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하늘공원 야고와 닮은 더부살이 꽃 이야기
더부살이 (기생식물)
다른 살아있는 식물에 기생하여 양분을 흡수하며 광합성을 전혀 하지 않는 식물이다
열당과 야고속 : 야고 (억새의 뿌리에 기생)
가지더부살이속 : 가지더부살이 (참나무류 뿌리에 기생)
초종용속 : 초종용 (주로 해안가에 자생하는 사철쑥에 기생)
백양더부살이 (쑥에 기생)
황종용 (이명은 노랑쑥더부살이 노랑쑥에 기생)
오리나무더부살이속 : 오리나무더부살이 (두메오리나무의 뿌리에 기생)
개종용속 : 개종용 (참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뿌리에 기생)
----------------------------------------------------------------------------------------------------------------------------
야고20100917서울하늘공원
Aeginetia indica L.
열당과 야고속
억새에 기생하는 한해살이풀
길이 5~7cm이다
줄기가 짧기 때문에 거의 지상으로 나타나지 않고 몇 개의 적갈색 비늘조각이 어긋나기한다
꽃은 8~9월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옆을 향한 큰 꽃이 한 개 달린다
열매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1~1.5cm로서 1실이며 적갈색의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많지 않다.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 서울시 하늘공원에서 발견되었다
줄기는 극히 짧아 지상으로 거의 나오지 않는다
엽록소가 없고 전체가 갈색을 띠며 풀밭의 벼과식물, 특히 억새류의 뿌리에서 기생한다
가지더부살이20080714선자령
Phacellanthus tubiflorus Siebold & Zucc.
열당과 가지더부살이속
산지 숲속 그늘진 곳에서 다른 식물의 뿌리에 붙어사는 여러해살이 기생식물
높이 5~10cm 줄기는 육질로 모여난다 잎은 인편상으로 난형이다
잎은 어긋나며 비늘 모양으로 길이 4~8mm,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은 7월 줄기 끝에 5~10개가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처음에는 흰색으로 피며 점차 노란색을 띤다
꽃부리 통부는 길이 2~3cm, 아래쪽 조각은 3갈래로 갈라지고, 위쪽 조각은 부채 모양이다
꽃이 두상으로 모여나고 꽃받침은 2편으로 떨어져 난다
참나무류 나무 뿌리에 기생한다
초종용20140601대청도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희귀식물
열당과 초종용속
바닷가 모래땅에 드물게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 기생식물
높이 10-30cm 줄기는 외대로 곧추서며 노란빛이 도는 갈색이다
뿌리줄기는 통통하고 다육질의 수염뿌리가 사철쑥 뿌리에 붙는다
줄기에 나는 비늘잎은 어긋나며 백색의 피침형이다
꽃은 5~6월 연한 자주색 줄기 위쪽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수술은 4개이며 그중 2개가 길다
거의 전도에 나며 바닷가나 강가의 모래 땅에 산다
쑥속 특히 사철쑥 뿌리에 기생한다
초종용20140601대청도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희귀식물
열당과 초종용속
백양더부살이20070511백양사
Orobanche filicicola Nakai
멸종위기식물 2급 특산식물
열당과 초종용속
한해살이풀
높이 10~30cm 정도이다 줄기는 갈색빛이 돈다
잎은 비늘조각 같은 길쭉한 삼각형으로 어긋나게 달려 있고 잔털이 빽빽이 나 있다
꽃은 5~6월 겹에 통꽃이 피고 줄기 밑에서 끝부분까지 1~2cm 정도의 꽃들이 모여달린다
꽃싸개잎은 한 장이며 바늘처럼 생겼다 꽃받침은 2갈래로 갈라지며 꽃은 입술 모양
윗 입술은 보라색 아랫입술은 흰색 수술은 4개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하천변에 사는 쑥류를 기주식물로 삼아 살며 전라남도 백암산 일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황종용20110608두만강주변
Orobanche pycnostachya Hance
열당과 초종용속
여러해살이풀 기생식물
높이 10~30cm 땅속줄기는 굵고 육질이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흰색의 연한 털이 있다
잎은 비늘 모양 줄기에 듬성하게 붙는다
꽃은 5~6월 연한 노란색 줄기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에 흰색의 연한 털이 많다
암술대는 꽃부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 7~8월에 익으면 2갈래로 터진다
한반도 북부지방 바닷가 초지에서 쑥속 식물의 뿌리에 붙어사는 기생식물이다
이명 : 노랑개더부사리 노랑갯더부살이 노랑쑥더부사리 노랑쑥더부살이
오리나무더부살이20110805북백두소천지
Boschniakia rossica (Cham. & Schltdl.) B.Fedtsch.
열당과 오리나무더부살이속
한해살이풀
높이 15~30cm 줄기는 곧추서며 둥근 기둥 모양으로 전체가 노란 갈색이고 다육질이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줄기에 빽빽하게 달린다. 잎몸은 삼각형으로 길이 7~10mm이며 끝이 뭉툭하다
꽃은 6~8월 어두운 보라색 줄기 윗부분의 이삭꽃차례에 많이 달린다
꽃싸개잎은 삼각형 꽃받침은 잔 모양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깊게 5갈래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길이 15mm쯤으로 입술 모양이다 윗입술은 둥글고 아랫입술은 짧으며 3갈래로 갈라진다
높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고 두메오리나무 뿌리에 기생한다
중국에서는 불로초라고 한다
개종용20100514울릉도
Lathraea japonica Miq.
희귀보호식물 특산식물
열당과 개종용속
여러해살이풀
꽃대의 길이 10~30cm이다
꽃대(인편엽)에 비늘 잎이 드문드문 달리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고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엽록소가 없으므로 전체가 약간 자갈색을 띤 흰색이다
꽃은 4~5월 분홍빛이 도는 흰색 줄기 끝에서 난 길이 5~13cm의 총상꽃차례에 여러 개가 달리며
꽃싸개잎은 막질로 넓은 피침형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삭과 2개로 갈라진다
숲속에서 참나무과나 자작나무과 버드나무과 식물의뿌리에 기생한다
울릉도에 자라는 기생성 식물로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다
첫댓글 햐~도감용으로 올려주신 사진들도 한결같이 멋집니다
열당과 7종중 오리나무더부살이만 못봤고 나머지 6종은 모두 만나보았습니다
사이트나 이곳에 올려주시는 사진과 자료를 보면 늘 감탄하게 됩니다
동정포인트도 머리에 쏙 들어오게 정확하게 잡아주시고 사진도 예술입니다
마포 도화동에 큰딸네가 살고 있어 하늘공원까지 10여분 거리더군요
9월초쯤에 외손녀 보러 가자고 마님을 꼬드겨서 외손녀도 보고 야고도 보고 와야겠어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09 08:2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09 08:3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09 08:34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09 09:0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17 16:2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21 06:01
별꽃님의 열당과 정리 즐겁고 유익하게 공부합니다. 몇번이고 봐야겠네요.
늘 건강하시구요^^
귀한 친구들을 정성스럽게 정리해 주심에 열당과 친구들을 두루 감사히 보며 배웁니다. 고맙습니다.
저도 백두에서 오리나무더부살이를 만나적 있어요
자세한 설명 감사 합니다
열당과 식물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올려중시니 비슷한 종류를 비교하며 익혀봅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