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스웨덴 겨울용 타이어 시장동향(2013.6) | ||||
---|---|---|---|---|---|
게시일 | 2015-11-02 | 국가 | 스웨덴 | 작성자 | 오새봄(스톡홀름무역관) |
품목 | 고무로 만든 공기타이어(신품으로 한정한다) | ||||
품목코드 | 4011 | ||||
작성일자: 2013.6.27 작성자: 스톡홀름 무역관 조경진 (stockholm@kotra.nu)
1. 수요동향
□ 일반 현황
○ 북유럽 지역을 포함한 유럽 지역의 극심한 기후 변화는 지난 몇 년 전부터 점차 심화되고 있음. 특히, 겨울에는 강력한 눈보라와 많은 눈이 내리는 현상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겨울용 타이어의 수요도 그만큼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겨울용 타이어는 안전성 및 접근성의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함. - 접근성의 경우, 눈이 쌓여 있는 도로 등에 적합하지 않은 타이어를 장착한 승용차들은 신속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이는 교통체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상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운전자들로 하여금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을 의무로 규정하고자 하는 법안이 논의되었음. - 겨울용 타이어는 극심한 기후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해결책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타이어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됨.
○ 유럽 연합은 기후 변화에 대비하는 방책으로 자동차세, 수익자 부담금을 포함시켰으며, 타이어 웨트 그립, 구름 저항, 외부 전동 소음 등을 명시한 라벨을 타이어에 부착, 사용하도록 하였음.(EU집행위, 2011년 11월 1일 발효) - 상기 정책은 소비자들이 기후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적절한 타이어를 선택하는 데 크게 공헌함.
○ 겨울용 타이어는 최근 들어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눈이 오는 빈도가 잦은 지역 또는 국가의 경우 특히 그 수치가 높음. - 예를 들면, 러시아의 경우 20년 전만 하더라도 절반에 못 미치는 운전자들이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했으나, 오늘날에는 90%가 넘는 운전자들이 겨울용 타이어를 필수 품목으로 생각하고 있음.
○ 스터디드 타이어는 스터드리스 타이어에 비해 빙판길에서 더 안전함. - 그러나 북유럽 국가에서는 스터디드 타이어에 상응할 만큼 스터드리스 타이어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빙판길보다는 눈 쌓인 길이 더 보편적이라는 기후 조건으로 인해 더 요구됨. - 북유럽을 제외한 유럽 국가의 경우, 장기화된 경기침체로 인해 소비 수요가 줄어 타이어 시장 크기도 감소함.
○ 2013년 1분기 기준, 북유럽 국가 내 자동차 판매량은 작년에 비해 22% 감소하였으며, 여름 계절이 예년에 비해 늦어진 것으로 인해 타이어의 판매량도 감소하였음. 2분기에는 자동차 판매량과 타이어 판매량이 다시 증가하여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됨.(자료원: 스웨덴 자동차협회, 통계청)
○ 스웨덴 내 상용차 겨울용 타이어 장착 의무화 법규로 인해 유럽 전역에 그 중요성이 전파되었으며, 북유럽 국가 내 상용차 겨울용 타이어 수요는 2013년 초 17% 증가함.
2. 관련 법규
○ 스웨덴 도로·교통청에 따르면, 차량의 크기에 관계없이(중형 차량 혹은 경 차량)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은 법으로 규정되어 있음. - 스웨덴 내 등록된 차량 및 외국인 등록 차량은 겨울의 특수한 기후 조건으로 인해 12월 1일~3월 31일까지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도록 명시되어 있음. - 경찰은 눈, 얼음, 진창눈, 서리 등이 도로 상에 쌓인 경우 ‘겨울 특수 도로’(Winter Road Condition)라고 지정할 수 있음.
○ 겨울용 타이어는 특수한 기후에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으며, 반드시 M+S (M.S, M-S, M &S 혹은 Mud and Snow)로 명시되어야 함.
○ 겨울용 타이어로는 스터디드 타이어 혹은 스터드리스 타이어가 있으며, 스터디드 타이어는 10월 1일~4월 15일까지 장착하도록 규정되어 있음.
○ 중량 3.5톤 이내의 1, 2클래스 급의 승용차, 소형 트럭 및 버스와 트레일러의 경우 겨울용 타이어나 그와 유사한 장비가 요구됨.
○ 겨울용 타이어의 윤간 거리는 최소 3㎖ 이상이어야 하며, 차량이 스터디드 타이어를 장착한 경우, 트레일러도 스터디드 타이어를 장착해야 함.
○ 트럭, 버스, 이동식 주택에 관련된 2013년 신 규정: 2013년 1월 1일부터 겨울철에 대형 트럭 및 버스와 중량이 3.5톤 이상인 2 클래스 급(RV) 차량은 모든 구동 축에 겨울용 타이어나 그와 유사한 장비를 장착해야 함. - 전륜 구동 차량의 경우에도 모든 축(후차축 포함)에 장착해야 함. - 상기 언급한 유사한 장비라 함은 스노우 체인과 타이어 체인 그리고 일부 울퉁불퉁한 타이어(knobby tire)들을 지칭함. - 겨울용으로 제작된 일부 작업용 타이어(treaded tires) 중 M+S 마크가 표기되어 있는 것들과 일반 타이어라도 Mountaintops 혹은 Snowflake(3PMSF) 마크가 표기되어 있는 것들의 경우에는 겨울용 타이어로 간주함.
○ 겨울철, 중형 차량은 모든 구동축에 윤간 거리가 최소 5㎜ 이상인 타이어를 장착해야 함. 하지만 이와 연결된 트레일러는 해당되지 않음. - 예외사항: 도로 안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 다음의 경우에는 겨울용 타이어의 장착이 요구되지 않음. · 수리나 그와 비슷한 이유로 견인하거나 시운전하는 경우 · 가까운 차량검사소에서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 판매용 차량임이 표시된(Green plate) 차량이 항구나 기차역, 공장, 자동차 정비소 혹은 주차장이나 차고 같이 차량을 주차해두었던 곳으로부터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와 전시나 판매를 위해 주행하는 경우 · 림 지름이 10인치 이하로 등록되어있는 차량의 경우 · 대형 화물차가 공사나 그와 비슷한 일에 쓰일 경우 · Swedish Defence Materiel Administration(FMV)나National Defence Radio Establishment(FRA)와 같은 곳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쓰일 경우 · 30년 이상인 오래된 차량의 경우 - 상기 명시된 기간 이외에도 겨울철과 유사한 기후가 보일 경우, 스터디드 타이어의 사용이 허용됨.
○ 겨울철 트레일러가 연결된 자동차나 소형 트럭의 경우, 스터디드 타이어를 장착해야 함. - 이는 겨울용 타이어 장착이 요구되지 않는 예외 경우에도 적용됨.
○ 자동차나 소형 트럭이 스터디드 타이어를 장착한 경우, 이와 연결된 트레일러는 스터디드 타이어의 장착이 필수로 요구되지 않음. - 스터디드 타이어를 장착할 때는 차량의 모든 바퀴에 장착해야 함. - 중형 차량의 경우 스터디드 타이어를 동일한 축에 장착해야 함.
○ 겨울용 타이어의 정의: 겨울용 타이어에는 스터디드 타이어와 스터드리스 타이어가 있음. 겨울용 타이어는 - 겨울철 주행에 적합하게 특수 제작된 것이어야 하며, - M+S, M.S, M-S, M &S 혹은 Mud and Snow 표시가 명시되어 있어야 함. - 하지만 M, S 표시가 있더라도, 겨울용으로 특수 제작되지 않은, 비포장 도로용 울퉁불퉁한(knobby) 타이어가 있을 수 있음.
○ 겨울용 타이어인지의 여부는 The Scandinavian Tire and Rim Organization(STRO)와 Tire Industry Information Line에서 제작한 겨울용 타이어 목록에서 찾아보거나, 타이어 판매점에 문의함으로써 확인 가능함.
○ 여름용 타이어의 경우 날씨가 추워지면 트레드 콤파운드(Tread compound)로 인해 타이어가 딱딱해지므로, 기온이 0℃ 이하로 떨어지면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해야 함.
○ 최적의 뒷바퀴 타이어: 트레드 높이가 깊거나, 정지 마찰력이 커서 브레이크를 잡거나 코너를 돌 때 미끄러질 위험이 적은 타이어. 스터디드 돌출부(protrusion)가 큰 타이어가 뒷바퀴에 적합함. 이는 전륜 구동과 후륜 구동 차량 모두에 적용됨.
○ 타이어의 저장: 타이어는 서늘하고 건조한 그늘진 곳에서 보관해야 함.
○ 지역별 스터디드 타이어 제한: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특정 구역이나 도로에 한해 스터디드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을 금지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결정함. 이는 도로교통공단(Transport Agency)에 관계 없이, 지방 교통법규 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한 문의사항은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연락해 문의해야 함. - 상기 법규는 하기 링크를 통해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음. http://www.transportstyrelsen.se/Vag/Fordon/fordonsregler/Dack/Vinterdac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