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나무아미타불 원문보기 글쓴이: 평신도
| ||||||||||||||||||
스님, 거북한 뉴스가 언론 탓입니까 | ||||||||||||||||||
'시사in' 이어 '한겨레' '경향' 등 잇달아 조계종에 쓴소리 승려들은 적폐 양산, 종단은 조장‧방치…막는 것 한계 | ||||||||||||||||||
| ||||||||||||||||||
| ||||||||||||||||||
시사주간지 <시사in>이 지난달 23일자(401호) 커버스토리로 ‘불기2559년 자승자박’을 보도하면서 조계종 승려들의 도박, 돈선거, 동국대 사태 등을 비중 있게 다뤘다. 이어 <한겨레> <경향신문> 등 중앙일간지도 조계종에 부정적인 보도를 했다. (관련기사: “조계종 문제 생겨도 검찰이 다 막아줘”)
“동국대 갈등은 국가‧사회 문제” 김명환 교수는 <경향신문>에 게재한 칼럼에서 “전통의 사학 동국대가 학내 갈등으로 고통 받고 있다”며 최장훈 대학원총학생회장의 고공농성, 교수‧동문의 단식 등을 본보기로 들었다. 그러면서 “사립대학은 설립자의 소유도 아니요, 총장이나 이사장, 이사회의 재산도 아니다. 사학은 사회의 공유자산이며, 국민이 주인이다. 때문에 사학법인이 해산할 경우 잔여재산을 임의 처분할 수 없고 국고에 귀속하게 돼 있는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국공립이든 사립이든 대학은 공공성 덕분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있다. 교수 학생 직원뿐만 아니라 동문과 학부모, 지역사회도 발언권을 가져야 마땅하다. 국가와 사회가 최종 이해당사자이다”라고 했다. 이어 “대학의 ‘주인’은 이렇게 다양하고 많지만, 대학이 행하는 연구와 교육의 질과 성과에 대해 최종 책임을 진다는 의미에서 대학 운영의 ‘주역’은 교수”라고 했다. “징계 미루고 또 미루고…참으로 망신” 김 교수는 “사학은 공공성이 보장되는 투명한 운영을 해야 한다. 그러나 동국대 정관은 이사 정원 13명 중에 무려 9명을 ‘대한불교조계종 재적승려’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뜻있는 동국인들은 이 정관 탓에 이사회가 종단 입김에 좌우되고 종단 정치판에 휘말려 대학이 혼란에 빠질 염려가 높다고 비판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동국대 이사회가 한태식 총장(보광 스님)의 논문표절 징계안을 제289차 이사회(2월 23일)와 제290차 이사회(5월 2일) 두 차례 미뤘을 뿐만 아니라 중징계 건의된 당사자를 총장에 선임하고, 제291차 이사회(5월 26일)에서는 세 번째로 징계를 미뤘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이를 김 교수는 “참으로 학교 망신이다. 총무원장 자승 스님 등 조계종 지도부와 동국대 이사회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보광 스님 총장선임…자성‧쇄신 저버린 꼴” <한겨레>는 부처님오신날인 지난달 25일 ‘중생이 원하는 진짜 부처의 모습은’ 제하의 사설에서 “불교계가 서울 광화문에서 전례 없는 규모의 대법회(간화선 무차대회)를 열었다. 이 법회를 추진한 진제 스님의 원맨쇼 같은 행사에 수십만의 인력이 동원됐지만, 국민적 공감을 불러올 메시지도, 간화선의 장점도 전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2012년 승려 도박 파문 뒤 조계종이 펼쳐온 자성과 쇄신운동 취지에도 어긋나는 행사가 아닐 수 없다. 전통에만 얽매여 근대화·현대화하지 못한 종단을 개혁하려던 종단이 다시 구시대로 돌아간 느낌이다”라고 했다. <한겨레>는 조계종의 법인법과 ‘100인 대중공사’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종단 차원에서 세월호 유족과 노동자 등에 대한 관심을 높인 것도 달라진 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종립대학인 동국대 총장에 논문표절 의혹을 산 보광 스님을 앉히면서 자승 총무원장이 다시 자성과 쇄신을 저버렸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고 했다. <한겨레>는 “법상에 앉아 군림하는 부처보다 내 곁에 내려와 눈물을 닦아주는 부처가 그리운 시대다. 이런 동체대비심이 실천되어야 2559년(불기) 전이 아닌 바로 오늘이 ‘부처님 오신 날’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조계종은 수치 넘어 패륜집단” <한겨례>는 6일 토요판 ‘뉴스분석 왜?’에서 명진 스님을 인터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