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재(四十九齋)는 원시불교인 인도의 불교에서 성립된 것이 아니라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도교의 시왕(十王)사상과
불교의 윤회사상 그리고
유교의 조령숭배(祖靈崇拜)사상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제사의례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 까지를 중음(中陰), 중유(中有)라고 부른다.
명부시왕전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시간인 것이다.
7일마다 시왕을 바꾸어 가며 심판을 받는다.
49일 안에 일곱 번 심판을 받는 셈이 된다.
이때의 영혼을 흔히들 중음신(中陰神)이라고 한다.
아직 사후 인생이 결정안된 불귀의 혼인 셈이다.
그 7일이 일곱번 되는 49일 동안에 다음 생을 받을 연이 정해진다고 한다.
이 때문에 불교에서는 죽은 영가를 위해 매7일 마다 재를 올리고
7.7일 즉 49일째 되는날 그 동안 다음 생을 받지 못하고
중유,중음으로 있는 영가를 위해 천도재를 올리는데 이 불교의식이 49재이다.
원래 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따르면
개인의 생전의 행위 자체에 대한 업보(業報)는 그 사람 개인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 또는 그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으며
전가시킬 수도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유교사상은 이 49일 동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그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재를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후예들의 공덕에 힘입어
보다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또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불교에서도 ‘무아설’과 달리 육도(六道) 사상적 해석에 따르면,
모든 중생은 육도, 즉 천상(天上)·인간(人間)·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
아귀(餓鬼)·지옥도(地獄道) 등 여섯 세계를 윤회하고 있으므로
죽은 가족이 이 중 이른바 삼악도(三惡道; 지옥도·아귀도·축생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는 기도 행위가 49재라는 것이다.
사실 49재는 불교에서 지내는 천도재(薦度齋)의 하나로서
불교에서는 부처님과 스님께 올리는 공양이나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불공의식을 ‘재’라고 한다.
불가에서 지내는 천도재 중 가장 잘 알려 진 것이
바로 죽은이의 극락왕생을 49일 동안 기도하는 49재이고
그 밖에도 100일재·소상·대상 등이 있다.
사람이 죽으면 7일째 되는 날부터 49일째 되는 날까지 매7일마다,
그리고 100일째와 1년째, 2년째 되는 날 이렇게 모두 합하여 10번을
명부시왕으로부터 한번씩 심판을 받는다고 하는데
이중에서 49재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명부시왕 중 지하의 왕으로 알려진 염라대왕이 심판하는 날이
바로 49일째 되는 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불교신자가 아니라도 49재만큼은 꼭 치렀다.
불가에서는 명부세계(冥府世界)를 관장하는
시왕(十王)의 심판 및 형벌과 관련시켜 7일마다 재를 지내는데
이는 명부가 고통이 매우 심한 곳이고,
10대왕은 고통받는 명부의 죄인을 관장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불교와 도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10대왕의 관용을 빌기위해
초7일, 2.7일, 3.7일, 4.7일, 5.7일, 6.7일, 7.7일과 100일째 되는 날, 1주기, 2주기 때
이렇게 열 번의 재(齋)를 지내도록 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앞의 일곱은 49재,
뒤의 셋을 백재(百齋). 소상재(小祥齋). 대상재(大祥齋)라 칭한다.
이와 같이 각 대왕들이 49일 중 매 7일마다 한번씩
죽은 이가 지은 생전의 업을 심판하여 벌과 상을 주므로,
그날마다 재를 지내줌으로써 부처님의 가피 아래
벌을 면하고 좋은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의식절차에 따라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와 각배재(各拜齋)·영산재(靈山齋) 등으로 나뉘는데,
이 중 상주권공재가 가장 기본적인 의식이며,
여기에 명부신앙에 대한 의례를 더한 것이 각배재이고
번화신앙을 가미한 것이 영산재이다.
특히 영산재는 의식이 장엄하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와같은 천도재는 일반적으로 사찰의 명부전에서 치른다. |
첫댓글 _()_
감사합니다..잘 알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