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서울창천초등24회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스크랩 십일조문제점/목사님양심고백/삵군과 종/목사직임바른이해/니골라당/집교회
강희동 추천 0 조회 166 12.11.11 15:40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읽기가 힘 들어도 인내를 가지고 끝까지 2번 읽어 보세요 ^^

 
 십일조 문제점
 
 
Austria
Church tax is compulsory in Austria and Catholics can be sued by the Church for not paying it. Anyone who wants to stop paying it has to declare in writing, at their local municipal council, that they are leaving the Church. They are then crossed off the Church registers and can no longer receive the sacraments. The tax amounts to about 1% of the income.

오스트리아 - 국가에서 걷는 세금형태(교회세)로 자기 수입의 1%만 냄.

Denmark
All members of the Church of Denmark pay a church tax, which varies between municipalities. The tax is generally around 1% of the taxable income.

덴마크 - 시에 따라 차이가 조금 있지만, 국가에서 걷는 세금형태(교회세)로 1%만 냄.

England
The right to receive tithes was granted to the English churches by King Ethelwulf in 855. The Saladin tithe was a royal tax, but assessed using ecclesiastical boundaries, in 1188. Tithes were given legal force by the Statute of Westminster of 1285. Adam Smith criticised the system in The Wealth of Nations (1776), arguing that a fixed rent would encourage peasants to farm more efficiently. The 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 led to the transfer of many tithe rights from the Church to secular landowners, and then in the 1530s to the Crown. The system ended with the Tithe Commutation Act 1836, which replaced tithes with a rent charge decided by a Tithe Commission. The records of land ownership, or Tithe Files, made by the Commission are now a valuable resource for historians.

The rent charges paid to landowners were converted by the Tithe Commutation Act to annuities paid to the state through the Tithe Redemption Commission. The payments were transferred in 1960 to the Board of Inland Revenue, and finally terminated by the Finance Act 1977.

 

영국 - 1977년 마침내 폐지됨.

Finland

Members of certain churches pay a church tax of between 1% and 2.25%, depending on the municipality.

핀란드 - 시에 따라 다르지만. 세금형태(교회세)로 1%~2.25% 냄.

France
In France, the tithes -- called "la d?me" -- were a land tax. Originally a voluntary tax, in 1585 the "d?me" became mandatory. In principle, unlike the taille, the "d?me" was levied on both noble and non-noble lands. The d?me was divided into a number of types, including the "grosses d?mes" (grains, wine, hay), "menues" or "vertes d?mes" (vegetables, poultry), "d?mes de charnage" (veal, lamb, pork). Although the term "d?me" comes from the Latin decima [pars] ("one tenth", same origin for U.S. coin dime), the "d?me" rarely reached this percentage and (on the whole) it was closer to 1/13th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The "d?me" was originally meant to support the local parish, but by the 16th century many "d?mes" went directly to distant abbeys, monasteries, and bishops, leaving the local parish impoverished, and this contributed to general resentment. In the Middle Ages, some monasteries also offered the "d?me" in homage to local lords in exchange for their protection (see Feudalism) (these are called "d?mes inf?od?es"), but this practice was forbidden by the Lateran Council of 1179.

프랑스 - 라테란 공의회에 의해 1179년 금지됨.


Germany
Germany levies a church tax, on all persons declaring themselves to be Christians, of roughly 8-9% of the income tax, which is effectively (very much depending on the social and financial situation) typically between 0.2% and 1.5% of the total income. The proceeds are shared amongst Catholic, Lutheran, and other Protestant Churches. In 1933 Hitler had the entry "church tax" added to the official tax card, which meant that the tax could now be deducted by the employer like any of the other taxes.

Church tax (Kirchensteuer) is compulsory in Germany for those confessing members of a particular religious group. It is deducted at the PAYE level. The duty to pay this tax theoretically starts on the day one is christened. Anyone who wants to stop paying it has to declare in writing, at their local court of law (Amtsgericht) or registry office, that they are leaving the Church. They are then crossed off the Church registers and can no longer receive the sacraments.

독일 - 세금형태(교회세)로 <소득세>의 대략 8-9%, <자신의 수입>의 0.2-1.5%만 냄.
 
Ireland
Tithes were introduced after the Norman conquest of 1169-1172, and were specified in the papal bull Laudabiliter as a duty to: ...pay yearly from every house the pension of one penny to St Peter, and to keep and preserve the rights of the churches in that land whole and inviolate. However, collection outside the Norman area of control was sporadic.

From the Reformation in the 1500s, most Irish people chose to remain Roman Catholic and had by now to pay tithes valued at about 10% of an area's agricultural produce, to maintain and fund the established state church, the Anglican Church of Ireland, to which only a small minority of the population converted. Irish Presbyterians and other minorities like the Quakers and Jews were in the same situation.

The collection of tithes was violently resisted in the period 1831-36, known as the Tithe War. Thereafter, tithes were reduced and added to rents. With the disestablishment of the Church of Ireland in 1869, tithes were abolished.

아일랜드 - 1869년 폐지됨.

Italy
Under this law Italian taxpayers are able to declare that 0.8% ('eight per thousand') of their taxes go to a religious confession or, alternatively, to a social assistance scheme run by the Italian State. This declaration is made on the IRPEF form. People are not required to declare a recipient; in that case the law stipulates that this undeclared amount be distributed among the normal recipients of such taxes in proportion to what they have already received from explicit declarations. Only the Catholic Church and the Italian State have agreed to take this undeclared portion of the tax.
The tax was divided up as follows:

87.17% Catholic Church
10.35% Italian State
1.21% Waldenses
0.46% Jewish Communities
0.32% Lutherans
0.28% Adventists of the Seventh Day
0.21% Assemblies of God in Italy
In 2000 the Catholic Church raised almost a billion euros, while the Italian State received about 100 million euros.

이탈리아 - 세금형태로 0.8% 받아 그것을 위의 비율대로 카톨릭교회, 이탈리아정부 등이 나눔.

Scotland

In Scotland teinds were the tenths of certain produce of the land appropri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urch and clergy. At the Reformation most of the Church property was acquired by the Crown, nobles and landowners. In 1567 the Privy Council of Scotland provided that a third of the revenues of lands should be applied to paying the clergy of the reformed Church of Scotland. In 1925 the system was recast by statute and provision was made for the standardisation of stipends at a fixed value in money. The Court of Session acted as the Teind Court. Teinds were finally abolished by the Abolition of Feudal Tenure etc. (Scotland) Act 2000.
(참고: 영어의 십일조Tithes 를 스코트랜드말로는 Teinds라고 부릅니다)

스코틀랜드 - 2000년 폐지됨.

Spain and Latin America
Both the tithe (diezmo), a tax of 10% on al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first fruits" (primicias), an additional harvest tax, were collected in Spain throughout the medieval!!!! and early modern periods for the support of local Catholic parishes. The tithe crossed the Atlantic with the Spanish Empire; however, the Indians who made up the vast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 colonial Spanish America were exempted from paying tithes on native crops such as corn and potatoes that they raised for their own subsistence. After some debate, Indians in colonial Spanish America were forced to pay tithes on their production of European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wheat, silk, cows, pigs, and sheep. The tithe was abolished in several Latin American countries, including Mexico, soon after independence from Spain (which started in 1810); others, including Argentina and Peru still collect tithes today for the support of the Catholic Church. The tithe was abolished in Spain itself in 1841.

스페인 - 1841년 폐지됨.
멕시코를 비롯한 라틴아메리카 여러 국가에선 폐지. 아르헨티나와 페루는 가톨릭교회의 유지를 위해 아직 존속.

Sweden
Until the year 2000, Sweden had a mandatory church tax to be paid if one did belong to the Church of Sweden which had been funneling about $500 million annually to the church. Due to change in legislation, the tax was withdrawn in year 2000. However, the Swedish government has agreed to continue collecting from individual taxpayers the annual payment that has always gone to the church. But now the tax will be an optional checkoff box on the tax return. The government will allocate the money collected to Catholic, Muslim, Jewish and other faiths as well as the Lutherans, with each taxpayer directing where his or her taxes should go.

스웨덴 - 세금형태(교회세)였으나 2000년에 공식적으로는 폐지되었고 그 후엔 개인적으로 교회에 내는 건 가능.

Switzerland
There is no official state church in Switzerland; however, all the 26 cantons (states) financially support at least one of the three traditional denominations--Roman Catholic, Old Catholic, or Protestant--with funds collected through taxation. Each canton has its own regula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In some cantons, the church tax (up to 2.3%) is voluntary but in others an individual who chooses not to contribute to church tax may formally have to leave the church. In some cantons private companies are unable to avoid payment of the church tax.

스위스 - 공식적으로 십일조를 걷는 곳은 없고, 일부 주에서 2.3%까지 세금형태(교회세)로 거둠.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has never collected a church tax or mandatory tithe on its citizens, under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e United States and its governmental subdivisions also exempt most churches from payment of income tax (under Section 501(c)(3) of the Internal Revenue Code and similar state statutes, which also allows donors to claim the donations as an income tax itemized deduction).
 
Also, churches may be permitted exemption from other state and local taxes such as sales and property taxes, either in whole or in part. However, churches are required to withhold Federal and state income tax from their employees along with the employee's share of Social Security and Medicare taxes, and pay the employer's share of the latter two taxes, unless the employee is an ordained minister.

미국 - 종교와 정치의 분리원칙하에 결코 교회세와 강제적인 십일조를 걷지 않음.

*참고 : 여기서 '국가에서 걷는 세금 형태(종교세)'란?

'독일교회는 십일조가 폐지된 후 이를 대체하는 제도로 교회세가 등장하였습니다.
이것은 일종의 종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교회세는 교인들에 의해 납부되는 세금의 형식으로 국가에서 징수하여 교인수에
따라 교회(개신교와 카톨릭)에 분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이 종교세는 보통 자기 수입의 0.8%~2.5% 밖에 되지 않습니다..)

종교세 의무는 신자가 교회에 등록한 달부터 지게 되며,
이 의무는 죽거나 국가적 규정에 따른 유효한 교회 탈퇴 선언 이후에 해제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교인수에 비례하여 국가에서 공평하게 분배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끝으로, 그럼 한국교회의 경우는 어떨까요???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상의 모든 나라중에서 한국이 십일조가 엄청나게 눈부시게 발전한 나라죠..
또한 서로간에 이단 논쟁을 하며 으르렁거리는 모든 교파가 이 십일조교리(?)에 대해서만큼은 완벽하게 의견일치를 보고 있는 것도 참 신기한 현상이죠^^
 
현재 성도의 소득의 10%가 십일조로 되어있는(아직 십일조가 폐지되지 않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정말 엄청나게 높습니다)것도 엄청난데, 사실 웬만한 믿음있는(?) 성도라면 십일조 외에 이런저런 수십가지 헌금으로(지구상에서 한국밖에는 없는 독특한 헌금제도이지요..^^)내는 것까지 합하면 아마 십이조, 심지어는 십삼조까지 내는 성도도 적지 않을듯 합니다.
 

 

*참고로, 현대인에 맞춘 십일조의 세부지침도 엄청나게 복잡한데요..

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올리니..여러분의 십일조 생활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여의도 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님 저서인 <목사님, 십일조는 어떻게 드려야 할까요?>에서 발췌)

 

문)십일조를 총수입에서 드리는가, 아니면 순수익에서 드리는가?

답)월급생활자의 경우, 세금 등 각종 공제액을 제하지 않은 급여의 총액(net가 아니라 gross)에서 드려야 합니다.

 

문)정규소득이 아닌 예금이자소득이나 증권투자 소득은 어떻게 되는가?

답)예금이나 증권투자등을 통해 생긴 이자소득은 불로소득이므로 십일조를 드려야 합니다.

 

문)자녀들의 십일조는 어떻게 되는가?

답)자녀 개인의 입장에서는 용돈이 일종의 수입이므로 별도의 십일조를 드려야 합니다.

 

문)퇴직금이나 연금을 받았을 경우에도 십일조를 드려야 하는가?

답)개인의 정당한 수입이므로 당연히 십일조를 드려야 합니다.

 

문)만일 집안에 급한일이 생겨서 당장 돈이 필요한데, 가진 돈이 십일조밖에 없고 다른사람에게 돈을 빌릴 여유가 없을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가?

답)갑작스런 급한일이라도 십일조에는 손을 대지 않는게 좋습니다.

 

문)교회에서 성미나 구호물품을 배급받거나 다른 사람이 대주는 생활비로 살 정도로 가난한 경우에도 드려야 하는가?

답)설사 성미나 구호물품을 받거나 다른 사람이 생활비를 대주었을지라도 오히려 가난하기때문에 더욱더 십일조를 드려야 합니다.

 

문)선물을 받았을때는 어떻게 하는가?

답)선물도 받는 사람에게는 소득이 되므로 십일조를 드리는것이 바람직합니다.

 

문)빚이 있다면 십일조보다 빚을 먼저 갚아야 하는가?

답)빚쟁이의 독촉이 있다 하더라도 십일조는 하나님의 것이므로 그것으로 빚을 갚아서는 안되고, 역시 먼저 십일조를 하여야 합니다.

 

문)십일조를 드리면 정말 성경의 말씀대로 정말 물질적인 복을 받습니까?

답)기쁜 마음으로 드린다면 하나님은 영적으로나 물질적으로 반드시 복을 주십니다. 그러므로 십일조를 드리는데도 불구하고 삶에 복이 임하지 않을 때에는 진정 온전한 십일조 생활을 하고 있는지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

 

나를 비롯한 한국의 목사들은...    김바울목사님 양심고백 ^^;

아래 글은 한국 모 신문의 종교란에서 옮겨왔습니다.
글쓴이는 김바울 목사(56세.서울 모 장로교회 담임목사)


출판사 삼진기획 '연탄길'작가 이철환,그리고 '밥퍼 목사' 최일도 목사님과 같이 매일 아침 노숙자를 위해 아침밥을 제공해왔고 현재 외국인 근로자 인권보호를 위해 조그마한 선교단체를 만들어 운영 중입니다.

    나를 비롯한 한국의 목사들은 대부분 돈 벌레 사기꾼들이다.


                                           김바울 목사

한국교회는 돈 때문에 건강성을 잃어버렸다. 그것은 곧 교회성장 주의랑 맞물려 사회정의나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구제의 목적보다는 자기살 붙이기에 급급했다는 소리다.


일부교회들은 이런 방법으로 자금을 동원하고 따라서 사치스러운 생활을 한다.


이것은 교회가 교회의 기능을 상실하고 기업체의 운영방식에 따라가고 또한 그렇게 교회가 변질됨으로서 하나의 독립된 왕국으로서의 기능으로 교회의 의미는 추락하게 된다.

 

자신들 맘대로 성경을 해석하고, 유리한대로 교리를 이용해 먹는
개신교는 이단이라는 단어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운가?

오늘날 한국의 교회는 그 자체가 '사업체'이다.
우선, 십일조라는 것은 한국에서만 걷어 가는 희한한 헌금이다.


목사라는 사람들이 예배시간마다 십일조 꼬박꼬박하라며 십일조를 내면 그 몇 배의 돈을 하나님이 다시 돌려준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이 정말 역겹다.


십일조를 내기만 하면 월급쟁이 봉급이 배로 늘어나기나 하는가? 그리고 십일조를 꼬박꼬박 내도 사업 실패하거나 실직하는 사람들은 또 뭐란 말인가?
   - 中略 -
단도직입적으로 말 하지면 십일조는 하나님이 아니고 목사에게만 필요한 것이다.


전지전능한 신에게 돈이 필요하겠는가? 돈은 분명히 목사들이 필요한 거지...


구약 속의 율법에 십일조가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율법을 그대로 지키려면 기독교인들은 돼지고기도 먹지 말아야 할 것이고, 남자아이는 생후8일만에 할례를 받고, 장애인과 성 불구자 사생아들은 교회에 발을 들여놓지도 못해야 할 것이다.

물론, 마태복음 23장23절, 누가복음 11장42절에서 예수는 십일조에 대해서 언급하기는 했지만 문맥상 십일조를 옹호하는 구절은 아니며, 예수의 가르침은 전 재산을 가난한 이웃들에게 나눠주라고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돈 많은 청년이 예수의 제자가 되기를 희망하자


"예수께서 그를 보시고 사랑하사 가라사대 네게 오히려 한가지 부족한 것이 있으니 가서 네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을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보화가 네게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좇으리 하시니, 그 사람은 재물이 많은고로 이 말씀을 인하여 슬픈 기색을 띠고 근심하며 가니라"

기독교는 유대교와 다르다. 예수는 돈 생겼을 때 감사하는 마음으로 신에게'하나만 바치고 아홉을 가져라'라고 한 적 은 없다.

[마가복음 10장 21~22절] (똑같은 내용이 마태복음 19장 21~22절에도 있음)라고 말했다. 아마 이 땅의 신앙의 지도자이신 목사들은 성경구절중 이 대목을 가장 저주하지 않았을까?  왜냐하면 밥줄이 달랑거릴 테니까.....


한마디로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달면 삼키고 쓰면 뱉어내는 격으로 성경을 믿는다.헌데 외국에 있는 이민교회가 더 심각하다는 선배 목회자님의 한탄 소리가 내 맘을 찢어놓는다.......


유독 한국목사들은 다른 율법들은 거들떠보지도 안으면서 오로지 돈 들어오는 십일조는 목사들이 철통같이 강조를 한다.

십일조뿐인가?


한국의 개신교는 추수감사절을 기독교의 큰 절기로 강조하는데, 추수감사절은 단지 미국의 명절일 뿐 2000년의 오랜 기독교 전통을 가진 유럽 개신교 국가에는 이 행사가 없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한국의 개신교가 주로 미국에서 전도되었으니 영향을 받았다고도 생각할 수도...
  - 中略 -
신년감사헌금, 사순절, 부활절, 오순절, 맥추절, 심령부흥회, 추수감사절,크리스마스...등등 별의별 시즌이 다 등장한다.


건축헌금은 도대체 무엇인가?


이 또한 한국의 교회에서만 볼 수 있는 진풍경이다. 교회건물이 번듯하게 있는 교회가 뻔뻔하게 건축헌금을 걷어가고 있다. 더 좋은 교회건물을 짓기 위해서란다.

이미 서구에서는 국민의식개혁운동으로 집단 종교생활은 오직 식민지 및 노예민족의 문화유산이기에 멀리하게 하는 정책으로 바뀐 지 오래돼서 이제는 교회를 다녀야 신앙생활을 하는 거라는 헛된 고정관념의 사람이 줄어들어서, 더 이상의 교회건물이 필요 없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라 한다.


교회의 형편이 나아지면, 그 사정에 따라 교회건물을 신축, 또는 확장하는 것이지,
   - 中略 -
한국개신교는 들어온 수입 중에 교회헌금 중 사회봉사 비는 고작 3.8%에 불과하고 선교비는 5.3%인 반면 목사급여 및 관리비에 67%가 쓰인다고 한다.


교회야말로 구제사업으로 십일조조차 하지 않는 셈이다. 대부분의 신도들의 헌금은 교회건축과 목사 사례비로 지출될 뿐이다.

목사 사례비만을 말하면 얼마 되지는 않지만 이것저것 갖다 부쳐서 목사 최종 급여가 교회헌금의 거의 50%이상 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5%도 안 되는 금액을 환원하면서도 온갖 생색 다 내며 사회에서 높은 위치 차지하려는 집단이 그들이다.통계적 3,4%라고 하는데, 저는 그것도 안 믿어진다.

이때 그 교회목사는 혹시나 평신도들이 눈치챌까봐 서류상 얼마 안 되는 오직 목사사례금만 얘기한다. 그래서 목사가 돈에 미치게 되면 돈에 미쳤기에 더욱더 부흥회를 하려하고 그 만큼 더욱 더 점잖은척하며 부드러운 미소로 연기력을 발휘하며 신도들의 친교를 신경 쓰는 것이다.

어느 교회가 재정관계 몇몇 빼놓고 정상적으로 재정운영을 하고 공개하는가?


물론, 연말에 한 번씩 재직들 모아놓고 재정보고 하는 쇼를 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사전에 조작된 것이고 목사와 장로들간에 입을 맞추어놓은 것인지는 누구라도 잘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정말 웃긴 건 똑같은 종류의 헌금을 이름만 살짝 바꿔서 늘려 놓았을 뿐이니라, 그 교회 주보(?)에는 천구좌 헌금운동 목표:5천구좌/1구좌:300만원"(전부 합하면 150억원!)이라고 적혀있어 충격과 경악을 안겨주었다.


자신들 유리한대로 성경을 해석하고, 원래 교리에서 없는 것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을 개신교의 이단이라고 하지 않는가? 


본인이 개신교에서의 헌금문제로 보았을 때, 한국개신교는 전부다 이단이다! 

 

 

(베다니의 아침)

 

 

 

 

 

-------------------------------------------------------------------------------------------------------------------------------------------

 

삯군’과 ‘종’

 

삯군 : 삯을 받고 임시로 일하는 사람.
(노예): 아무것도 받지 않고 평생 일하는 사람.
’은 ‘삯군’이 아니고, ‘삯군’은 ‘’이 아니다.
삯을 받고 임시로 일하는 사람’이 “나는 종이다”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과연 어떤 사람일까?
또 ‘아무것도 받지 않고 평생 일하는 사람’을 보고 “당신은 삯군이요

라고 한다면 얼마나 억울할까?

성경에는 ‘그리스도의 종’이란 말이 많이 나온다.
바울, 야고보, 베드로, 유다 그 외 거명되지 않은 무명의 종들이 허다하다.

그러나 삯군의 이름은 하나도 적혀있지 않다.
그리스도의 삯군’이 있을 수 있는가? 성경에 없는 말이다.

(롬 1:1)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
(갈 1:10) 이제 내가 사람들에게 좋게 하랴 하나님께 좋게 하랴 사람들에게 기쁨을

구하랴 내가 지금까지 사람의 기쁨을 구하는 것이었더면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
(딛 1:1) 하나님의 종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바울바울 곧 나의 사도 된 것은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약 1:1)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야고보는 흩어져 있는 열 두 지파에게 문안

하노라

(벧후 1:1) 예수 그리스도의 종과 사도인 시몬 베드로는 우리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동일하게 보배로운 믿음을 우리와 같이 받은 자들에게 편지

하노니

(유 1:1)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요 야고보의 형제인 유다는 부르심을 입은 자 곧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 사랑을 얻고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지키심을 입은 자들에게 편지하노



(계 1:1)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될 일을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지시하신 것이라

(골 1:7) 이와 같이 우리와 함께 된 사랑하는 에바브라에게 너희가 배웠나니 그는

너희를 위하여 그리스도의 신실한 일군이요

(고전 7:22)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자요 또 이와 같이

자유자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
(엡 6:6) 눈가림만 하여 사람을 기쁘게 하는 자처럼 하지 말고 그리스도의 종들처럼

마음으로 하나님의 뜻을 행하여
(행 16:17) 바울과 우리를 좇아와서 소리질러 가로되 이 사람들은 지극히 높은 하나님의

으로 구원의 길을 너희에게 전하는 자라 하며


삯군’들을 보자

요10:7 그러므로 예수께서 다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나는

양의 문이라
8 나보다 먼저 온 자는 다 절도강도니 양들이 듣지 아니하였느니라
9 내가 문이니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들어가면 구원을 얻고 또는 들어가며 나오며 꼴을

얻으리라
10 도적이 오는 것은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

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11 나는 선한 목자라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거니와
12 삯군은 목자도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

나니 이리가 양을 늑탈하고 또 헤치느니라
13 달아나는 것은 저가 삯군인 까닭에 양을 돌아보지 아니함이나

삯군’들은 반드시 ‘일한 대가’를 원하고, ‘’을 못 챙기면 도적하고 강도

질해서라도 가져다.

종은 ‘자기 소유가 없다.’ 심지어 ‘’자기 몸이나 목숨도 자기 소유‘가 아니다.
종은 ‘자기주장이나 결정권이 없다.’
종은 ‘주인집에 거할 수 없다.’
종은 ‘의식주만으로 족하다.’
종은 ‘자유가 없다.’
종은 ‘삯을 받을 수 없다.’
종은 ‘유전된다.’

‘종’은 기간을 정하고 가족의 생계를 위해 삯을 선금으로 받고 ‘스스로 팔린 종’

이 있고,
어떤 경우엔 무력으로 강제로 끌려 온 ‘영원한 종’이 있다.

스스로 팔린 종은 계약 기간이 끝나면
(희년) 자유하나, ‘영원한 종’은 유전된다.

성경엔 ‘그리스도의 종들’은 단 한 사람도 ‘삯’을 받은 기록이 없다.
그러나 오늘 날 ‘’을 받는 ‘종들
(?)이 어찌 이리도 많을까?
오늘날 ‘그리스도의 종’을 자처하는 ‘삯군’들은 ‘십일조
(이스라엘 민족에게만 해당됨)

라는 명목으로 양들로부터 도적하고,(어리석은 양들은 십일조로 도적 당하는지도 모른다.)
때론 ‘여러 명목으로 강요
(강도)’하여 거액을 챙긴다.
(삯군들은 양들의 모든 것을 바치되 최소 십일조 이상을 바쳐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리스도의 종들’은 삯을 받지 못하니 최소 의식주만 양들로부터 얻었거나 혹은

스스로 의식주를 해결한 성경기록으로 남아있다.

(고전 9:6) 어찌 나와 바나바만 일하지 아니할 권이 없겠느냐

(살전 2:9) 형제들아 우리의 수고와 애쓴 것을 너희가 기억하리니 너희 아무에게도 누를 끼치지 아니

하려고 밤과 낮으로 일하면서 너희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였노라

살후3:8 누구에게서든지 양식을 값없이 먹지 않고 오직 수고하고 애써 주야로 일함은 너희 아무에게도

누를 끼치지 아니하려 함이니
9 우리에게 권리가 없는 것이 아니요 오직 스스로 너희에게 을 주어 우리를 본받게 하려 함이니라
10 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도 너희에게 명하기를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

하였더니

--------------- 오해치 않게 설명이 필요하다---------------------------

** 아래 구절들은 ‘구약시대’ 당시에 주어진 말씀임.(예수님 당시는 구약시대임)

마10:5 예수께서 이 열 둘을 내어 보내시며 명하여 가라사대 이방인의 길로도 가지 말고 사마리아인의

고을에도 들어가지 말고
6 차라리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에게로 가라
7 가면서 (복음)전파하여 말하되 천국이 가까왔다 하고
8 병든 자를 고치며 죽은 자를 살리며 문둥이를 깨끗하게 하며 귀신을 쫓아내되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9 너희 전대에 금이나 은이나 동이나 가지지 말고
10 여행을 위하여 주머니나 두 벌 옷이나 신이나 지팡이를 가지지 말라 이는 일군이 저 먹을 것 받는

것이 마땅함이니라
11 아무 성이나 촌에 들어가든지 그 중에 합당한 자를 찾아내어 너희 떠나기까지 거기서 머물라
12 또 그 집에 들어가면서 평안하기를 빌라
13 그 집이 이에 합당하면 너희 빈 평안이 거기 임할 것이요 만일 합당치 아니하면 그 평안이 너희에게

돌아올 것이니라

눅 10:7 그 집에 유하며 주는 것을 먹고 마시라 일군이 그 삯을 얻는 것이 마땅하니라 이 집에서 저 집으로

옮기지 말라

마 4:23 예수께서 온 갈릴리에 두루 다니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백성중에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

마 9:35 예수께서 모든 성과 촌에 두루 다니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라

마 24:14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거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

----------------------------------------------------------------

** 아래 구절들은 ‘신약시대’에 교회에게 적용되는 말씀.

고전9:9 모세 율법에 곡식을 밟아 떠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 기록하였으니 하나님께서 어찌 소들을

위하여 염려하심이냐
신25:4 곡식 떠는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말지니라
10 전혀 우리를 위하여 말씀하심이 아니냐 과연 우리를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밭가는 자는 소망을 가지고

갈며 곡식 떠는 자는 함께 얻을 소망을 가지고 떠는 것이라
11 우리가 너희에게 신령한 것을 뿌렸은즉 너희 육신
(肉身)의 것을 거두기로 과하다 하겠느냐
12 다른 이들도 너희에게 이런 권을 가졌거든 하물며 우리일까보냐 그러나 우리가 이

권을 쓰지 아니하고 범사에 참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다
13 성전의 일을 하는 이들은 성전에서 나는 것을 먹으며
    제단을 모시는 이들은 제단과 함께 나누는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14 이와 같이 주께서도 복음 전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명하셨느니라
15 그러나 내가 이것을 하나도 쓰지 아니하였고 또 이 말을 쓰는 것은 내게 이같이 하여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차라리 죽을지언정 누구든지 내 자랑하는 것을 헛된 데로

돌리지 못하게 하리라
----------------------------------------------------------------

위의 ‘천국 복음’을 전파하는 자들은 ‘유대인 상대’로써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며 ‘주는 것을 먹고 마시라’고 했다.

무엇이든지 거저 받은 것을 반드시 거저 줘야 한다.
특히 거저 받은 <복음>을 전하고 그 어떤 값을 받고자 한다면 그는 강도도둑이 된다.


종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야’하며 ‘주는 것을 먹고 마시며’ 삯을 받을 수 없다.
종은 단순 ‘의식주’ 이상의 것을 요구할 수 없으며 주인의 명령을 수핼 할 뿐이다.
이는 유대인의 사도들
(베드로)은 ‘의식주’만으로 만족해야 했으나
이방인의 사도들은 바울처럼 ‘의식주’ 자체도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
(本)이 된다.’

고 가르쳤다.

고전 4:6 형제들아 내가 너희를 위하여 이 일에 나와 아볼로를 가지고 을 보였으니 이는 너희로 하여금

기록한 말씀 밖에 넘어가지 말라 한 것을 우리에게서 배워 서로 대적하여 교만한 마음을 먹지 말게 하려

함이라

빌 3:17 형제들아 너희는 함께 나를 받으라 또 우리로 본을 삼은 것같이 그대로 행하는 자들을 보이라

딛 2:7 범사에 네 자신으로 선한 일의 을 보여 교훈의 부패치 아니함과 경건함과

히 13:7 하나님의 말씀을 너희에게 이르고 너희를 인도하던 자들을 생각하며 저희 행실의 종말을 주의

하여 보고 저희 믿음을 본받으라

과연 <하나님의 종>이란 자들이 ‘삯’을 원하고, 받을 수 있나?
특히 이방의 <하나님의 종>이라면
고급 승용차, 고급주택, 상좌에 앉아 기름진 식탁을 즐길 수 있나?

십일조와 바벨탑 같은 건축물을 위해 돈을 강요해서 ‘자기 이름’을 예수 이름 위에

둘 수 있나?

삯군을 분멸 못하는 어리석은 ‘먹사들과 그 추종자들’.

아무도 말리지 못한다.
--------------------- 끝 -----------------------

olivesan
내 손으로 일하여 내 가정도 책임지지 못하는 사람이 교회를 돌아본다는 것은 삯군이라는 증표가 될 것입니다. 자기 가정의 생계문제를 교회의 지체들에게 의지하고자 하는 것은 그에 신앙의 근본이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 교회의 헌금으로 생활한다면 여러가지의 상황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말씀들을 변질시켜서 증언할 수밖에 없습니다

 

 

 

-------------------------------------------------------------------------------------------------------------------------------------------

 

 

목사 직임 바른이해

 

  •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사와 교사로 주셨으니
  •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 을 세우려 하심이라 (엡4장11정-12절)

    kai autoV edwken touV men apostolouV

    카이        아우토스   에도켄            투스         멘              아포스토루스

    And          He              gave            some as                   apostles,

     

    touV de profhtaV touV de euaggelistaV

        투스      데        프로페타스          투스       데         유양게리스타스

       some as             prophets,              some as                evangelists,

     

    touV de poimenaV kai didaskalouV

    투스        데     포이메나스             카이      디다스카루스

      some as              pastors           and                    teachers,

     

    proV ton katartismon twn agiwn eiV ergon

    프로스       톤         카탈티스몬                     톤         하기온         에이스 에르곤

       for            the          equipping                   of the      saints    for the work of

     

    diakoniaV eiV oikodomhn tou swmatoV tou

       디다코니아스         에이스   오이코도멘              투         쏘마토스               투

      service,                to the       building up                        of the body of

     

    cristou

     크리스투

      Christ;

     

    [벧전2:5-10] " 너희도 산 돌같이 신령한 집으로 세워지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실 신령한 제사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이 말은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앞에서 거룩한 제사장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기독교인은 거룩한 제사장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볼수 있다. 사도의 필요성은 많은 성도의 공동체들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이 성도를 대변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 이다.


    사도권은 계급의 분리가 아니라 은사의 구분이다.


    교회사에서에 있어서 예수의 재림이 지연됨에 따라서 교회의 제도가 형성되었다. 12명의 제자들은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장로.감독.집사를 임명하였다.


    이 세 직책을 안수함으로서 권위가 인계되기 시작하였다(행6:6, 13:3, 딤전4:14).

    [행6:6]" 사도들 앞에 세우니 사도들이 기도하고 그들에게 안수하니라 "

    [딤전4:14]" 네 속에 있는 은사 곧 장로의 회에서 안수 받을 때에 예언으로 말미암아 받은 것을 조심 없이 말며 "


    그러나 이때까지 안수받아 계승하는 과정에서 계급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니까  2세기초 단일 감독제도가 등장하면서부터 교권주의가 발전하기 시작했다가 325년 니케아회 의 이후 계급 즉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시작되었다. 이것이 극대화된 것이 로마 카톨릭이다. 감독이 감독을 안수하면서부터 교회내에 계급구분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로마 카톨릭에서는 사도권의 전통이 베드로 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초대교회시대엔 팔레스틴적 회중(베드로 계열)과 헨라적 회중(바울 계열) 사이에서로 갈등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사도 계승의 차원에서는 사도가 베드로-요한-야곱보로 계승되는 것은 카톨릭의 제도에 의한 계승이고 또 하나는 바울은 자신이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고 그 부활하신 주님의 환상에 따라서 증언자가 되고 사도로 임명을 받은 즉 에의한 사도권 임명 사이의 갈등이 초대교회때부터 있어왔다.


    오늘날 교회 안에는 다양한 직임이 있는데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직임은 목사이다. 목사는 행정적으로 교회의 대표권을 가지고있고 또한 교인들을 가르치는 지도자로서의 책무를 가지고 있다.


    목사 직임에 대한 바른 이해에 있어서 목사와 비슷한 어원은 구약성경에서는 히브리어로'로이(???)'라고 하는 단어인데, 그 뜻은 '목자'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서  '양떼를 돌보다' 라는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여기의  '목자'라는 말은 선지자가 가지고 있는 임무의 성격을 표현하는 말로서 신약의 목사 직임의 성격과는 다르다. 구약 가운데  선지서에서 목자라는 명칭은 선지자나 제사장이나 왕들을 가리켜 사용하는 말로서 장차 오실 선한 목자이신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명칭인 것이다.


    목사라는 말이 신약성경에서는 헬라어로 '포이메나스(  poimenaV )'라고 표현하는데 . 그뜻 역시 원래 '목자'라

     

    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신약성경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바울의 서신인 에베소서에서 단 한번  엡4장 11절에서 바울이 그리스도의 선물을 언급하면서 "혹은 목사와 교사로 주셨으니……"

     


    기록한 내용에서 나타나고 있다.그 외에도 다른 시제로 하나는 '포이마이네(poimaine)'라는 단어로서 그 뜻은 양무리를 '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요 21장 16절에서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내 양을 치라' 이고 다른하나는'포이마나테'{poimanate }라는 단어인데, 그 뜻 역시'양 무리를 치라'는 뜻으로서 벧전서 5장 2절에서 베드로가 장로들에게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부득이함으로 하지말고……"라고 권하는 내용에서  언급된 것이다.

     

    그리고 목자를 목사직의 대칭해서 사용하는 단어는 '포이메나스(poimenaV )' 외에도 그 의미를 같이 하는 단어들이 몇 개 더 있다. 그 대표적인 것들 중에 하나가 '에피스코포스(επισκοποζ)'라는 단어로서 감독'이라는뜻을 가지고 있고, 또 하나는 '프레스부테로스 (πρεσβυτεροζ)'는 단어로서'장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신약성경에서 사용된 단어들의 뜻을 종합적해서 정리해 보면 ''포이메나스(poimenaV )'(목자)'이라는

     

    말은 성도들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쳐 기르는 자' 라는뜻으로 설명이 가능해진다. 예수께서 직접 세우신 사도

     

    직임이 목사 직임의기원은 아니다.


     

    구약시대에 있었던 제사장과 왕과 선지자 직임들은 그 시대에 필요했던 직임들이고, 신약시대 초기에 있었던 사도의 직임 역시 그 시기에만 단회적으로 있었던 직임들인 것이다. 사도 바울은 목자 대칭 목사 직임의 기원에 대하여 에베소에 있는 성도들에게 보내는 서신에서 너무도 분명하게 밝혀주고 있다. 그러므로 목자대칭 목사 직임이 구약시대의 제사장과 왕과 선지자의 직임들과 관계가 있고, 신약시대에도 사도 직임과도 관계가 있다라고 볼수없는 것이다.


    지금은 일반적으로 목사 직임을 부여할 때에 장로교나 감리교 및 성결교 등의 경우에 노회나 지방회에서 목사 후보생을 선발하여 신학교육을 받도록해서 시험을 거쳐 목사로 안수를 주어 세우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어디까지나 목사 직임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유익하게 하시려고은사와 직임을 각 사람에게 직접 나누어 주신 것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목사 직임자가 세례와 성찬을 집행하는것은 예수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대한 말씀을 전파하기 위한 것이고, 권징을 행하는 것은 전파되는 말씀의 능력에 의해 행해지는 결과인것이다.


    다시 말하면 머리가 되시는 그리스도께서 성령의 능력으로 세우신 교회에서 세례를 베풀고 성찬을 행하며, 성도가 서로 교제케하게 하며,선한 일을 행하게 하며, 말씀으로 책망하고 격려하며 위로하는 일에 쓰임 받는 일이다. 정확무오한 하나님의말씀인 성경 66권을 정확하게 깨달아 택한백성들에게 잘 가르쳐 주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 사도도 성도들을 가르쳐야 하는 디모데에게 성경을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고 당부한 것이다.

     

     

    성경에서는 목사직임에 관련해서 목사의 기능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 개신교 신앙의 입장에서 혹은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볼 때 천주교의 교황제도 및 독신 성직자 제도는 분명 잘못된 것임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러한 제도에 매여 있지 않을뿐더러 교황의 권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서 무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카톨릭 신자들은  만약 그렇게 하다면 당장 하나님이 무슨 벌이라도 내리는 것처럼 불안과 두려움 속에 빠지게 된다. 잘못된 종교적 습관과 전통을 스스로 깨뜨린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인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이 분명하게 가르치고 있는 바를 분명한 태도로 지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성경에는 성직자로서의 목사라는 직위가 설명되어 있는가?

    우리나라의 한글 개역 성경에는 ‘목사’라는 단어가 단 1회 언급되어 있다.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사와 교사로 주셨으니”(엡4:11)


    이곳의 ‘목사’라는 단어는 헬라어로 ‘포이멘’으로서 ‘목자’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shepherd(쉐퍼드)라고 하는데, 이 말은 sheep(? : 양)이라는 말과 herd(허어드 : 떼)라는 말이 합쳐진 말이다. 따라서 이 단어의 정확한 표현은 ‘양치기’, 또는 ‘목자’이다. 그래서 성경의 여러 곳에는 똑같은 이 단어가 모두 다 ‘목자’로 번역되어 있다.


    (마9:36)“무리를 보시고 민망히 여기시니 이는 저희가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유리함이라”

    (마25:32)“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분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분별하는 것 같이 하여”

    (막6:34) “예수께서 나오사 큰 무리를 보시고 그 목자 없는 양 같음을 인하여 불쌍히 여기사 이에 여러 가지로 가르치시더라”

    (눅2:8)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


    (눅2:15) “천사들이 떠나 하늘로 올라가니 목자가 서로 말하되 이제 베들레헴까지 가서 주께서 우리에게 알리신바 이 이루어진 일을 보자 하고”

    (눅2:18) “듣는 자가 다 목자의 말하는 일을 기이히 여기되”

    (요10:2) “문으로 들어가는 이가 양의 목자라”

    (요10:11)“나는 선한 목자라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거니와”

     

    (요10:14)“삯군은 목자도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나니 이리가 양을 늑탈하고 또 헤치느니라”(요10:12)

    (요10:16) “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터이니 저희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따라서 다른 번역 성경에서도 목자로 번역되어 있다.

       ①공동번역 성경과 킹제임스 번역 성경에서는 목자로 되어 있다.

       ②현대인의 성경에는 현대인들의 익숙한 용어를 고려해서 목사로 번역하고 있다.

       ③그러나 중요한 것은 앞서 살펴 본바와 같이 여기서 ‘목사’로 번역된 이 단어의 헬라어 원어는 ‘목자’로 번역된 헬라어 원어와 똑같다는 점이다. 그래서 한글 개역성경이나 현대인의 성경에서 마저도 다른 곳에서는 이 단어가 모두 ‘목자’로 표현되어 있다는 점이다.


    ‘목자’와 ‘목사’는 어떻게 다른가?

      우리나라의 언어적 표현으로는 ‘목자’라는 말과 ‘목사’라는 말의 차이가 잘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문제삼는 것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영어의 표현을 가지고서 비교해본다면 그 차이점을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다.


      목자’라는 말은 영어로는 pastor(패스터)라는 말로서, ‘양을 치는 사람’, ‘양치기’라는 뜻이다. 따라서 목자라는 말은 양이라는 짐승과 아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용어이다. 양들을 풍성한 꼴이 있는 곳으로 안전하게 인도하고 지키며 수고하는 소박한 자를 가리킨다.


     이에 반하여 ‘목사’라는 말은 reverend(레베런드)라는 말로서 다른 사람과 특별히 구별되는 거룩한 자, 숭상할만한 자, 경외할만한 자, 공경할만한 자, 위엄이 있는 자, 성직자라는 의미가 강하다. 영어 reverend(레베런드)는 revere(리비)라는 단어에 nd가 합쳐진 말인데, revere(리비)라는 말은 ‘경건한 마음으로 숭배하다’, ‘경외하다’, ‘존경하다’라는 의미로서 다분히 계급적이고 권위적이고 특권의식이 강한 성격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처럼 ‘목자’와 ‘목사’라는 용어는 상이한 성격을 담고 있다. ‘목자’는 단순히 교회를 돌아보는 은사를 지닌 교회 일군을 의미하고 있으며, ‘목사’는 일반 성도들과 신분적으로 구별되는 성직자를 의미하고 있다.



    그렇다면 에베소서 4장 11절의 ‘목사(목자)’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엡4:11)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사와 교사로 주셨으니”


    이는 전문적인 목자의 은사, 즉 장로들 중에 양무리를 돌아보며, 그들을 지키는 은사(재능)를 가진 자들을 말한다. 장로들 중에는 이와 같이 목자로서의 은사를 가진 자도 있지만, 어떤 이들은 전도자(복음 전도자)로서의 은사를 가진 자도 있고, 또 어떤 이들은 교사(말씀을 쉽고 조화롭게 잘 가르치는 자)로서의 은사를 가진 자도 있다. 집사들 중에 전도자와 교사의 은사를 가진 자도 있을 수 있다(행21:8). 중요한 사실은 여기서의 목자는 이러한 은사로서의 목자를 의미하는 것이지 성직자로서의 목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여기에 나오는 것들이 직위가 아니라 은사 이기 때문에 한 사람이 중복하여 이것들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베드로는 사도이면서도 장로였다(벧전5:1).요한도 사도이면서 장로였다(요이1:1, 요삼1:11). 바울은 사도이면서 교사였다(딤후1:11). 빌립은 집사이면서 전도자였다(행21:9). 성경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바울, 베드로,  요한 등은 사도이면서도 전도자 였으며, 교사였다. 또한 장로였고 목회자였다. 만약에 이러한 것들이 은사가 아니라 직위였다면 얼마나 혼란스럽게 이들을 불러야 하겠는가? 어떤 한 사람을 향하여 '사도님’, ‘장로님’, ‘목사 님’, ‘교사(선생)님’, ‘전도자(전도사)님’이라고 부른다는 것은 매우 혼란스럽다.


     또한 여기서 나오는 것들이 직위가 아니고 단순히 그러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은사이기 때문에 그 순서에 있어서도 전도자, 목사, 교사 인 것이다. 만약 이것이 오늘날과 같은 직위였다면  그 순서가 목사, 전도사, 교사였을 법도 하다.


    고린도전서 12장 28절 말씀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하나님이 교회 중에 몇을 세우셨으니 첫째는 사도요, 둘째는 선지자요, 셋째는 교사요, 그 다음은 능력이요, 그 다음은 병 고치는 은사와 서로 돕는 것과 다스리는 것과 각종 방언을 하는 것이라” 여기에서는 아예 ‘목자(목사)’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지 않고 다만 ‘사도’, ‘선지자’ 다음에 ‘교사’가 언급되어 있다. 왜 목사직이 빠져 있을까? 그 이유는 초대교회 때에는 양들을 다스리고 말씀으로 가르치고 양육하는 은사를 지니고서 활동하는 사람은 있었으나 목사라는 직함을 가지고서 일하는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이어서 능력을 행하는 자, 병 고치는 자, 방언을 말하는 자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것도 은사로 보아야하는 것이지 이것을 직함(직분)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오늘날 교회 안에 ‘능력자’, ‘병 치유 은사 소유자’, ‘돕는 자’, ‘다스리는 자(통치자)’, ‘방언자’라는 직분을 가진 자가 결코 없지 않는가?


     ‘목사(목자)’라는 말은 아예 없고 다만 ‘다스리는 것’이라는 말로 표현되어 있을 뿐이며, 이것마저도 거의 맨 뒷 부분에 언급되어 있다. 이것은 초대교회에는 오늘날과 같은 개념으로서의 목사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다만 은사의 한 영역으로 목회가 있을따름이었던 것이다.따라서 성경에서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하나님이 주신 은사의 한 영역이라고 그 뒷 구절들(고전12:29-31)에서 말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초대교회에는 오늘날과 같은 ‘목사’라는 직임이 존재하지 않았고 다만 장로들이 ‘목자’의 은사를 가지고서 그러한 일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성경에는 장로(감독)와 집사의 자격에 대해서는 직접 자세하게 언급이 되어 있어도(딤전3:1-13, 딛1:5-9) 목사의 자격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되어 있지 않는가?


    만약 초대교회에도 오늘날과 같은 목사제도가 있었다면 목사의 자격에 대해서 자세하게 언급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에 대해서 전혀 언급이 없는 것은 오늘날과 같은 목사제도가 그 때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약교회가 세워진 이후의 상황을 기록한 사도행전엔 목사의 자격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을뿐더러 아예 ‘목사’라는 단어조차도 없다.


    우리나라의 『한글개역성경』이나 『현대인의 성경』에는 에베소서 4장 11절에 딱 한번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우리의 현실성을 반영한 번역으로서 다른 곳에서는 동일한 이 단어가 모두 ‘목자’로 번역되었음을 앞서 지적한 바 있다.


    신약교회(초대교회)가 세워진 이후에 교회와 관련하여 기록된 성경 말씀 중 ‘목자’라는 단어는 총 6번 밖에 사용되고 있지 않다. 교회가 처음 형성되어진 과정부터 점차 여러 지역에 교회가 세워진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는 사도행전에는 ‘목자’라는 단어가 한 번도 사용되어지고 있지 않다.


    오직 서신서에 5번, 계시록에 1번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에베소서 4장 11절은 교회 안에 성도들을 돌아보는 은사로서의 목자를 말씀하고 있으며, 히브리서 13장 20절, 베드로전서 2장 25절, 5장 4절, 계시록 7장 17절은 예수님을 가리키고 있고, 유다서 1장 12절은 이단자인 영지주의자들을 가리키면서 ‘자기 몸만 기르는 목자’라고 표현되어 있다.


      만약 초대교회에도 오늘날과 같은 목사 제도가 있었다면 사도행전에 최소한 몇 번은 목사라는 호칭이 등장했었을 것이며, 특히 각 교회에 보낸 서신서에는 당연히 매번 목사라는 호칭이 등장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의 생각에는 목사 없는 교회란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것이며, 또한 편지에 그 교회의 목사에 대해 아무런 인사말이나 당부의 내용이 없다는 것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모든 의문점들을 풀 수 있는 해답은, 그 당시의 교회 안에는 오늘날과 같은 목사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며 그 대신에 장로들이 교회를 다스리고, 양들을 말씀으로 가르치고 양육하며 목회를 했기 때문이다.


    성경에는 장로에 대한 언급 과 또 그 자격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으며, 장로들이 교회를 돌아보고, 다스리며 목회했다고 성경은  증거하고 있다.

    바나바와 사울(바울)은 구제헌금을 유대의 가난한 교회(예루살렘 교회)의 장로들에게 주었다.


    “이를 실행하여 바나바와 사울의 손으로 장로들에게 보내니라”(행11:30)


      왜 구제헌금을 목사에게 보내지 않았을까? 예루살렘 교회에 있는 장로들이 실제로 교회를 다스리고 교회를 인도하며 목회를 하고 있었기에 장로에게 구제헌금을 전달했던 것이다. 예루살렘 교회의 장로들은 교리적인 문제가 있었을 때 12사도들과 함께 의논도 했다(행15장).


      “바울과 바나바와 저희 사이에 적지 아니한 다툼과 변론이 일어난지라 형제들이 이 문제에 대하여 바울과 바나바와 및 그 중에 몇 사람을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와 장로들에게 보내기로 작정하니라". 예루살렘에 이르러 교회의 사도와 장로들에게 영접을 받고 하나님이 자기들과 함께 계셔 행하신 모든 일을 말하매..사도와 장로들이 이 일을 의논하러 모여...


    이에 사도와 장로와 온 교회가 그 중에서 사람을 택하여 바울과 바나바와 함께 안디옥으로 보내기를 가결하니 곧 형제 중에 인도자인 바사바라 하는 유다와 실라더라 그 편에 편지를 부쳐 이르되 사도와 장로된 형제들은 안디옥과 수리아와 길리기아에 있는 이방인 형제들에게 문안하노라”(행15:2, 4, 6, 22-23)


      왜 이 중요한 회의에 목사가 빠졌을까? 이 해답은 그 당시에는 교회에 목사가 없었기 때문이다. 교회 규모가 작고 재정이 부족해서 목사를 모실만한 여유가 없어서가 아니고  애당초 초대교회 안에는 목사라는 직위가 없었다. 로마 카톨릭교회는 애당초 성경에도 없는 독신 신부제도, 교황제도를 만들었고, 개신교는 이것을 모방하여 목사라는 직위를 만들었다.


     

    바울과 베드로 사도는 교회 장로들에게 직접적으로 지역교회를 돌아보고 감독하라고 명했다. 그리고 장로들은 성령님께서 교회를 감독하도록 세운 사람들이라고 바울은 말하고 있다. “바울이 밀레도에서 사람을 에베소로 보내어 교회 장로들을 청하니.....너희는 자기를 위하여 또는 온 양떼를 위하여 삼가라 성령이 저들 가운데 너희로 감독자를 삼고 하나님이 자기 피로 사신 교회를 치게 하셨느니라”(행20:17, 28)


      바울은 왜 에베소 교회의 목사를 부르지 않고 장로들을 불러 그들에게 목회자의 사명을 일깨워주었을까? 또한 베드로는 왜 목회자로서의 올바른 자세에 대해 소아시아의 다섯 지방(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 비두니아)에 흩어져 있는 교회의 목사들에게 말하지 않고 교회의 장로들에게 말했을까?


    만약에 교회 안에 오늘날처럼 목사라는 별도의 신분이 존재했다면 당연히 목사에게 이러한 말을 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직임으로서의 목사제도가 아예 없었다. 다만 장로들이 서로 그 역할을 분담하여 목회 활동을 했다. 그래서 바울과 베드로는 장로들에게 이와 같이 말했던 것이다.


      그리고 바울은 장로들이 이와 같은 목회 활동을 하도록 교회의 감독자로 삼은 분이 바로 성령님이라고 말하고 있다. 성경 그 어느 곳에서도 목사를 교회의 감독자로 삼았다는 말은 없다. 그리고 장로라는 직분과 감독이라는 직분은 서로 다른 직분이 아니라 동일한 직분을 두 가지로 표현한 것이라는 점이다. 감독이란, 교회를 감독하는 일을 한다는 측면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장로는 그 나이와 신앙 경륜이 깊다라는 측면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감독은 장로 위에 있는 어떤 계급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감독과 장로는 동일한 직분이기 때문에 바울은 에베소 장로들을 불러 모아놓고, 성령이 그들을 교회의 감독자로 삼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베드로에 의하면 본도와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 그리고 비두니아 교회들도(벧전1:1) 복수 장로에 의하여 감독되었음을 볼 수 있다(벧전5:1).


      (행14:23) “각 교회에서 장로들을 택하여 금식 기도하며 저희를 그 믿은바 주께 부탁하고”


      (행20:17) “바울이 밀레도에서 사람을 에베소로 보내어 교회 장로들을 청하니”


      (빌1:1)“그리스도 예수의 종 바울과 디모데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는 감독들과 집사들에게 편지하노니”


      (딛1:5)“내가 너를 그레데에 떨어뜨려 둔 이유는 부족한 일을 바로잡고 나의 명한 대로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


    사도 바울은 새로 세워진 교회에 왜 목사를 세우지 않고 장로들을 세웠을까? 여러 명의 장로보다는 한 사람의 목사를 세워 교회의 모든 것을 맡기면 교회가 일사불란하게 잘 돌아 갈 것인데 왜 여러 명의 장로들을 교회 안에 세웠을까? 하나님께서는  다수의 장로들에 의한 팀 목회(분담목회)를 더 원하셨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지혜보다 더 뛰어나신 하나님의 지혜이다. 성경에서 말하는 장로, 사도 바울이 세우고자 했던 장로는 역할을 분담하여 다른 장로들과 함께 목회하는 장로이다.


    바울은 회중들에게 “잘 다스리는 장로들 특별히 말씀에 수고하는 장로들”을 배나 존경하라고 권했다. 이러한 존경의 표현에는 물질적인 공급도 포함된다. “잘 다스리는 장로들을 배나 존경할 자로 알되 말씀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을 더할 것이니라 성경에 일렀으되 곡식을 밟아 떠는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말라 하였고 또 일군이 그 삯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 하였느니라”(딤전5:17-18)


    이러한 사실들은 생각해볼 때 당시의 모든 교회들 안에는, 다만 서로 그 역할을 분담하여 목회하는 장로들만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성경에서 교회의 장로들을 언급할 때 항상 복수형인‘장로들’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바울은 장로들이 지역교회를 돌아보는 청지기 또는 하나님의 집일을 맡아보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감독은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책망할 것이 없고 제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급히 분내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더러운 이를 탐하지 아니하며”(딛1:7)


    바울은 장로들이 거짓 교사들로부터 교회를 보호할 엄숙한 책임을 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딛1:5, 1:7-11) “내가 너를 그레데에 떨어뜨려 둔 이유는 부족한 일을 바로잡고 나의 명한대로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감독은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책망할 것이 없고 제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급히 분내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더러운 이를 탐하지 아니하며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야 하리니 이는 능히 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고 거스려 말하는 자들을 책망하게 하려 함이라 복종치 아니하고 헛된 말을 하며 속이는 자가 많은 중 특별히 할례당 가운데 심하니 저희의 입을 막을 것이라 이런 자들이 더러운 이를 취하려고 마땅치 아니한 것을 가르쳐 집들을 온통 엎드러치는도다”


    베드로는 장로들이 권위주의자가 되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 (벧전5:1-3) “너희 중 들에게 권하노니 나는 함께 장로된 자요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이요 나타날 영광에 참예할 자로라 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부득이함으로 하지말고 오직 하나님의 뜻을 좇아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를 위하여 하지말고 오직 즐거운 뜻으로 하며 맡기운 자들에게 주장하는 자세를 하지말고 오직 양 무리의 본이 되라”

 

-------------------------------------------------------------------------------------------------------------------------------------------

 

니골라당이란

 

 

니골라당´이라는 말은 성경에 2번 나옵니다(요한계시록 2 :6, 2 :14). 성경을 읽지 않는, 소위 선데이 크리스챤(Sunday Christian)들 중에서는 이 용어가 성경에 나오는지조차도 모르는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회들은 이 용어의 성경적인 의미를 가르치는 것을 꺼려합 니다. 그러나 이 용어의 의미를 올바로 아는 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하며, 아마 현대의 교회들에게는 치명적이기까지 할 것입니다. 그러나 알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성경이 말씀하시는 바대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니골라 당'은 그리스어(헬라어)에서 음역된 것입니다. 그리스어로 '정복하다 또는 지배하다'(conquer, overcome)를 뜻하는 '니카오'와 '일반 백성 또는 평범한 사람'을 뜻하는 '라오스'(laity, layman)의 합성어입니다. 이 '라오스'가 성경에서 사용될 때는 "평신도"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니골라 당'은 곧 "평신도를 지배한다"는 의미인 것입니다.

도널드 그레이 반하우스는 이것에 대하여 "평신도 위에 군림하는 목사의 높아짐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라킨도 "이들의 목적은 성직제도를 세워서 평신도들 위에 군림하려는 것이었다. 여기서 우리는 '사도적 계승'과 성직자를 평신도와 구분 시키려는 교리의 기원을 볼 수 있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니골라 당은 구약에서와 같이 하나님 앞에 특별히 부르심 받아 특별한 직분을 받은 성직자(제사장)와 평신도를 구분함으로써, 성직자가 일반 신자들을 지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목회자와 평신도, 이 둘을 구분하지 않고, 단지 은사와 직분적인 의미만 부여하고 있습니다. 목회자, 평신도 할 것없이 거듭난 그리스도인 모두가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 된 "지체"요, "형제"이며, "기름부음을 받은 성직자(제사장-Priest)"라고 말씀합니다. 베드로전서 2 :5, 9을 보십시오.
 
"너희도 산 돌들로서 영적인 집으로 지어지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실만한 영적인 희생제물들을 드리는 거룩한 성직자(제사장)이 되느니라. 그러나 너희는 선택받은 세대요, 왕같은 성직자(제사장)이며..."

말씀에서 떠난 현대의 많은 교회들은

 

교회의 감독인 목사는

하나님에 의하여

아주 특별한 기름부음을 받아

성직으로 성별된 거룩한 종이지만,

 

평신도는

일반적으로 교회 다니는 신자들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목회자는 물리적으로

그들을 지배하고,

평신도들 위에서 군림하며,

자신들을 섬겨줄 것을 강요합니다.

 

마치 구약의 성직자들처럼

자신들만이 특별하게

거룩한 기름부음을 받았다고 여깁니다.

그 렇다면 평신도들은

기름부음을 받지 않았다는 말입니까?

 

그러나 성경은 절대로

그렇게 말씀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모두 다

한 성령으로 기름부음을 받았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는 높고 낮음이 없습니다.

 

모두 다 한 형제입니다.

 

주님께서도 이것에 대해 분명히 말씀하 셨습니다

(마태복음 23 :8).

단지 구별된 것은 각자가 받은 "은사적 위치"(로마서 12 :1-8; 고린도전서 12장; 에베소서 4 :7-12)와 "지역교회적 직분"(디모데전서 3장; 디도서 1,2장)의 차이일 뿐입니다. 목회자가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권위와 힘은 "영적인 권위와 힘" 뿐입니다. 목회자의 영적인 권위와 힘은 어디서 오는 지 아십니까? 그것은 "위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또한 "말씀과 기도"를 통해서 오는 것입니다(사도 행전 6 :4; 디모데전서 4 :5).

그런데 목회자가 "말씀과 기도" 이외에 다른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 그 교회는 십중팔구 타락하고, 부패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목회자 여러분, 위로부터 오는 영적 권위를 힘 입으십시오! 영적 권위와 힘은 결코 물리적인 것이나 신분적인 구별에서 오는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합니다. 아래로부터 오는 인위적인 권위를 힘입는다면, 이후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앞에서 그 사실에 대해 해명해야 할 것입니다. 사도 베드로는 교회의 직분을 맡은 목회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 내가 너의 중 장로들(목사들)에게 권면하노니 ... 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떼를 먹이고 감독하되, 마지 못하여 하지 말고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익을 위하여 하지 말고 오직 기꺼운 마음으로 하며, 하나님의 상속인들 위에 군림하지 말고, 오직 양떼들에게 본이 되라"(베드로전서 5 :1-3).

사도 베드로는 성도들에 대해서 이렇게 권고하고 있습니다.

" 너희 젊은이들아, 이와 같이 장로(목사)에게 순복하고, 또 너희가 다 서로 복종하며, 겸손으로 옷입으라. 이는 하나님께서 교만한 자들을 대적하시고, 겸손한 자들에게 은혜를 주심이라. 그러므로 하나님의 강력한 손 아래서 스스로 겸손하라. 때가 되면 그분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베드로전서 5 :5-6).
 
위의 말씀처럼 서로를 더 낫게 여김으로 섬겨야 할 것입니다. 또한 히브리서 13 :17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고 있습니다.

" 너희를 다스리는 자들에게 순종하며 스스로 복종하라: 이는 그들이 너희 혼들을 위해 깨어있기를 마치 자기들이 회개해야 할 자들인 것같이 함이니, 그들로 하여금 기쁨으로 이것을 하게 하고, 슬픔으로 하지 않게 하라.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유익이 없느니라."

이와 같이 성도들은 인도하는 목자에게 순종하여 성도들로 인하여 낙심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요한계시록 2장과 3장은 우리 주님께서 일곱 교회들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이 일곱 교회는 두 가지 측면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역사적으로는 요한이 계시록을 기록하던 당시인 A.D. 92년 ~ 95년경 소아시아 지방에 실제로 존재하던 교회들을 말합니다. 영적으로는 교회가 시작한 오순절 성령강림 때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교회역사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그 중 니골라 당은 두 곳, 곧 에베소 교회(요한계시록 2 :6)와 버가모 교회에 주시는 말씀 가운데 있습니다(요한계시록 2 :14). 에베소 교회는 교회사에서 교회가 시작된 때로부터 A.D. 100년까지를 말하며, 버가모는 A.D. 325년~ 500년까지의 교회 기간을 말합니다. '에베소'란 "처음 사랑"이란 뜻이며, 버가모란 "숱한 결혼"이란 뜻입니다.

' 니골라 당'이 언급된 두 성경구절을 자세히 비교하여 살펴본다면,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실 것입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에베소 교회 기간에서는 단순히 "니골라 당의 행위들"이 버가모 교회 기간에 가서는 "니골라 당의 교리"로 바뀐다는 것입니다. 자그마한 씨에 불과하던 것이 뿌리를 완전히 내린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초대교회 당시(에베소 교회 기간)에는 "행위들"에 불과했던 '씨'가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 이후(버가모 교회 기간) 교회가 정치권력과 결탁함으로써 "교리"로 그 '뿌리'를 내린 것입니다. 이것은 아주 놀랄만한 일입니다. 콘스탄틴 이후 카톨릭이 그 싹을 트면서 이 "성직 교리"를 자신들의 교리로 정착시켰고, 관료주의적인 성직 계급을 본격화하였습니다.

오 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그들의 성직 계급제도(신부 - 주교 - 대주교 - 추기경 - 교황)가 바로 이 교리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들은 구원받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성직자(제사장)가 되는 이 은혜의 신약시대에 구약에서의 성직자(제사장)들처럼 자신들을 특별한 사제적인 위치로 구별하여 올려놓고, 일반 평신도들 위에서 군림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들은 자칭하여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히 기름부음 받은 자들이요, 사람들의 죄를 사면할 수 있는 자들이며, 또한 초대교회 사도들의 사도권을 계승한 자들이요, 하나님을 대신하여 대리권을 가진 자들'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God forbid!).

예를 들어, "신부"라는 호칭을 살펴볼 것 같으면, 한자로는 "神父"요, 영어로는 "God-Father"이니, 이를 해석하면, "하나님 아버지", 또는 "하나님의 아버지"라는 뜻이 됩니다. "하나님 아버지", 또는 "하나님의 아버지"라고요? 천하에 이렇게 하나님을 모독하는 자들이 과연 어디 있단 말입니까? 카톨릭의 신부들은 자신들이 "아버지(Father)"라고 불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이에 대해 마태복음 23 :9에서 이미 경고하신 바 있습니다. "땅 위에서 사는 사람을 너의 아버지라 칭하지 말라. 너희 아버지는 한 분, 곧 하늘에 계신 분이시니라." 그런데도 그들이 지금도 "아버지"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하지 말라고 하신 것을 왜 아직도 하고 있는 것일까요? 가서 한 번 물어보십시오.

하나님께서는 두 번씩이나 니골라 당의 행위와 교리를 "미워하신다"(hate)는 자신의 뜻을 분명하게 말씀하셨습니다(요한계시록 2:6,15). 종교개혁 당시 카톨릭에 대해 대항(PROTEST!)했던 개신교, 곧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들이 오늘날 카톨릭의 전통을 답습하고 있는 것은 실로 애통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설상가상으로 다시 카톨릭과 손을 잡고, 연합하겠다는 저의는 또 무엇입니까?

카톨릭에 대해 "프로테스트"(protest)했던 개신교가 왜 다시 카톨릭으로 돌아간단 말입니까? 오늘날 카톨릭의 교리와 전통을 그대로 답습하고, 니골라 당의 행위와 교리를 그대로 자행하고 있는 교회들이 너무 많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을 두려워해야 할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이 마지막 날에는 모든 것을 심판하실 것입니다.

"나를 거절하고, 내 말들을 받아들이지 아니하는 자는 그를 심판할 이가 있으니, 곧 내가 말한 그 말이 그를 마지막 날에 심판하리라"(요한복음 12 :48).


" 내가 너희 중 장로들(목사들)에게 권면하노니 ... 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떼를 먹이고 감독하되, 마지 못하여 하지 말고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익을 위하여 하지 말고 오직 기꺼운 마음으로 하며, 하나님의 상속인들 위에 군림하지 말고, 오직 양떼들에게 본이 되라. 그리하면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에 너희가 시들지 않는 영광의 왕관(면류관)을 받으리라"(베드로전서 5 :1-4).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께서는 올바른 성경적 가르침을 깨닫기 바라며, 특히 목회자 여러분들께는 성경적인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큰 축복이 있길 소원하는 바입니다. 

 

 니콜라파의 "성직 복장"

 

 

요 한계시록 2:6과 2:15을 보면, 니콜라파에 대한 말씀이 나온다. 시중에 나와 있는 많은 주석서나 강해서를 살펴보아도 "니콜라파"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찾아보기란 어렵다. "니콜라파"란 "Nicolaitans"를 음역한 말이다. "Nicolaitans"란, "Nikao"(지배하다)와 "Laos"(Laity, 평신도)의 합성어이다. 말 그대로 평범한 보통 사람을 누군가가 지배한다는 것이다.

 

성 경을 주목해 보면, 계시록 2:6에서는 니콜라파의 '행위'(deeds)라고 언급되었다가, 계시록 2:15에서는 니콜라파의 '교리'(doctrine)로 바뀐 것을 발견하게 된다. 처음 "니콜라파"는 보통 사람들을 어떻게 지배할까 하는 행위(deeds)로 드러났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도적 권위를 내세웠고, 자신들만이 특별한 사도들인 양, 또한 자신들만이 특별하다는 듯, 구별된 행동을 취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차츰 다른 그리스도인들과의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오늘날도 이런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 '행위'가 '교리'로 확립되면서 '성직자 계급'이 형성되었고, 자신들만이 특별한 지위인, 제사장 직분이 되어 평범한 보통 그리스도인들을 지배하게 된 것이다(행위는 교리를 확립하기 위한 전 단계일 뿐이다).

이 것은 바빌론 종교가 기독교계에 유입된 전형적인 예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로마 카톨릭이나, 사실 개신교회도 만만치는 않다. 얼마 전 신문에서 개신교 목사들의 '성직복장'(목사복)이 소개되었다. '로만 칼라'(Roman Collar)를 놓고 카톨릭과 개신교가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더니, 드디어 개신교 목사들만을 위한 '성직복장'(목사복)이 나온 것이다. 카톨릭 대사전은 로만 칼라에 대해 "성직자가 자신의 공식적인 입장을 표시하기 위해 목에 두르는 칼라"라고 정의하고 있다.

 

검은색 셔츠 위에 받쳐 입는 흰색 칼라인 '로만 칼라'는 신부들의 전형적인 옷차림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개신교 목사들 중 일부가 이러한 복장을 하여 신부들은 내심 못마땅히 여겨 왔다. "하느님 명령에 복종하는 순명(順命)과 가정을 갖지 않는 독신(獨身)의 상징이 바로 로만 칼라입니다." "누가 신부이고, 누가 목사인지 얼른 구분되지 않으면 곤란하지 않습니까?"(조선일보, '98.10)

 

이에 목사들은 "87년 민주항쟁 때, 일반인들과 복장이 구분되지 않아, 곤란을 겪었던 개신교 목사들이 보라색 와이셔츠에 하얀 칼라를 했던 것이 효시다."

 

"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목사들도 로만 칼라를 해 왔다."(어느 외국인가? 그 목사는 배교한 외국교회 목사일뿐이다.)라며 응수한다. 한국기독교총연합(한기총)은 98년 12월 '목사복'을 제정하여 발표했다. 그들은 '로만 칼라'란 말 대신 '클레리칼 칼라'(Clerical Collar)란 말을 쓰면서, 베드로복(평상복과 예복 겸용)과 바울과 안드레복(평상복)을 내놓았다(베드로와 바울, 안드레가 들으면 기막혀 할 일이다).

 

개신교회의 목사들이 '성직복장'(목사복)을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 법관에게는 법복이 있고, 의사는 의사 가운이 있어 이런 특별한 복장으로 인해 일반 사람들과 구분되듯이 그처럼 목사도 일반인들과는 구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성직복장'(목사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목사를 직업으로 삼아 밥먹고 살기 위해 하는 사람들에게는 '목사복'이 필요한가 보다(롬 16:18, 빌 3:19).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오히려 긴 옷(막 12:38, 눅 20:46)을 입고 있는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을 향해 회칠한 무덤(마 23:27)과 독사의 세대라고 저주하셨다(마 23:33). 베드로, 안드레, 바울 등 사도들 중 어느 누구도, '성직복장'(목사복)을 착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성직 복장'(목사복)을 말하는 사람들은, 마치 자신들이 구약시대의 제사장이라고 착각하는 것 같다. 제사장에게는 제사장 복장에 대해서 명령하셨다(출 28장). 그러나 신약 시대에는 그 어떤 사도에게도, 심지어는 어떤 목사에게도 '성직복장'(목사복)을 입으라고 명령하신 적이 없다.

 

신비의 바벨론 종교 제사장들만이 자신들의 지위를 이용해 보통 사람들을 지배하기 위해 제사장 복장을 차려입었다. 로마 카톨릭의 요한 바오로 2세가 미사를 집전하기 위해 차려 입은 교황 복장은, 거처조차 변변치 않았던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 때의 모습(눅 9:58)과 전혀 닮은 구석이 없다(재림 때의 모습과는 더 닮은 점이 없다. 계 1:13-16; 19:11-18).

 

오늘날 개신교에서 로마 카톨릭처럼 '성직복장'(목사복)을 하려는 의도는, 자신들 성직계급의 교리(니콜라파의 교리)를 정당화하려는 것일 뿐이며 '성직복장'(목사복)을 하는 것은 '니콜라파의 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일 뿐이다. 이제 개신교는 곧 로마 카톨릭을 더 많이 닮은 무언가를 발표할 것이다(성직자가 평신도를 잘 지배하기 위해). 이미 로마 카톨릭과 성공회, 정교회, 루터교, 개신교 내에 '니콜라파의 교리'는 뿌리 깊이 박혀 있다.

 

모든 주요 행사가 똑같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다(부활절 계란, 크리스마스 트리, 세례식, 유아 세례식, 성찬식, 예배 때 목사 가운, 기도문 암송, 성가대의 기도송 등등).

 

그러나 '니콜라파의 교리'를 다시 언급하는 이유는, '성직복장'(목사복)이란 미명하에 드러나는 악한 일(스카랴 11:16,17) 때문이다. 그들 '특별한 성직자'들은 자신들만의 '특별한 복장'을 하고, 그들의 양들을 철저히 속이며, 위에서 지배하려고 한다. 혹 '목사복'을 입으면 더 거룩해 보이고 평신도들보다 더 특별해 보일 수 있을지는 모른다. 그러나 그 목사가 참으로 신실하게 하나님의 사역을 하는지는 '성직복장'(목사복)으로 결코 입증되어지지 않는다.

 

성경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왕 같은 제사장(벧전 2:9)임을 말씀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우매한 목사들이 자신들을 성도들과 특별하게 구별짓기 위해 '성직복장'(목사복)을 한다는 것은, 자신들이 '니콜라파의 교리'에 흠뻑 젖어 있는 '니콜라파'란 사실을 스스로 만천하에 알리는 어리석은 일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집에 있는 교회”

 

그러나 오늘 날 대형 건물을 지어 놓고 그 건물이 “교회”라는 개념을 심어 주고,

그 곳에 앉아서 ‘회사 사장 노릇하는 먹사넘들’이 곧 “양의 탈을 쓰고 있는 이리”

이며 “집 교회”를 없이 한 장 본인들입니다.

 

성경에 교회를 위한 건물이 있는 기록이 없습니다.

100% “집 교회”이었습니다.

 

“집 교회” 혹은 “가정 교회”(=가정집에 있는 교회)

 

성경에 기록된 역사적 <교회> 모습은 철저히 “집 교회”이었습니다.

오늘 날처럼 ‘영향력 행사의 장소’로 <큰 건물에 최소 수백에서 수만이 모이는 집단>

형태가 없는 “초대 교회”의 “집 교회”가 성경에 기록 일 뿐입니다.

 

“집 교회”의 장소는 <가정 집>이었으며, 그 모임의 수는 <가정 집>을 채울 수 있는

수에 한 했고, 모임의 형태는 결코 사도들이 전한 “기록한 말씀 밖에 넘어가지 말라

한 것”(고전 4:6)을 지켜 “인간의 인위적 교리가 전무한 상태에서” 자생적으로 “세포

가 번식하듯” 퍼져 나갔습니다.

 

(고전 4:6) 형제들아 내가 너희를 위하여 이 일에 나와 아볼로를 가지고 본을 보였으

니 이는 너희로 하여금 기록한 말씀 밖에 넘어가지 말라 한 것을 우리에게서 배워 서

로 대적하여 교만한 마음을 먹지 말게 하려 함이라

 

“집 교회”는

 

오늘 날의 ‘예배형태’처럼 “예배 순서지”대로 <종교의식>을 행하지도 않았고, 노래

몇 개하고, ‘성가대’라는 전문적 노래꾼들(entertainment 여흥 =餘興)도 없었으며,

광고 순서나, 목사생활비 혹은 건물 유지비를 위한 <돈 걷기>도 없었고, 목사 중심

의 “one man-show”는 더더욱 없었습니다.

 

목사가 ‘순서진행’하고, ‘대표기도’하고, ‘말씀 전’하고, 어떤 소수의 모임에서만

‘병 고치는 것’이나, ‘방언하는 것’도, ‘통역하는 것’도, 목사 혼자서 모두 다합니다.

 

완전한 “one man-show”이며, “Entertainer”입니다.

 

* “예배”의 주인, 주관은 “영”이신 분입니다.

 

성경은 교회내의 역할을 분담하여 성령의 인도함에 따라 각각 그 때, 그 때 분담 자

가 바뀌는 형태를 취했다.

 

예를 들면 교회를 향한 방언하는 자와 이를 통역하는 자는 동일인이 아니었고, 성령

의 나타남은 각 각 달리 나타내었다.

 

입이 듣는 역할을 못하고, 팔로 걷는 자가 없듯이 귀로 먹고, 입으로 보는 일은 결코

없다.

 

그들은 몸의 각각의 부분처럼 <예배 시>에 ‘성령의 인도함’대로 ‘어떤 이는 방언’을,

어떤 이는 방언 통역함’을, ‘어떤 이는 예언’을, ‘어떤 이들은 시()’을, ‘어떤 이는

말씀’을, ‘어떤 이는 성령의 은사들’을 나타내었다.

 

고전14:21 율법에 기록된바 주께서 가라사대 내가 다른방언(2084 헤테로글롯소스=

외국어)하는 자와 다른 입술로 이 백성에게 말할지라도 저희가 오히려 듣지 아니하

리라 하였으니

 

22 그러므로 방언들은 믿는 자들을 위하지 않고 믿지 아니하는 자들을 위하는 표적

이나 예언은 믿지 아니하는 자들을 위하지 않고 믿는 자들을 위함이니

 

23 그러므로 온 교회가 함께 모여 다 방언들로 말하면 무식한 자들이나 믿지 아니

하는 자들이 들어와서 너희를 미쳤다 하지 아니하겠느냐 ?

 

24 그러나 다 예언을 하면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나 무식한 자들이 들어와서 모든

사람에게 책망을 들으며 모든 사람에게 판단을 받고

 

25 그 마음의 숨은 일이 드러나게 되므로 엎드리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 가운데 계시다 전파하리라

 

26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꼬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27 만일 누가 방언(단수)으로 말하거든 두 사람이나 다불과 세 사람이 차서를 따라

하고 한 사람이 통역(디엘메뉴테스= 통역자= 해석자)할 것이요

 

28 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거든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및 하나님께 말할 것이

 

29 예언하는 자는 둘이나 셋이나 말하고 다른 이들은 분변할 것이요

 

30 만일 곁에 앉은 다른 이에게 계시가 있거든 먼저 하던 자는 잠잠할지니라

 

31 너희는 다 모든 사람으로 배우게 하고 모든 사람으로 권면을 받게 하기 위하여

하나씩 하나씩 예언할 수 있느니라

 

32 예언하는 자들의 영이 예언하는 자들에게 제재를 받나니

 

33 하나님은 어지러움의 하나님이 아니시요 오직 화평의 하나님이시니라

 

1) 찬송시, 2) 가르치는 말씀, 3) 계시, 4) 방언, 5) 통역함

 

찬송시=5568 yalmov"{psal-mos'} : 프살모스 1)치기, 퉁기기

 

'음악'의 일집, 즉 거룩한'송시'(육성, 하프 또는 다른 악기의 반주있는;'시편'),

시, 찬송시. a song of praise, a psalm;

 

“집 교회”는 많은 수가 아니었으며, “집 교회”이어야만 예수를 핍박하려는 당시의

‘유대인들’이나 ‘로마의 세력’ 또는 ‘이방 종교’(카톨릭)로부터 안전할 수 있고,

자생할 수 있었으며, ‘예수의 이름’이 넓게 퍼져 나갈 수 있었고, <지하교회>가 될

수 있었다.

 

과거의 ‘초대교회’인 “집 교회”가 그러했던 것처럼 ‘중국교회’ 곧 중국의 “집 교회”는

철저한 <지하교회>이었기에 공산당들도 잔멸시킬 수 없었던 것이다.

 

지금 중국에는 정부에서 인정하고, 정부에서 월급 받고 강의하는 사람이 중심이

되어 모이는 “교회”라는 간판이 있다. 지하교회를 세상으로 끌어내려는 방책이지만

지금 중국의 지하교회는 여전히 지하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

 

그들은 정부허락의 “교회”(?)를 인정하지 않고, 잠수한 상태로 부상하기를 스스로

거부하고 있으며, 외부(한국선교사나 서구 선교사들)이 가져오는 “쓰레기 신학”을

배제한다.

 

(고전 16:19) 아시아의 교회들이 너희에게 문안하고 아굴라와 브리스가와 및

그 집에 있는 교회가 주 안에서 너희에게 간절히 문안하고

 

(골 4:15) 라오디게아에 있는 형제들과 눔바와 그 여자의 집에 있는 교회에

문안하고

 

(몬 1:2) 및 자매 압비아와 및 우리와 함께 군사 된 아킵보와 네 집에 있는 교회

에게 편지하노니

 

‘가루 서 말’과 ‘누룩’

 

(마 13:33) 또 비유로 말씀하시되 천국은

           마치 여자가 가루 서 말 속에 갖다 넣어 전부 부풀게 한 누룩과 같으니라

 

(눅 13:21) 마치 여자가 가루 서 말 속에 갖다 넣어 전부 부풀게 한 누룩과 같으니라

           하셨더라

 

중국의 <지하교회>는 철저한 “집 교회”다.

 

중국의 <지하교회>는 외부의 <성경적이 아닌 일반 모든 ‘교회’라는 그룹들>의

세력이 중국의 <지하교회>로 들어오는 것을 염려가 지나쳐 반대하고 있다.

 

중국에 3년을 있다가 온 인터넷에서 만난 ‘김 폴’이란 분의 말을 빌리면 “중국의

지하교회는 한국의 선교사라는 이름으로 포교활동하려 들어오는 것을 싫어한다.”

했다.

 

 또한 한국의 선교사들은 “다만 중국 내에 있는 조선족 교회를 상대로 경제적

도움을 주는 것 정도 이상의 일은 별로 하는 일이 없다“고 했다.

 

그 이유는 <중국의 종교법>이 “타국인은 포교 활동을 할 수 없다”고 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 했을 때 처벌(징역)이 되며, 위반이 적발되면 한국 선교사들이 돈으로

‘공안원’을 매수하는 습성이 알려져 돈벌이한 공안원이 되어 버린 상태라 했다.

 

즉 설교를 하려면 ‘돈이 든다.’는 말이 된다.  웃지 못 할 일이다.

 

“그러면 <지하교회>에 무엇을 도울 수 있는가?”라고 질문을 했더니,

 “선교사를 중국으로 보내지 않는 것이며, 필요한 것은 <성경책>”라고 했다.

 

그들이 성경책을 만들어 보급하다 발각되어 징역사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그들은

이로 인애 핍박 받는 것, 징역 가는 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실지로 자주 자주 잡혀

간다고 했다.

 

결코 두렵게 생각지 않는 마치 성경에서 보는 <초대교회>의 성도들의 모습이라고

했다.

 

(중국지하교회 Video 시청 후---)

지금 우리가 모이고, 예배드리는 것, 신앙 생활하는 것, 가진 믿음, 소망, 핍박 등등이

<중국지하교회>와 어떻게 다른가??

 

서방세계에 있는 <교회>라는 그룹들이 <중국지하교회>가 전도에 대상이 되는가?

 

앞으로 또 한번의 50년을 그들을 건드리지 말고 “내버려두면” <중국지하교회>가 중국

공산당을 <잔멸> 시키고도 남지 않겠는가!!!!!   

 

서방세계에 <교회>는 <중국지하교회>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서방세계에 <교회>는 <중국지하교회>로부터 “무엇을 배우기 전”에 “누룩부터 버려야

할 것”이다.

 

성경에 나타난 “교회” 단위는 “집 교회”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구성원의 수는

아마도 4-50명 혹은 70-80명 수준이 아니었나 싶다.

 

“초대 교회”의 <믿음> 뿐 아니라 “초대 교회”의 <집 교회> 형태로 돌아가야 한다.

 

 

홈지기[bethany]  (2007-03-17 10:40:56)  

글쓴이: olivesan

 

유익한 자료를 올렸군요.

 

주님께서 이생에서 제자들과 유월절을 잡수신 그 날부터는

유대교인들의 대회와 주님과 제자들의 어느 가정 집 다락방에서

모인 모임이 완전하게 갈라졌습니다.

 

우리는 주님께서 세우신 새로운 형태의 모임에 대하여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람의 손으로 지은 큰 건물을 교회라고 가르치고 그렇게 인식하는

것은 진리를 대적하는 자칭 유대인의 회에 속한 사단 무리의 사악한

짓거리들입니다.

 

자기 집을 열어서 주님께 은혜로 구원을 얻은 형제 자매님들을 초청하고

아름다운 교회의 모임을 가질 수 있도록 헌신하는 형제자매님들이

많이 일어나기를 바랍니다.

 

물론 말씀을 잘 가르치는 은사를 가진 분들도 필요하고 여러 방면으로

봉사하여 섬기는 분들도 필요하고 각자의 형편과 은사대로 오직 주님의

한 몸을 세우는 것입니다.

 

교회로 모일 때는 신약의 모임을 계시한 성경말씀인 고전14장의 모임을

실현시켜야 할 것입니다.

 

형제들아 그러면 어찌하리요? 너희가 함께 모일 때에 각각 시도 있으며

가르침도 있으며 타언어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통역도 있나니 모든

것을 세워주기 위하여 할지니라......아멘

 

큰 건물을 지으려고 헌금을 출하여 미석으로 꾸미는 짓거리를 하는

자들은 자기의 왕국을 세우려는 야망이 불타는 사단의 사자들이 하는

짓거리입니다.

 

주보에 따라 틀에 매인 모임은 성령의 운행하심이 제한받고 혹은 성령과는

상관없는 인간의 주장과 인간을 통한 사단의 주장이 모임을 장악하는

것임을 우리는 깊이 인식해야 합니다.

 

사단도 가장 높은 북극집회의 산 위에 자신의 보좌를 정하려고 간교하게

지금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단의 위가 있는 교회로 전락된 상태는 오늘날의 기성교계의 율법적인 것을

말하고 있읍니다 아멘~

 

찬양 : 창문 1집(시편13

 

 
다음검색
댓글
  • 12.11.12 09:37

    첫댓글 내가 카토릭 신자이지만 십일조 헌금에 대해서는
    몰랐던 진실을 오늘에야 알게 되었구나.
    우리나라 종교계는 그야말로 혁신적인 개혁이 필요한 듯...

  • 12.11.13 17:54

    아~~~멘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