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경제 동향 및 이슈
1. 경제 동향
3월 수출입 모두 두 자릿수 감소 지속
● 3월 러시아 수출(FOB)은 299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6.3%, 수입(FOB)은 182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0.7%로 수출입 모두 크게 감소
- 지속적인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 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우랄산 원유가격 : 106.7USD/bbl(2014.3) → 54.5USD/bbl(2015.3) - 비CIS 국가로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5% 감소, CIS 국가로의 수출은 25.3% 감소
- 비CIS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34.1% 감소, CIS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43.3% 감소
● 수출과 수입 모두 2014년 8월부터 계속 감소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폭도 줄어들며 118억 달러에 그침
* 2014년 3월 무역수지는 198억 달러 흑자

3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0.6% 감소
● 3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0.6% 감소하였으나 2월에 비해 감소폭이 다소 줄어들었음
- 전월 대비로는 10.7% 증가하며 2014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전환
● 업종별로는 광업과 전력은 각각 0.1%, 0.8% 증가하였으나 제조업은 1.9% 감소
- 제조업 중에서는 섬유(-15.8%), 가죽제품(-15.7%), 제지류(-21.3%) 등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화학제품은 11.4% 증가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달러당 루블 환율은 진정세 유지
●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감과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 달러 강세화 등으로 국제유가는 상승
- 그러나 6월에 개최될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의에서 생산량 동결이 예상되고 있으며, 최근 국제유가가 반등함에 따라 주춤했던 셰일원유 생산이 증가할 가능성도 존재
● 루블화 환율은 국제유가가 상승함에 따라 달러당 50루블 선에서 진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음
4월 소비자물가 전년 동월 대비 16.4% 상승
●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6.4% 상승하며 3월의 최고치에서 다소 감소
- 식품물가 역시 3월에 비해 상승률이 다소 감소하여 21.9%를 기록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상태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킴
* 식품 중에서도 특히 곡류 50.3%, 생선류 33.4%, 육류 23.4%, 빵 15.2%, 유제품 14.5% 등이 높은 증가율 기록
- 비식품물가는 1월 이후 계속 두자리 증가세를 보이며 4월에는 14.2% 증가
* 특히 가정용 전자제품 26.8%, 의약품 25.8%, 세재류 21.6%, 건자재 10.6% 등이 크게 증가
러시아 기준금리 추가 인하하여 12.5%
● 러시아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14.0%에서 1.5%p인하한 12.5%로 결정
-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와 높은 대출금리로 투자가 줄어드는 등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것을 우려한 결정으로 보임
- 계속하여 최고치를 보였던 물가상승률 역시 다소 진정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존재함
고정자산투자 감소세 지속
● 3월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하며 감소세 지속
- 물가 안정을 위한 러시아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상승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러시아 기업의 투자를 저해하였음
- 전월 대비로는 16.3% 상승
- 계속되는 수출 감소와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대출금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기업의 투자가 단기간에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2. 시장정보 및 이슈
2015년 3월 러시아 자동차 판매 전년 동월 대비 42.5% 감소
● 2015년 3월 러시아 자동차 판매량은 총 139,850대를 기록하여 전년 동월 대비 42.5% 감소
● 기업별로는 점유율 1위인 러시아 국내기업 라다社의 판매량이 27,423대를 기록하여 전년 동월 대비 26% 감소했으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각각 13,901대(-15%)와 12,121대(-32%)를 판매하여 2위와 3위를 기록
- 대부분 주요 기업들의 판매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혼다자동차가 220대를 판매하는데 그쳐 판매량 하락폭(-91%)이 가장 크게 나타남
- 그 외 도요타(-34%), 르노(-43%), 닛산(-51%), 쉐보레(-74%), 포드(-73%), 오펠(-78%), 푸조(-79%), 시트로앵(-79%) 등 유럽과 미국, 일본기업들의 판매량이 큰 폭으로 감소
GM社, 2~3년 후 러시아 시장 재진출 시사
● 최근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한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체 GM社은 2~3년 내에 러시아 시장으로 재진출 할 계획을 발표
- 2015년 3월 GM社는 러시아 내 어려운 경제상황을 이유로 자사 대표 브랜드인 Opel과 Chevrolet를 철수시키기로 결정
● GM社의 철수와 더불어 러시아는 칼리닌그라드,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지역에서 엔지니어, 판매원, 조립공 등 약 15,000명의 관련분야 실직자가 추가적으로 발생
- 다른 자동차 생산업체들도 러시아 내 생산을 줄이는 추세이므로 실직자들이 기존과 유사한 직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
● 러시아 자동차 시장은 어려운 경제상황과 맞물려 그 규모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며,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보다 작아져 현재 유럽 내 5위로 하락
러시아인의 약 절반, 올해 식품 구매 24% 줄여
● 러시아인의 절반가량이 올해 식품구매를 24% 줄였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가격 인상폭이 높은 육류, 과일, 채소, 치즈류 등을 구매하는데 어려움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식품구매를 줄인 이들의 48%는 과자류에 대한 소비를 줄였으며, 초콜릿, 주스, 채소, 육류 등을 줄인 비율은 45%에 달함
- 유제품과 주류 구매를 줄인 비율도 각각 37%, 28%에 달했으며, 식품을 제외한 제품 중에서는 청소 및 빨래용품에 대한 구매가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X5 Retail Group社, Spar Retail社 주식 100% 소유하며 매장 확대 예정
● 러시아 내 매출액 기준 2위 유통업체인 X5 Retail Group社는 Spar Retail社의 주식을 100% 인수
- X5 Retail Group社는 러시아 내 5,639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인수를 통해 향후 3∼4년 이내 모스크바 내 약 200개의 신규 Spar매장을 오픈할 예정
● 인수 후에도 Spar Retail社의 브랜드명은 그대로 사용할 예정
* Spar Retail社는 2000년 러시아로 진출한 네덜란드계 유통업체로, 2014년 말 기준 러시아 내 420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년 순 매출액은 740억 6천만 루블(약 1조 5,970만 원)
러시아 남성 화장품시장, 꾸준한 증가세
● 러시아 남성용 화장품 시장은 지난 6년 동안 약 70% 증가하였으며, 앞으로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리터칭 제품, 안티 에이징, 자외선 차단제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
● 러시아 남성들은 한 달에 약 4,000루블(약 81,000원)을 화장품 지출에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됨
- 2014년에는 남성의 74.8%가 면도관련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이 밖에 에프터쉐이빙 제품, 향수, 데오드란트를 이용한 비율도 각각 71.4%, 67.8%, 59.3%로 높게 나타남
- 핸드크림과 풋크림을 이용하는 남성은 각각 10.6%와 4.0%로 조사됨
●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로는 Nivea가 18.9%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Pure Line(14.6%), Avon(13.0%), Vherny Zhemchug(7.8%), Oriflame(6.0%)순으로 나타남
러시아, LNG가스 생산량 증대 예정
● 러시아는 현재 세계 LNG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인 3.9%를 2025년까지 19.3%로 늘릴 계획
- 2013년 러시아의 LNG 생산량은 총 1,080만 톤이었으며, 2025년까지 8,700만 톤으로 늘릴 것으로 전망
● 현재 러시아에서 운용중인 LNG 플랜트는 Sakhalin-Ⅱ 한 곳 뿐이며, 향후 러시아 정부는 국부펀드를 이용해Novatek社가 진행하는 Yamal LNG 프로젝트를 지원할 예정
- 가즈프롬社는 블라디보스톡 LNG와 발틱 LNG시설을 건설 중이며, 로스네프트社는 극동 LNG, 페초라 LNG 건설에 착수했으나, 현재 진행 중인 모든 프로젝트는 2020년대 초 생산이 가능
키르키즈스탄, 유라시아경제연합(EEU) 가입 초읽기
● 키르키즈스탄이 빠르면 5월 말 유라시아경제연합의 5번째 공식 회원국으로 승인될 예정
- 키르키즈스탄은 5월 8일 모스크바에서 회원국들과의 최종 협의 및 비준절차를 거친 뒤 비준이 완료되는 시점인 5월 말에서 6월 초 완전한 공식 회원국으로 거듭나게 됨
● 키르키즈스탄은 유라시아경제연합 가입을 바탕으로 자국의 저렴한 세금과 인건비, 인프라 가격을 이용해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투자유치를 기대
- 그러나 키르키즈스탄 내 16만 명이 종사하는 중국제품에 대한 중계무역이 불가능해 질 것이며, 현재 5.4%의 평균 관세에서 8.0%로 관세가 상승함에 따라 물가상승 등이 예상되어 서민경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음
가즈프롬社, 페트로베트남社와 협력 강화 합의
● 러시아의 가즈프롬社는 베트남의 에너지기업인 페트로베트남社와 석유, 가스 산업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것에 합의
- 이번 합의로 가즈프롬社는 베트남의 Dung Quat 정제소 지분의 49%를 취득하게 되었으며, 베트남 내에서 석유, 가스 탐사와 생산의 확대 등을 통하여 에너지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전망
● 가즈프롬社는 페트로베트남社의 지분을 총 49%까지 취득할 수 있는 독점 협상권을 얻음
● 두 기업은 Dung Quat 정제소의 현대화를 통해 연간 생산량을 650만 톤에서 850만 톤으로 늘릴 것을 기대하고 있음
- 그러나 외국 기업들이 對러 제재 위반에 대한 우려로 공급을 미루고 있고, 가즈프롬社 또한 유가 하락에 따른 재정압박으로 인해 정제소 현대화 계획 역시 지연되는 중
포브스 'Global 2000', 러 기업 일제히 순위 하락
● 포브스에서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Global 2000에서 러시아 기업들의 순위가 일제히 하락
- 러시아 최대기업 가즈프롬社는 전년도 21위에서 금년 27위로 하락했으며, 나머지 기업들 역시 Rosneft(34위 → 59위), 스베르방크(58위 → 124위), 루크오일(83위 → 109위) 등 순위 하락을 보임
- 이번에 선정된 2,000대 기업에서 러시아 기업은 총 27개로 작년 26개와 거의 동일하며, 이들 중 순위가 오른 유일한 기업은 노보리페츠크 스틸社로, 작년 1,248위에서 1,016위로 200단계 이상 상승
● 러시아 기업들이 고전하는 원인으로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의 對러 경제 제재와 루블화 환율 하락 등의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됨
SNS 프로그램 VK 이용자 수, Channel One社 이용자 수 초과
● 러시아 최대의 SNS인 VK가 하루 이용자 수 1,320만 명을 기록하여 1,090만 명을 기록한 Channel One社를 넘어 1위를 차지
* VK는 러시아뿐만 아니라 CIS권에서 광범위하게 이용하는 최대의 SNS 사이트로, 러시아의 페이스북이라 불리며, 러시아 내 이용자 수는 페이스북 이용자의 8배에 달함
- VK는 최소 하루에 한 번 사이트를 방문한 이용자를 집계하였으며 Channel One은 하루에 1분 이상 채널을 시청한 이용자를 집계
● 러시아 내 VK과 같은 IT 업체들은 온라인 문맥광고 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인한 광고수익에 힘입어 가파르게 성장
- 올해 1분기 전체 광고시장과 TV 광고시장이 각각 17%, 22% 감소한 반면, 온라인 분야는 문맥광고의 성장으로 16% 성장하는 등 앞으로도 온라인 광고시장의 강세로 인한 인터넷 기반 업체들의 성장이 예상됨
전자제품 소매업체 Eldorado社, 2015년 50개 매장 추가 개설 계획
● 러시아 전자제품 소매업체 Eldorado社는 올 해 러시아 내에 50개의 매장을 추가할 계획
* Eldorado社는 러시아 내 가장 많은 매장을 보유한 체코 투자그룹 PPF계열의 전자제품 소매업체이며, 판매량에 있어서 러시 아의 M.Video社에 이어 2위
- 매장 확대를 위해 Eldorado社는 PPF그룹과 Emma그룹으로부터 1억 4,20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이를 향후 러시아 내 매장 개수를 확대에 사용할 예정
- 이를 통해 Eldorado社는 시장점유율을 2014년 8.6%에서 2017년 12.0%까지 확대할 것을 기대
3. 한 · 러 수출입 동향
3월 對러 수출입 모두 감소세 심화
● 수출은 3.7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7.0% 감소
● 수입은 10.2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1.3% 감소
● 무역수지 적자폭은 소폭 감소하여 6.5억 달러를 기록

품목별로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감소세 지속
● 러시아 경제위기와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자동차 업계는 수출을 중단하거나 수출 물량을 줄이고,
현지 생산으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수출의 감소세가 계속
- 전반적인 수출감소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처리기 수출 증가로 전자응용기기 수출은 30.1% 증가
● 석탄(114.6%), 천연가스(305.6%), 우라늄(3.2%) 등 원자재와 명태, 게 등 어류(34.9%) 수입이 증가
- 천연가스는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증가율을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