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풀(연명초)
항암 식욕부진 소화불량 간염 위염에 효험
▶ 항종양작용(항암작용), 면역 계통에 영향, 청열해독 작용, 활혈 작용, 두피살균효과, 쓴맛건위작용, 식욕부진, 소화불량, 여자의 생리가 없는 증상, 타박상 , 관절염으로 관절의 마디가 붓고 아픈 증상을 해소, 청열해독, 활혈소종, 간염, 위염, 유선염, 경폐, 질타손상, 관절동통, 뱀이나 독충에 물린데, 혈행촉진, 발모제, 위염과 유방염, 간염 초기 증상에 해열, 소염, 해독 효과를 보이는 방아풀(연명초)
방아풀(Isodon japonicus)은 꿀풀과 산박하속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산박하속은 전세계에 약 4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산박하(깨잎오리방풀, 깻잎나물), 흰산박하, 깨나물, 영도산박하, 긴잎산박하, 방아풀(방아오리방풀, 회채화), 자주방아풀(자주오리방풀), 오리방풀, 둥근오리방풀, 지리오리방풀, 흰오리방풀 등이 자라고 있다.
50~100cm 높이로 자라는 네모진 줄기는 능선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줄기에 마주나는 넓은 달걀형의 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은 잎자루로 흘러 좁은 날개가 된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8~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입술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피는데 암술과 수술이 꽃잎 밖으로 나온다. 꽃자루는 꽃보다 길다. 편평한 타원형의 수과 열매 끝 부분에 선점이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산박하에 비해 잎은 넓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6~15cm로서 크며, 꽃은 연한 자주색, 수술과 암술은 화관 밖으로 나오므로 구분된다. 산박하의 꽃자루는 꽃보다 짧지만, 방아풀의 꽃자루는 꽃보다 길므로 구분할 수 있다.
방아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향다채[香茶菜: 영하중초약수책(寧夏中草藥手冊)], 도근야초[倒根野蘇: 동북상용중약수책(東北常用中藥手冊)], 산소자[山蘇子, 야소자:野蘇子: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회채화[回菜花: 중국경제식물지(中國經濟植物誌)], 남악향다채[藍萼香茶菜: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방아풀, 방아오리방풀, 연명초[延命草: 일본: 산행중 산속에서 복통으로 사경을 헤멜 때 홍법대사(弘法大師)로부터 이풀을 건네받고 복용하였더니 회복되어 치료되었다고 하여 '연명초(延命草)'라고 한다. 일명 기사회생의 풀이라고도 부른다.] 등으로 부른다.
[비슷한 식물 비교 분석]
1, 방아풀: 수술과 암술이 화관밖으로 튀어나온다. 잎에 풀거북꼬리처럼 결각이 없는 꼬리가 빠져 있다. 꽃술을 밖으로 잘 내민다. 방아풀의 꽃자루는 꽃보다 길다. 입술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2, 산박하: 수술과 암술이 화관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잎이 깨잎처럼 생겼다. 꽃술을 밖으로 잘 내밀지 않는다. 암술과 수술은 대부분 꽃잎 안에 묻혀 있다. 입술 모양의 자주색 꽃이 핀다.
3, 오리방풀: 수술과 암술이 화관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잎이 약간 타원형으로 풀거북꼬리 잎처럼 꼬리가 있다. 끝이 거북꼬리같이 뾰족해지고 밑은 잎자루로 흘러 좁은 날개가 된다. 입술 모양의 보라색꽃이 핀다.
방아풀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연명초(延命草)
[기원]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방아풀 Isodon japonicus(Burm.) Hara의 지상부이다. 꽃은 7∼8월에 엷은 자색으로 피고, 채취는 가을에 한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서늘하다.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소종(活血消腫)하므로 간염, 위염, 유선염, 경폐(經閉), 질타손상(跌打損傷), 관절동통, 사충교상(蛇蟲咬傷) 등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청열해독 작용이 있어 위염과 유방염, 간염 초기 증상에 해열, 소염, 해독 효과를 보인다.
2. 활혈 작용이 있어 여자의 생리가 없는 증상, 타박상 치료에도 유효하다.
3. 관절염으로 관절의 마디가 붓고 아픈 증상을 해소시키며, 뱀이나 독충에 물린 것을 치료한다.
[약리]
1. 항종양작용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고미건위제로 써 왔는데, 쓴맛의 성분이 항종양작용과 억균작용이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 특히 S-180 복수암세포에 현저한 억제 작용이 나타났다. 생쥐 백혈병, 복수형간암세포에도 고르게 항암 작용이 현저히 나타났다.
2. 면역 계통에 영향
생쥐의 복강내 주사로는 hemolysin 반응이 있었으나, 물이나 알코올추출물은 위(胃)에 대해서 약간의 억제 작용을 보였다.
[용량] 9∼15g
[화학성분] Pleuctranthin, emme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채취]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려 썬다.
[약리작용]
일본향다채(日本香茶菜: Isodon glaucocalyx var japonicus (Maxim) kudo로 부터 짜낸 enmein은 항암 작용이 있으며 Ehrlich 복수암(ascites carcinoma)을 접종한 마우스의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diethylenmein의 효력이 더욱 강하다. 그 외에 그람 양성균의 생장을 억제 할 수 있다.
인도에서 나는 향다채(香茶菜: Plectranthus incanus Ling)의 잎과 꽃에 함유된 정유에는 항균작용이 있다.
정유의 성분은 심장에 대하여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마취한 개의 호흡을 왕성하게 하고 혈압을 높이며 guinea pig의 뒷다리 혈관을 수축시키며 적출된 guinea pig의 폐에 주사하면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토끼, guinea pig의 적출한 십이지장의 평활근을 느슨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근육이 단단하게 수축된 상태를 이완시킬 수 있다.
[성미]
<영하중초약수책(寧夏中草藥手冊)>: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약효와 주치]
1, <길림중초약>: "건위(健胃)하고 장(腸)을 조정하는 효능이 있으며 식욕부진, 소화 불량을 치료한다."
2, <영하중초약수책>: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비(脾)를 튼튼히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위염, 초기 간염, 감기 발열, 무월경, 타박상, 유선염, 관절통,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3~6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방아풀을 위장병이나 소화가 잘 안될 때 방아풀 한줌을 뜯어넣고 차처럼 달여 마시기도 한다.
최근 일본에서는 방아풀의 쓴맛 물질이 혈행촉진과 두피살균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발모제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관절염 치료제로도 특허를 내어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