅훙창(Kwanghungchang)
25. 태훙(Taehung)
26. 효창콩원앞(Hyochang-kongwon-ap)
28. 녹사푱(Noksapyong)
29. -
30. -
31. 포티고개(Potigogae)
35. 통묘앞(Tongmyo-ap)
36. 창쉰(Changshin)
37. 포문(Pomun)
38. -
39. 코료대(Koryodae)
40. -
41. -
42. 톨곶이(Tolgoji)
44. 태룽입쿠(Taerungipku)
45. -
46. 퐁화산(Ponghwasan)
7호선
11. -
12. 마둘(Madul)
14. 충계(Chunggye)
15. -
16. 콩룽(Kongrung)
18. 목콜(Mokkol)
19. 충화(Chunghwa)
20. -
21. 묜목(Myonmok)
22. 사가종(Sagajong)
23. -
24. 충곡(Chunggok)
26. 오린이태공원(Orini-taegongwon)
28. 뚝솜유원지(Ttuksom-yuwonji)
29. 총담(Chongdam)
30. 캉남쿠총(Kangnam-kuchong)
31. -
32. 논횬(Nonhyon)
33. 판포(Panpo)
35. -
37. 남송(Namsong)
38. 숭쉴대입쿠(Sungshildaeipku)
39. -
40. 창숭배기(Changsungbaegi)
41. 쉰대방삼고리(Shindaebang-samgori)
42. 포라매(Poramae)
43. 쉰풍(Shinpung)
45. -
47. 촐산(Cholsan)
48. 쾅묭(Kwangmyong)
49. 촌왕(Chonwang)
8호선
10. -
12. 캉동쿠총(Kangdong-kuchong)
13. 몽촌토송(Mongchontosong)
15. 속촌(Sokchon)
16. -
17. 카락쉬장(Karak-shijang)
18. 문종(Munjong)
19. 창지(CHangji)
21. 산송(Sansong)
22. 남한산송입쿠(Namhansansong-ipku)
23. 탄대오고리(Tandaeogori)
24. 쉰훙(Shinhung)
25. -
인천1호선
10. 켸양(Kyeyang)
11. 큘횬(Kyulhyon)
12. 팍촌(Pakchon)
13. -
14. 켸산(Kyesan)
15. 쿙인교대입쿠(Kyongingodae-ipku)[<-인촌교대(Inchongyodae)]
16. 착존(Chakjon)
17. 칼산(Kalsan)
18. 푸푱쿠총(Pupyong-kuchong)
19. 푸푱쉬장(Pupyong-shijang)
21. 통수(Tongsu)
22. 푸푱삼고리(Pupyong-samgori)
23. 칸속오고리(Kansok-ogori)
24. 인촌쉬총(Inchon-shichong)
25. -
26. 인촌토미놀(Inchon-Tominol)
27. 문학쿙기장(Munhak-Kyonggijang)
28. 손학(Sonhak)
29. 쉰욘수(Shinyonsu)
30. -
31. 통춘(Tongchun)
32. 통막(Tongmak)
일반철도편
경부선
(천안까지는 1호선 경부선 편에서 썼으므로 생략)
-(서정리와 같음)
촌의(Chonui)
촌동(Chondong)
초치원(Chochiwon)
소창(Sochang)
-
푸강(Pugang)
-
-
회독(Hoedok)
태존(Taejon)
세촌(Sechon)
옥촌(Okchon)
-
치탄(Chitan)
심촌(Shimchon)
칵켸(Kakkye)
용동(Yongdong)
-
추풍뇽(Chupungnyong)
쉰암(Shinam)
칙치사(Chikchisa)
킴촌(Kimchon)
태쉰(Taeshin)
-
쿠미(Kumi)
-
-
-
욘화(Yonhwa)
치촌(Chichon)
태구(Taegu)
통대구(Tongdaegu)
코모(Komo)
쿙산(Kyongsan)
남송횬(Namsonghyon)
총도(Chongdo)
쉰고(Shingo) <- 킹오파 만두쟁이?
-
-
미존(Mijon)
-
-
물큼(Mulkum)
화묭(Hwamyong)
쿠포(Kupo)
-
푸산진(Pusanjin)
푸산(Pusan)
호남선
소대존
카수원
훅속리
원종
켸룡[<-투계]
-
캐태사
욘산
푸황
-
캉굥
-
함욜
-
황둥
-
푸용
-
킴제
캄곡
-
-
총웁
촌원
노룡
팩양사
쉰훙리
안푱
창송
옥총
-
-
푹송종
송종리
-
-
타쉬
코막원
함푱[<-학쿄]
-
-
묭산
-
임송리
통목포
-
첫댓글 당시 '시'를 'shi' 로 표기했으니, '쉬' 라고 하신 것들은 '시' 로 바꿔야 하겠네요. ^^;; 그리고 저 로마자 표기법은 2000년까지 쓴 것이랍니다. 참... 구청, 터미널 이런 것들은 그냥 영어로 하셔도 됩니다.
일부러 '쉬'라고 썼습니다. 위 로마자가 80년대엔가 제정된 걸로 알고 있기에 그런 것인데요, 당시에는 구청이나 대학교명도 깡그리 무시한 채 썼습니다.
2기 지하철은 제대로 썼을텐데요;
당시에도 지금처럼 대학이니 구청이니 영어로 번역해서 썼습니다. --;;
andreas / 2호선 개통 당시에는 교대를 'Kyodae'라고 썼습니다만... 이 표현은 3호선 개통하고 나서도 몇년간 써왔습니다. | 0294 / 2기 전철도 개통 당시에는 예전 방식으로 표기한 바 있습니다.
1980년대 처음에는 그랬나요? 1988년 올림픽때는 안그랬거든요. 언제부터 그렇게 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제가 말한 건 2기 지하철이 처음부터 현재 로마자표기법을 따랐다는 것이 아니라, 대학교나 관공서 표기가 현재와 같았다는 겁니다. 예로 5호선 김포공항역을 Kimp'o-konghang 이라고 쓴 적이 없다는 말입니다.
shi는 지금 로마자표기법으로는 아예 없으니..... s히 정도로 밖에 표기가... 예)Shindorim -> S힌도림
3호선 동대입구는 Tongguk-Univ로 쓴걸로 기억합니다만....; 다시 보니 신기하군요 ㅋㅋ
강남 -> 이거 엄청심하더군요. 외국인은 갱남구, 즉 갱들이사는 구라고 인식한답니다. 캉남구가 맞다고하더군요.
그거 영어권만 그런걸텐데요. 영어 사용 외국인만을 가지고 "외국인" 전체로 지칭하는건 약간 무리가 아닐까요. 영어 이외의 외국어에서 Gang은 거의 100% "강"으로 읽힙니다. "ㅐ"같은 모음이 그 언어들에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독일어 제외-ae를 "ㅐ"로 읽음).
그리고 캉남구가 "맞다"는 표현은 뭐가 맞다는 건지요?? 한국말을 한국에서 정한대로 표기하는건 우리 마음 아닐까요? 자기들이(특히 영어권..) 이상하게 읽는거 뿐이지.. 이 문제는 영어란 언어가 모음이 불안정한 언어라는 근본적 문제 빼고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겁니다.
어두 ㄱㄷㅂㅈ의 표기를 제외한다면, (이것이 K 계열이냐 G계열이냐가 애매할 뿐이죠) 나머지는 우리가 정하기 나름입니다. 하지만 한국어와 로마자의 1:1 대응을 위해서 어두 ㄱ도 G로 적은 거고요. 중국은 우리보다 더 심합니다. 중국어 안배운 사람은 상상도 못할만큼 이상하게 읽습니다. 우리는 양호한 겁니다.
중국어로 우리나라 서울 지하철 역명 읽으면 웃긴 것도 많은데,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이 얼마나 엽기인지 볼 겸 올려드릴까요?
그럼 강원도는 갱이 이긴 곳? 우리만의 착각이죠. 정작 영어권 국가 사람들은 외국 지명 그런 것은 그냥 그러려니 하는데 말이죠... 독일에는 Gangelt, Gangkofen 같은 도시도 있는데 이런 것은 뭐라고 봐야 할까요. 신도림역만17년님이 로마자 표기법의 취지에 대해 잘 알고 계시네요. ^^;;
서울(Seoul) 은 로마자 표기 특례대상으로 예나 지금이나 계속 Seoul 입니다.
이전 로마자 표기법에서 "ㅓ" 는 "O"위에 조그만 V표시를 해서 "ㅗ"발음과 구분했고, "ㅡ"는 "U"위에 V표시로 "ㅜ"와 구분했었습니다. 그리고 단어의 맨 앞에 오는 ㄱ,ㄷ,ㅂ,ㅈ는 K,T,P,Ch 로 쓰고, 중간에는 G,D,B,J 로 표기했습니다. 또한 단어의 맨앞에 오는 ㅋ,ㅌ,ㅊ,ㅍ 의 경우는 K',T',Ch',P' 로 표기했습니다.
한가지 더.. 중간에 껴서 ㄲㄸㅃㅉ처럼 발음되는 ㄱㄷㅂㅈ나 모든 ㅋㅌㅊㅍ 역시 k' t' ch' p'로 표기하였습니다. 예로 합정이 8글자.. Hapchong인지 Hapch'ong인지로 기억합니다.
Hapch'ŏng 이었습니다.
호오.. 그거 어떻게 쓰는 거에요? +_+
신길 =>Shinkil=>신킬 동대문=>Tongdaemoon=>통대문 청량리=>Chongnyangni=>총냥니 강남=>Kangnam=>캉남..;; 로마자의특성
신길은 Shin-gil이었구요, 동대문은 Tongdaemun이었습니다.
구미=>Kumi=>쿠미 김천=>Kimcheon=>킴천 동대구=>Tongdaegu=>통대쿠
김천은 Kimch'ŏn입니다.
0294님, 그 움라우트 찍는 법좀 가르쳐 주세요!!!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 도구->문자표 가셔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서울은 예나 지금이나 'Seoul'인데....^^;
본인의 닉을 이제 '툰촌동'으로 바꿔야 하나요...
본 필자 닉을 이제 '수소'역 인가요...
쉰도림 -_-; 냉장고에 넣어둬야겠군요...
ㅋㅋㅋㅋ은근히 웃기네여 ㅋ
삭제된 댓글 입니다.
어떻게 봐도 용서가 안되는 Songbook...이군요.. -_-;;; ㅓ야 o로 때운다 치더라도 -_-;; 성보옥? -_-;;
Sŏngbuk이었습니다. 참고로 84년 개정되기 이전의 표기법은 Seongbug이었습니다.
우리 말의 발음을 완전히 1:1로 대응한다는 면에서는 기존 방식이 더 적합했습니다. 그러나 어깨 표시나 o, u 위의 꺾쇠 기호가 불편하다는 게 변경의 가장 큰 이유죠. 안울림소리 (ㄱ,ㄷ,ㅂ,ㅈ) 의 문제는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이전 남북 공통 표기법의 연구안에서는 ㄱ과 ㅋ을 각각 k와 kh로 하자고 했을 정도입니다.
제가 볼 때는 영어권 국가에 한하여, 기존의 방식이 다소간 우월했다고 봅니다. 특히 G는 뒤에 붙는 모음에 따라 많은 언어에서 'dj'의 음가로 되기 때문에 자기 이름을 'g'로 쓰는 경우는 흔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죠. 'ㅓ'나 'ㅡ'도 마찬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