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발신]
12/11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화수분전략] 메인(main)과 서브(sub)
▶️ 자료: https://bit.ly/4aaeJAO
* [Main] 미국 노동 생산성(YoY)은 최근 3개 분기 연속 개선. 미국 노동 생산성은 Tech 산업 변화와 발전에 영향을 받음
* 97~00년과 17~20년 미국 Tech 산업 혁명이 당시 노동 생산성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 최근에도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Tech 산업의 변화가 노동 생산성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 하고 있음
* S&P500지수 내 Tech섹터 시총비중 현재 37.7%로 최근 고점 40.2% 보다 낮긴 하지만 상승 반전. 이익 비중도 최근 고점(33.5%) 대비 다소 하락한 30.9%이긴 하지만 최근 2개월 연속 상승
* S&P500기준 24년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가장 높은 업종은 반도체/소프트웨어/미디어. 24년 CAPEX 증가율 전망치가 가장 높은 업종은 소프트웨어/미디어/하드웨어. 미국의 노동생산성 개선을 주도하고 있는 Tech 섹터가 매출과 투자를 주도
* 국내 반도체/장비와 IT하드웨어의 이익 증감은 미국 Tech 섹터의 투자 증가율과 연관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익 개선 가시성 높은 업종. 국내 반도체/장비와 IT하드웨어 기업 중 24년 이익 증가 기대는 있지만, 주가가 상대적으로 덜 오른 기업 중심 비중 확대(도표 8, 9).
* [Sub] WTI 가격 하락. 단순 수요 부진 문제로 보기는 어려움. 주가를 떠나 중국과 인도 그리고 글로벌 제조업 체감경기지수를 보면, 전월 대비 모두 상승했기 때문
* 공급 측면을 보면, 23.8월을 저점으로 사우디 일별 원유 생산량 축소 멈춤. 다른 OPEC회원국들의 23년 일별 원유 생산량은 증가. 한편 미국 일별 원유 수출량은 연초 대비 32%나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 경신. 공급 증가가 국제 유가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
* 코스피 매출원가율은 23.1Q 84.5%를 정점으로 2개 분기 연속 하락, 3Q 기준 81.7%. 동 지표는 WTI 가격과 연관성이 높은 편. 23.4Q WTI 평균 가격은 3Q 대비 -2% 하락했다는 점을 감안 WTI 가격 하락(상승)에 매출원가율 하락(상승)이 뚜렷한 업종 중심 영업이익률 개선 가능성 높다고 판단
* WTI 가격 하락 시 매출원가율이 동반 하락하는 유틸리티, 조선, 운송, 필수소비재, 화학 업종 중 24년 영업이익률 개선 폭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관심(도표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