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은 서울에서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을 정도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으면서도 볼거리가 다양해 서울 근교 나들이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곳이다.
지난번에는 밤이 되면 커다란 보름달을 만날 수 있는 수원 화성행궁 야간개장을 즐기고 왔었는데, 이번에는 가볍게 공원의 산책을 즐기며 박물관과 역사 유적지까지 구경할 수 있는 광교역사공원에 다녀왔다.
> 수원 화성행궁 야간개장의 보름달이 궁금하다면?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0927201425()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0927201425");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0927201425");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7.29707,127.05300],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7.29707, lon:127.05300, text:"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역사공원",color:"green", title:"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역사공원",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0927201425);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광교역사공원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있는 역사공원으로 광교역에서는 도보 약 20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지하철 보다는 버스를 이용해 찾아가면 편하다.
광교역사공원에는 수원광교박물관외에도 안효사와 청천부원군 심온선생의묘, 광제사와 혜령군 이지의묘, 예천군 이수의묘, 축산군 이효식의묘가 있다. 공원 산책을 즐기며 반나절 코스로 둘러보기에 충분하다.



버스에서 내리면 가장 먼저 경기도 기념물 제 53호로 지정된 청천부원군 심온선생의묘가 보인다. 심온 선생은 세종대왕의 장인으로 세종의 왕비 소헌왕후 심씨의 아버지이다.
심온선생의묘에는 사당인 안효사도 함께 있는데 사유지인데다가 개방을 하지 않아 아쉽게도 들어갈 수는 없었다. 그래서 멀리서나마 안효사와 청천부원군 심온선생의묘를 보고 난 뒤 수원광교박물관으로 향했다.


수원광교박물관은 총 2층으로 다른 박물관에 비하면 규모가 크다고 할 수 없지만 내부는 알차게 전시되어 있다. 관람시간은 9시부터 18시까지, 입장마감은 17시까지. 입장료는 성인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1,000원이다. 매달 첫째 월요일은 휴관일이라고 하니 방문전에 참고하자.

전시는 크게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뉜다. 상설전시의 경우 1층에는 광교의 역사를 만날 수 있는광교 역사문화실이 있고, 2층에는 한국 현대사의 다방면에 걸친 소강 민관식의 기증사료가 전시된 소강실과 사운 이종학의 역사 자료를 모아놓은 사운실이 있다. 빠르게 둘러본다면 1시간 정도, 느긋하게 둘러본다면 2시간 정도 소요된다.

1층에는 광교신도시 조성 시 출토되었던 유물들을 중심으로 전시가 되어있어 교과서에서 만났던 신석기시대 집터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 삼국시대 집터에서 출토된 굽달린 짧은 목단지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그중에서 가장 눈길이 갔던건 심온선생모표. 앞서 출입할 수 없어서 아쉬웠는데 이렇게 박물관에서나마 모표라도 만나볼 수 있었다. 대리석 전면에는 '유명조선국 대광보국승록대부영의정부사영서운관사청천부원군 증시안효심공지묘'라고 적혀 있었는데 벼슬과 관직 이름, 시호에 해당한다고 한다.


2층으로 올라가면 우선 소강 민관식이 기증한 자료들이 모여있는 소강실을 마주하게 된다. 민관식은 국회의원, 대한체육회장, 문교부장관, 국회의장 직무대리 등을 역임한만큼 한국 현대사의 정치·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기증사료가 많이 전시되어있었다.

특히 스포츠 관련 자료가 많이 전시되어 있어 대한민국 스포츠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것도 흥미로운 점 중 하나. 1988년 제 24회 서울올림픽 성화봉을 포함한 올림픽, 아시아 경기대회 등 스포츠 관련 자료 100여점이 전시되어 있어 하나하나 살펴보는 재미가 있다.

손기정 청동투구 : 1988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에서 제작한 청동투구 복제품. 서울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에게 수여할 목적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우승 부상품으로 받았던 청동투구를 복제했다. 진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인 손기정 청동투구가 궁금하다면?

1988년 제 24회 서울올림픽 성화봉 : 높이 505mm에 황동과 구리로 만들어진 서울올림픽 성화봉. 성화봉 상단 화로 부분에 동서양의 화합을 두 마리 황룡이 새겨져 평화와 젊음을 나타낸다고. 윗 부분에 24개의 구멍을 뚫어 24회 서울대회를 상징하고 있다.


소강실을 구경하고 나면 기획전시실과 연결되는데 방문했을 당시에는 ‘시민의 힘! 민주주의를 꽃피우다’ 라는 테마로 대한민국 민주 정치의 발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4.19 혁명 60주기를 맞이해서 소장유물 중에 국회 및 선거자료를 모아 전시하고 있었는데 홈페이지에 따르면 해당 테마전은 10월 25일까지 진행된다고 적혀있었던만큼 곧 새로운 전시를 만나 볼 수 있을 것 같다.


기획전시실을 둘러보고 나면 마지막으로 사운실에 방문하게 된다. 사운실은 주변국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역사와 영토를 지키기 위해 사료 수집에 평생을 바친 사운 이종학 선생님이 모아온 자료를 만나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이순신 장군을 비롯해 독도에 관한 자료를 만나볼 수 있는데 얼마전 10월 25일이 독도의 날이었던만큼 독도가 우리 땅임을 증명하는 관련 자료를 사운실에서 만나보아도 좋다.

관람을 마치고 나오면 박물관 밖에서도 야외 전시를 만날 수 있다. 창덕궁 후원 연경당으로 들어가는 길에 세워져 있었던 돌문인 불로문과 조선시대 돌방무덤, 통일신라시대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이 있는만큼 그냥 지나치지말고 같이 둘러보는걸 추천한다.

그리고 박물관 뒤로는 광제사와 혜령군 이지의묘, 예천군 이수의묘, 축산군 이효식의묘를 만날 수 있다. 비록 사당인 광제사는 안효사와 마찬가지로 들어가볼 수 없었지만 혜령군 이지의묘 그리고 예천군 이수의묘와 축산군 이효식의묘는 볼 수 있다.


사당 옆으로 가면 우선 혜령군의 아들 예천군과 손자 축산군의 묘가 있고, 그 위로 올라가면 태종의 아홉번째 왕자 혜령군과 그의 부인 무송윤씨를 합장한 쌍분의 묘역을 볼 수 있다.
세종의 신임을 받았으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혜령군묘는 수원 지역의 유일한 왕자 묘인데다가 혜령군 이지의묘 아래로 펼쳐 보이는 수원 광교의 전경이 꽤 멋져서 박물관과 함께 들려 볼만하다.
이처럼 광교역사공원은 수원광교박물관을 비롯해 심온선생의묘와 혜령군묘 등 역사유적지가 함께 자리하고 있어 반나절 산책코스로 방문하기에 제격이다. 근처에 광교카페거리도 있는 만큼 이번 주말은 향긋한 커피와 함께 광교역사공원을 산책해보는건 어떨까?
수원광교박물관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82
- 전화번호 : 031-228-4175
- 관람시간 : 09:00~18:00 (매표마감 17:00)
- 입장료 : 성인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1,000원, 어린이 및 노인(12세이하 65세이싱) 무료
- 휴관일 : 매달 첫째 월요일
<해당 기사는 2020년 10월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 CK googlemapsEnd v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