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잉글리시 포인터 (English Pointer)
► 이 명 : 포인터(Pointer), 포인터 엉글레(Pointer Anglais), 잉글리셔 포인터(Englischer Pointer), 포인터 잉글리셔(Pointer Englischer), 포인터 잉글레스(Pointer Inglés)
► 외 관 :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의 외모는 체고가 수컷 60~70㎝, 암컷 58~66㎝이며, 체중은 수컷이 25~34kg, 암컷 20~30kg으로 중형 내지는 대형견이다. 이 개의 높이 달려있는 귀는 경계 중일 때에도 축 쳐져 있다. 길고 경사진 어깨에서부터 발목까지 곧은 선이 있으며, 주둥이는 약간 아치형을 이루고 있고, 코는 냄새를 잘 맡도록 들려있다. 허벅지는 야위었지만, 근육이 발달되어 있으며, 발은 타원형이고 발가락은 아치형이며 발바닥은 충격을 잘 흡수하게 되어있다. 강한 털은 곱고 부드러우며 윤기가 흐른다. 모색은 레몬&화이트(Lemon & White), 오렌지&화이트(Orange & White), 리버&화이트(Liver & White), 블랙&화이트(Black & White) 등이 있다.
► 설 명 :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는 집 지키는 능력은 부족하지만 활발하고 사교적인 사냥개로 사냥할 때나 평소 생활할 때나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아는 영리한 사냥개이다. 일반 가정에서 지내도 인내심이 강하고 충실하며 어릴 때부터 사회성을 길러주고 훈련을 반복하면 성견이 되고 난 다음에도 안심하고 아이 돌보기를 맡길 수 있다. 그러나 어릴 때는 훈련이 완벽하게 되어도 아이들에게는 조금 시끄럽게 굴지도 모른다. 경계심이 적어서 집 지키는 개로는 적당하지 않다. 반려견으로도 키우지만 여전히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능력이 뛰어난 개이다. 평균 수명은 12~14년 정도이다.
잉글리시 포인터는 성격이 밝고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과 놀기를 좋아하며 주인에게 순종하는 사냥개로 기운이 넘치고 도무지 지칠 줄 모른다. 산책하러 나가면 신경 쓰이는 냄새를 쫓아서 끝없이 따라간다. 마음대로 돌아다니게 놓아두면 하루 종일이라도 돌아다닐 수 있으므로 적어도 아침 저녁 하루 2번, 1시간씩 산책을 시키고, 산책코스를 돌고 난 뒤에는 집으로 돌아가는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 산책을 하면서 가볍게 달리는 것도 좋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는 강건한 견종이다. 다만, 관절계통의 질병이나 다른 포인터 종과 마찬가지로 피부병에도 비교적 잘 노출이 되는 편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백내장이나 안검내반증 등 안구 관련 질병과 늘어진 귀로 인한 외이염 등 귓병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단모 종임에도 불구하고 털이 다소 많이 빠지는 편이며, 털갈이 시기에는 특히 털이 많이 빠지므로 단모용 빗으로 자주 빗질을 해 주어야 한다.
잉글리시 포인터는 사냥개로 기운이 넘치고 도무지 지칠 줄 모르는 견종이기 때문에 하루 2번, 1시간 정도씩 산책을 시켜 주어야 한다. 운동량이 부족할 경우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서 답답해하거나, 땅을 심하게 파헤치는 등 파괴적인 행동까지 하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하므로 매일 충분한 운동은 필수적이다.
► 기 원 :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 또는 포인터(Pointer)]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포인터는 전적으로 영국에서 사육되었다. 사육 도중에 특정 단계에서는 옛 스페니얼(Spaniel), 세터(Setter)의 혈통이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온순하며 복종적이고 생물을 다소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포인터의 초기 사육 목적은 개의 자연스러운 행동과는 다소 반대되는 것이었다. 그것은 산토끼를 발견하면 그대로 서서 방향을 지시해주어 그레이 하운드(Grey Hound)가 그것을 쫓아가서 잡도록 해주는 일이었다. 포인터는 선별적으로 사육되어 매우 유순하고 훌륭하며 순종적이지만, 때때로 매우 민감하기도 하다. 상냥한 기질 덕분에 가족의 애완견, 반려견으로 이상적이다.
► 비 고 :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는 1963년 3월 5일 FCI(세계애견연맹)에서 7그룹인 ‘포인팅 도그(Pointing Dogs)’ Section 2 ‘브리티시&아이리시 포인터&세터 종(British and Irish Pointers and Setters)’ 넘버 1번으로 공인되었다. 이 외에도 AKC (Sporting), ANKC Group 3 (Gundogs), KC (UK) gundog, CKC Group 1 (Sporting Dogs), NZKC Gundog, UKC Gun Dogs 등의 단체에도 가입되어 있다.
► 참 고 : 포인터 견종은 유럽 각국에 많이 있으며, 새를 잡는데 주로 이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이 견종이다. 새를 잡는 견종 중에서 그 자태와 성능에 있어서 빼어나게 우수하므로 세계 각국에서 사육되고 있으나, 그 역사는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스페인 또는 포르투갈의 토착견이 조상견이라고 생각되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시(1703~1714년) 영국에 전해졌다.
이 견종을 토대로 프렌치 포인터나 이탈리안 포인터에 폭스하운드 등의 혈통을 더하여 고정시켰다. 야수파 화가인 조지 스텁스(1774~1805년)가 이 견종의 그림과 오래된 타입의 포인터 그림을 많이 그렸다. 그 후 블러드 하운드나 그레이 하운드 등을 이용하여 후각과 함께 주력의 향상을 위한 개량이 있었고, 영국산 걸작 견종의 하나로 불리어 지게 되었다. 목표(포획물)를 발견하면 자세를 낮게 하고 한쪽 다리를 들어 포인트를 알리는 것에 비롯하여 견종명이 되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잉글리시 포인터의 체고는 55~68㎝ 정도이고, 체중은 23~30kg 정도로 중대형~대형견이며, 대체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몸 전체가 균형이 잘 잡혀 있고, 또 비교적 체격이 좋으며, 아웃 라인은 우아한 커브를 그리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힘이 있으면서도 부드러운 외모를 하고 있다. 외모의 특징은 근육질의 몸매와 귀족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랑스럽게 갖추어진 머리를 가지고 있다.
► 머리 : 두개골의 너비는 중간 정도로 얼굴의 길이와 비율이 잘 맞는 편이고 후두부가 돌출된 편이며, 스톱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 코 : 코는 색이 짙고, 모색이 흰색이 섞인 레몬색인 경우는 코 색깔도 옅을 수 있으며, 콧구멍이 넓으면서 코가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촉촉하다.
• 입 : 주둥이는 약간 오목한 형태로 콧구멍 높이까지 평평하게 이어져 코끝이 살짝 들린 것처럼 보이고, 눈 아랫부분은 약간 오목하며, 입술이 잘 발달된 편이고 부드럽다. 턱은 튼튼하고, 이빨은 구성이 모두 갖추어져 있으며, 치열이 고르면서도 윗니가 아랫니를 덮으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이다. 볼은 광대뼈가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 눈 : 눈은 뒷머리부터 눈까지 거리와 눈부터 콧구멍까지 거리가 동일하고, 총명하면서 친절한 분위기를 풍긴다. 색깔은 모색에 따라 녹갈색이나 갈색이다. 도전적이거나 노려보는 눈빛이 아니어야 하며, 코 아래로 눈을 내리 깔지 않아야 한다. 눈 가장자리는 짙은 색이나, 모색이 흰색이 섞인 레몬색인 경우에는 색이 옅을 수도 있다.
• 귀 : 귀는 귓불이 얇고, 두개골에서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머리 가까이로 늘어뜨리고 있다.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끝이 약간 뾰족하다.
► 목 : 목은 길고 근육질이며, 약간 아치형이고, 어깨에서 툭 튀어나온 형태를 띤다.
► 몸통 : 허리는 탄탄한 근육질이며, 약간 아치형이면서 짧고, 가슴은 내부에 큰 면적이 확보될 만큼 너비가 충분히 넓은 편이다. 가슴 아랫부분은 앞다리 무릎까지 깊이 이어지고, 늑골은 충분히 휘어 있으며, 허리부터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몸 뒤쪽까지 길게 자리하고 있다.
► 꼬리 : 꼬리의 길이는 중간 정도로 뿌리 부위가 굵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며, 털이 밀도 높게 충분히 덮여 있다. 꼬리를 등 높이로 올리고 있으나 위로 동그랗게 말아 올리지는 않아야 한다. 잉글리시 포인터 꼬리의 특징 중 하나가 움직일 때는 꼬리가 양 옆으로 흔들린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있고 탄탄하다, 뼈가 타원형으로 둥그스름하며, 다리 뒷부분에 굵은 힘줄이 드러난다. 어깨는 길고 비스듬하며, 뒤로 충분히 젖혀진 형태이다. 발목은 길고 튼튼하며, 탄력이 있으며 약간 비스듬하다. 앞발은 타원형이고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발가락은 타원형이고 패드가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근육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고 엉덩이 뼈가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튀어나와 있으나 등선 위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허벅지는 윗부분이 매우 넓적하고 무릎은 충분히 굽어 있으며, 허벅지 하부가 매우 넓다. 비절은 바닥 가까이 낮게 위치를 하고 있고, 뒷발은 타원형이며, 서로 밀착되어 있다. 발가락은 타원형이며 패드가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 털과 색 : 털은 가늘며 단모로 견고하고,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 털은 완전히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확실한 광택이 있는 직모를 가지고 있다. 모색은 흰색과 머리 부분의 검은색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갈색과 오렌지 또는 흰색바탕에 검 붉은색 반점을 가지고 있는 개체들도 많이 있다. 단색이나 삼색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트라이컬러도 인정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경쾌한 걸음걸이로 지면을 넓게 포괄하면서 걷는다. 걸을 때 뒷다리에서 동력을 얻는다. 앞다리 무릎은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하며, 걸을 때 앞발을 지나치게 높이 들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