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청 향 문 학
 
 
 
카페 게시글
― ······【 문학♡자료 】 스크랩 ♡독후감♡ 습관의 힘 (독후감)
차사랑 (tea111) 추천 0 조회 186 13.09.26 10:02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습관의 힘

화순읍 김정운

(1-3 김성현)

 

최근 베스트셀러로 부상하고 있는 '습관의힘'이라는 책이 나에게 읽여지기까지는 글벗님들과의 좋은 만남의 덕분이 아니었는가 한다. 처음 이 책이 선택 되어질 당시에는 나에게는 달갑지 않은 책이었다. 제목에서 엿 볼 수 있듯이 기승전결이 없어 흥미가 없을 것 같은 나의 잘못 된 선입견이 가득한 상태로 처음 접하다 보니 책 읽기가 매우 더디게 읽어졌다. 읽고 난 지금은 나의 지식의 자루를 가득 채울 수 있는 이 책 읽기를 너무 잘 했고 이 책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주신 글벗님들께 감사를 드려야할 것 같다

 

예일대에서 역사학을 공부했고 하버드 경영대학원 출신 뉴욕타임스 심층보도 전문 기자 『찰스 두히그』가 700여편의 학술 논문과 300여명의 과학자와 경영자를 인터뷰해서 발로 뛰어 밝혀낸 책이다.

  이 책은 개인의 습관, 기업의 습관, 사회의 습관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는데 습관은 반복되는 행동으로 극적인 변화를 말하고 있는데 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열망을 자극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높다.

가장 먼저 책에서 이야기해준 것은 보이지 않는 '습관의 힘'이었습니다 양치질을 전 세계인의 좋은 습관으로 정착시키기 까지는 홉킨스 (광고전문가)의 아이디어였단다. 거품이 나고 박하향이 나는 펩소던트 치약을 전 세계 인류가 구매하여 사용하기까지에는 거품 나는 치약으로 이빨을 닦기만 하면 광고에 나온 하얀 이빨을 뽐내는 미모의 광고 속의 여인들처럼 아름다울 수 있다는 열망에 호소한 광고 하나가 세계인을 이를 닦는 좋은 습관이 되었다 한다.

자신이 행한 어떤 일을 했는지 기억 못 하는 사람이 매일 똑같은 일을 반복하고 행하다 보면 이것이 자연스럽게 습관으로 남아서 몸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습관이라 한다. 기억은 사라져도 습관은 우리 몸속에 남아서 우리를 지배하게 되는데 학습이나 의사 결정에 대해서는 전혀 기억을 하지 못하더라도 무엇인가 무의식적으로 터득하고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것을 입증해 내고 있다. 이것은 기억이나 이성적 판단만이 아니라 습관도 우리의 행동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 습관을 실천하게 되면 크고 작은 보상을 받게 되고 우리의 몸은 그런 보상을 받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습관을 행하게 되는 것이란다. 

좋은 습관에는 긍정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만 나쁜 습관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부정적인 힘도 가지고 있다 한다. 습관의 좋은 힘과 나쁜 힘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는데, 몸에 그대로 새겨진 습관이 결과까지 달라지게 만들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쁜 습관을 고치고 새로운 좋은 습관을 만들려고 한다면 익숙한 신호와 보상을 활용하면 됩니다. 보상을 통하여 새로운 활동을 받아들이도록 설득을 하면 되다고 기술하고 있다.

스포츠 경기에서 연패를 하고, 연승을 하는 것은 어쩌면 습관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매번 지는 팀은 이기는 것을 누구보다 갈망하지만 지는 것이 습관이 되어 연패를 하는 것이고, 이기는 팀은 이기는 것이 습관이 되어 연승을 하게 되는 것이란다. 이 때문에 연승을 당하거나 연패를 당하고 있으면 그것을 깨는 것이 무척 힘들므로. 그 사례례로 미식 축구 리그의 탬파베이 버커니스의 『토니 던지』 감독의 「오랜지색 동네북」인 탬파베이 버커니스 팀을 리그 최고의 팀으로 만든데에는 『던지 감독』의 상대팀의 단점을 파고드는 반복된 게임 기술 훈련과 승리의 의욕을 상승으로 리그 최고의 팀을 만들어 낸 이야기는 습관의 힘을 이해하는 좋은 사례이다.

미국 수영의 영웅 『펄퍼스』도 아주 사소한 습관으로 올림픽 영웅으로 이루었다 하니 『펄퍼스』는 항상 훈련이 끝내고 나면 그 날 훈련 비디오 태입을 보면서 침대에 누워서 수영하는 모습과 기록을 단축하는 모습을 눈을 감고 생각하는 수련법으로 습득 된 습관에 따라 실제 경기에서 행했기에 올림픽 영웅이 될 수 있엇다 하니 좋은 습관의 힘이 자기를 변화 하고 세계를 변화 할수 있었다 한다.

반면에 나쁜 습관은 조직의 습관(조직 내 고착화 된 파괴적 문화)에 지배당한 것이라 한다. 미국 최악의 의료사고, 영국지하철 화제는 모두가 조직 내 고착화 된 파괴적 문화인 아주 사소한 나쁜 습관에 지배되어진 결과였다 하니 습관의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그 외에도 은 습관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례로 흑인 노동자 로사 파크스의 버스 좌석 양보 불응의 사소한 사건이 일어났다. 그 당시 미국에서는 세상을 바꾸려는 사회적 좋은 습관(흑인의 평등권)이 당시는이름없는 아주 적은 새들백 교회(킹목사=지금은 미국 최고의 교회) 에 형성되어 있었다. 『로사 파크스』의 사회적 참여(좋은 습관)와 사회적 좋은 습관과 연대하여 흑인의 평등권이 신장되어 오늘날에는 우리 지구촌을 책임지는 오바마 대통령 탄생으로 이어지는 변화 된 오늘의 모습도 모두가 다 약하고 약한 흑인 여성 노동자 『로사 파크스』와 아주 적은 새들백 교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아주 적은 좋은 습관이 이루어 낸 사례로 소개되어지고 있다.  우리 나라 속담 중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습관은 쉽게 만들어지지도 않지만 한 번 깃들여지면 고치기도 힘듭니다. 우리는 개인적으로 우선 자신의 나쁜 습관을 바꾸기 위해서는 반복행동을 찾고 다양한 보상으로 실험해 보고 신호를 찾고 계획을 세워서 좋은 습관을 습득해 보라는 4단계 법칙 제시로 이 책은 마무리 하고 있다.

 
다음검색
댓글
  • 13.09.29 13:46

    첫댓글 차사랑님 오랫만이군요. 좋은 독후감 감사 합니다. 방가 방가
    '좋은 습관의 힘이 자기를 변화시키고 사회를 변화할 수 있었다'
    '반복행동을 찾고, 다양한 보상으로 실험해 보고, 신호를 찾고, 계획을 세워서
    좋은 습관을 습득해 보라는, 4단계 법칙 제시로 이 책은 마무리 하고 있다.

  • 작성자 13.10.09 06:06

    오랜만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