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1위 - 황영조, 박태환
올림픽의 하이라이트 마라톤에서 한일전 승리 황영조 ... 역사상 가장 거창했던 스포츠영웅대접 받음
그야말로 기적을 창조한 박태환 천재성에서는 역대 최고
2위 - 양정모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이라는 프리미엄
공동 3위 - 심권호, 유승민
사상최초 2체급 그랜드슬램... 레슬링의 지존포스
마이너 종목인 탁구지만 중국의 자존심을 쳐바른 유승민 가히 기적이라 부를만함
4위 - 장미란
압도적인 기량은 한국스포츠사상 역대 최고 (바르셀로나 올림픽의 미국 드림팀과 견줄만함)
공동 5위 - 전이경, 88,92 여자 핸드볼팀, 김수녕, 안현수 , 진선유
김수녕 - 한국 최초 올림픽 다관왕
전이경 - 한국 최초의 올림픽 연속 다관왕 금메달 4개 최다기록보유자
88,92 여자 핸드볼팀 - 구기종목 최초메달, 유일한 2연패
안현수,진선유- 한국 최초의 단일대회 3관왕
기타 - 펜싱 김영호, 태권도 문대성 등
단체 레전드 - 역대 여자 양궁단체 올림픽 5연패
김연아가 금 딴다면 심권호 유승민 살짝 밀어내고 3위 가능
사상 최초 피겨 올림픽금메달, 일본 꺾음, 우리나라 올림픽스타 역대 최고의 상품성
이제, 취업뽀개기(취뽀)를 티스토리와 트위터에서도 만나세요!

첫댓글 대체로 동의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유승민의 메달에 좀 더 점수를 주고 싶네요. 중국 홈에서 탁구의 지존인 중국을 꺾었다는 점에서.. 중국과 한국탁구의 레벨 차를 감안하면 기적 중의 기적이죠.
참고로 유승민은 중국홈이 아니라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었죠.
아.. 그렇군요.. 멍청이.. -_-;;
아 근데 거의 분위기가 중국홈이나 마찬가지였지
우리나라에서 마라톤금메달딸확률x10이 피겨나 수영금메달입니다.그거곱하기10이 100미터 단거리 육상이고요 김연아랑 박태환은 솔직히 다시는영원히 안나올 사람두명임...
안나올까요? 마라톤에서 금메달 따기가 더 힘들꺼 같군요. 피켜나 수영은 저변이 확대되고 있지만 마라톤은 생활체육으로 아저씨들의 주무대가 되어가고 있죠. 앞으로 피겨나 수영보단 마라톤에서 메달 구경 더 못할껍니다. 권투가 그렇게 사라졌듯이...
몸이 힘든거야 당연 마라톤이 젤힘들겟지만 그건 힘든거고.. 역대 한국 피겨나 수영수준을 아세요? 저변이고뭐고 국제대회가면 예선통과조차도 못하고 아시아물개라는 최윤희 이런선수도 고작 아시아 금메달이었습니다.이선수가 추앙받았습니다. 수영에서는.. 김연아나 박태환 자체가 한국에선 나올수도 나와서도 안될수준에 애들입니다...지금 두선수가 잘하니까 마치 우리나라가 강국인줄아는데 최하수준의 나라입니다..
(ㄱㅆ) 탁구라는 종목의 불리함에도 유승민의 명승부로 높은 순위에 올라간거고... 우리나라 마라톤 저변이 이제 거의 없죠... 마라톤은 이제 아프리카애들로 넘어갔다고 봄 ... 수영 남자 자유형에서 그 신체조건으로 금땄다는건 엄청난 천재성이고 높이 평가되어야함... 피겨는 아시아권이 꽉 잡고 있고 우리나라도 유망주 많이 나오고 있으니 앞으로도 가능성있음....
어디갔어,,, 베이징 야구랑 배드민턴... 야구는 한팀에 몇명인데 우승했는데 금메달이 달랑 하나야? 우승하면 기본적으로 9개는 인정해주고 시작해야지... 그리고 방수현도 있구만... 수산티 몰라? 방수현vs수산티 할때 전국민이 봤을텐데... ㅜ.ㅜ 나 대체 몇살이나 먹은거니...
위에 경북대생이네 야구 금메달 9개인정에서 설명의지 상실.. 방수현은 나도 고민많이했으나 아쉽게 ... 배드민턴이 마이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