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유인언(井有仁焉)
우물에 仁이 있다고 하면 어찌할 것이냐는 뜻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옳은가를 묻는 말이다. 仁을 人으로 해석하는 곳이 많다.
井 : 우물 정(二/2)
有 : 있을 유(月/2)
仁 : 어질 인(亻/2)
焉 : 어찌 언(灬/7)
출전 : 논어(論語) 옹야(雍也) 第6
宰我問曰:仁者雖告之曰:井有仁焉。其從之也?
재아(宰我)가 물었다. “어진사람(仁者)이 있는데 (누군가가) 알려 주며 말하기를 ‘우물에 仁이 있다’고 하면 그것을 따를까요?”
子曰:何為其然也?君子可逝也,不可陷也。可欺也,不可罔也。
공자가 말씀하기를, “어찌 그렇게 하겠는가? 군자를 가서 보게 할 수는 있지만 그를 속여 빠지게는 할 수 없으며, 속일지언정 우롱 하지는 못하니라.”라 했다.
[논어집주]
유빙군이 가로대 有仁의 ‘仁’은 마땅히 ‘人’으로 지어야 한다고 하니 이제 따르노라. 從은 우물에 따라가서 구원해줌이라. 재아가 道를 믿음이 돈독하지 못하여 仁을 행하다 해로룸에 빠질까봐 근심하였으므로 이런 물음이 있음이라.
서(逝)는 가게 하여 구함을 이르고, 함(陷)은 우물에 빠짐을 이르고, 기(欺)는 이치가 있는 바로써 속이는 것을 이르고, 망(罔)은 이치가 없는 바로써 우매하게 만드는 것을 이름이라.
대개 몸이 우물 위에 있어야 이에 우물 속의 사람을 구할 수 있으니, 만약에 우물로 따라 들어가면 다시는 능히 구하지 못하니라.
이러한 이치가 심히 밝아서 사람이 쉽게 깨닫는 바이니 仁者는 비록 사람을 구하는 데에 간절하더라도 그 몸을 사사로이 아니하니라. 그러나 이와같은 어리석음에는 응하지 아니하니라.
劉聘君曰,有仁之仁當作人,今從之。從,謂隨之於井而救之也。宰我信道不篤,而憂為仁之陷害,故有此問。逝,謂使之往救。陷,謂陷之於井。欺,謂誑之以理之所有。罔,謂昧之以理之所無。蓋身在井上,乃可以救井中之人;若從之於井,則不復能救之矣。此理甚明,人所易曉,仁者雖切於救人而不私其身,然不應如此之愚也。
⏹ 다음은 신정근 교수의 정유인언(井有仁焉)의 글이다.
공자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뢰를 들 수 있는 인(仁)을 최고의 덕목으로 간주했는데 제자 재아(宰我)가 공자에게 인자(仁者)에 대해 꽤 흥미로운 질문을 던졌다. “어떤 사람이 인자에게 ‘우물에 사람이 빠졌다(井有仁焉)’라고 말하면 어떻게 할까요?”
재아의 질문 요지는 이렇다. “인자가 사랑을 앞세우는 사람이므로 누가 어려움에 빠졌다고 하면 앞뒤를 돌아보지 않고 돕겠습니까?”
공자는 “인자가 우물로 달려갈 수는 있지만 앞뒤 따지지 않고 우물에 뛰어들지는 않으며 순간 그럴듯한 말에 속을 수는 있지만 멍청하게 당하지 않는다.”
공자의 이야기는 후배들에게 “사람의 말을 믿으려면 어떤 기준이 있어야 하는가?”라는 숙제를 남겨줬다.
순자(荀子)는 공자가 제기한 숙제를 풀고자 했다. 그는 믿을 수 있는 말의 기준으로 “주장은 근거를 가지고 있고 말은 논리를 갖춰야 한다”는 ‘지지유고(持之有故) 언지성리(言之成理)’를 제시했다.
아무런 근거를 제시하고 않고 아무리 화려한 주장을 펼치고 논리를 갖추지 않고 수많은 말을 해봤자 신뢰를 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순자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상대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말을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의심을 하게 된다.
하지만 말이 근거와 논리를 갖추고 있으면 아무리 의심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허점을 쉽게 찾을 수 없다. 즉 속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순자의 한계는 ‘우물에 사람이 빠졌다’라고 하면 처음부터 의심하고 가지 않을 수 없고 적어도 우물까지 달려갈 수밖에 없다는 공자의 대답과 닮았다.
우리는 근거를 가진 주장과 논리를 갖춘 말이 그럴듯하면 늘 속을 수밖에 없을까. 그렇지 않다. 말과 행동의 일치를 관찰하면 된다. 재아의 상황처럼 우물에 가보면 사람이 빠졌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반값등록금의 실현도 사실에 대한 체감이 중요하지 정책의 홍보가 중요하지 않다. 체감을 고려하지 않고 홍보를 앞세우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불신만을 키우게 된다.
불신을 그대로 두고 홍보를 강조하면 ‘양치기 소년’의 우화처럼 명백한 사실조차 믿지 않는 관계의 파국을 가져올 수 있다.
문제는 홍보의 부족이 아니라 홍보의 과잉이며 불신의 심화가 아니라 소통의 부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井(우물 정)은 ❶상형문자로 丼(정)은 본자(本字)이다. 우물의 난간을 나타낸다. 옛 글자의 가운데 점은 두레박을 말한다. ❷상형문자로 井자는 ‘우물’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井자는 우물을 그린 것이다. 우물은 지하수가 있는 곳을 찾아 땅을 파 내려가는 방식으로 만든다. 지하수를 찾고 나면 흙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돌을 쌓고 우물 난간을 만드는데, 井자는 우물의 난간을 그린 것이다. 井자는 갑골문에서부터 지금까지 크게 변하지 않은 글자이기도 하다. 소전에서는 井자에 두레박을 표기한 丼(우물 정)자가 쓰이기도 했었지만, 지금은 일본을 제외하고는 쓰이지 않는다. 그래서 井(정)은 (1)정성(井星) (2)정괘(井卦)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우물 ②우물 난간(欄干) ③정자꼴 ④저자, 마을 ⑤정전(井田) ⑥조리(條理), 법도(法度) ⑦왕후의 무덤 ⑧64괘의 하나 ⑨별의 이름 ⑩반듯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싸움터의 적당한 곳에 세워 사람이 올라가서 적진을 정찰하도록 만든 망루를 정루(井樓), 우물물을 정수(井水), 우물을 관장하는 신을 정신(井神), 짜임새와 조리가 있음을 정연(井然),우물의 밑바닥을 정저(井底), 질서와 조리가 정연한 모양을 정정(井井), 바둑판처럼 종횡으로 된 간살이나 건물의 중앙에 있는 간을 정간(井間), 염분이 녹아 있는 지하수를 퍼 올려서 채취한 소금을 정염(井鹽), 우물에 지내는 제사를 정제(井祭), 천연 석유를 채취하기 위해 땅 속으로 판 우물을 유정(油井), 인가가 모인 거리나 사람이 모여 사는 곳을 시정(市井), 더운물이 솟는 우물을 탕정(湯井), 팔을 펴면 오목해지는 어깨 위의 가장 높은 곳을 견정(肩井), 물맛이 좋은 우물을 감정(甘井), 지붕이 없는 우물을 노정(露井), 물이 맑지 아니한 우물을 탁정(濁井), 첫 새벽에 길은 깨끗한 우물물을 정화수(井華水), 물을 긷고 절구질하는 일이라는 뜻으로 살림살이의 수고로움을 정구지역(井臼之役), 우물 속에 앉아서 좁은 하늘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소견이나 견문이 좁음을 정중관천(井中觀天), 우물 속에서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정중구화(井中求火), 우물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세상 물정을 너무 모름을 정중지와(井中之蛙) 등에 쓰인다.
▶️ 有(있을 유)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달월(月; 초승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𠂇(우; 又의 변형)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有자는 ‘있다’, ‘존재하다’, ‘가지고 있다’, ‘소유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有자는 又(또 우)자와 月(육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여기에 쓰인 月자는 肉(고기 육)자가 변형된 것이다. 有자의 금문을 보면 마치 손으로 고기를 쥐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내가 고기(肉)를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有자는 값비싼 고기를 손에 쥔 모습으로 그려져 ‘소유하다’, ‘존재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이다. 그래서 有(유)는 (1)있는 것. 존재하는 것 (2)자기의 것으로 하는 것. 소유 (3)또의 뜻 (4)미(迷)로서의 존재. 십이 인연(十二因緣)의 하나 (5)존재(存在)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있다 ②존재하다 ③가지다, 소지하다 ④독차지하다 ⑤많다, 넉넉하다 ⑥친하게 지내다 ⑦알다 ⑧소유(所有) ⑨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⑩경역(境域: 경계 안의 지역) ⑪어조사 ⑫혹, 또 ⑬어떤 ⑭12인연(因緣)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재(在), 있을 존(存)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망할 망(亡), 폐할 폐(廢), 꺼질 멸(滅), 패할 패(敗), 죽을 사(死), 죽일 살(殺), 없을 무(無), 빌 공(空), 빌 허(虛)이다. 용례로는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음을 유명(有名), 효력이나 효과가 있음을 유효(有效), 이익이 있음이나 이로움을 유리(有利), 소용이 됨이나 이용할 데가 있음을 유용(有用), 해가 있음을 유해(有害), 이롭거나 이익이 있음을 유익(有益), 세력이 있음을 유력(有力), 죄가 있음을 유죄(有罪), 재능이 있음을 유능(有能), 느끼는 바가 있음을 유감(有感), 관계가 있음을 유관(有關), 있음과 없음을 유무(有無), 여럿 중에 특히 두드러짐을 유표(有表), 간직하고 있음을 보유(保有), 가지고 있음을 소유(所有), 본디부터 있음을 고유(固有), 공동으로 소유함을 공유(共有),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라는 유비무환(有備無患),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을 미증유(未曾有),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계란유골(鷄卵有骨), 웃음 속에 칼이 들어 있다는 소중유검(笑中有劍), 입은 있으나 말이 없다는 유구무언(有口無言) 등에 쓰인다.
▶️ 仁(어질 인)은 ❶형성문자로 忈(인)과 忎(인)은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二(이)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두 사람이 친하게 지냄을 뜻하는 데서 어질다의 뜻으로 쓰인다. 공자(孔子)가 특히 仁(인)을 도덕의 중심으로 삼은 후로는 자기에게는 엄하게 하지만 남에게는 어질게 하는 정신을 인(仁)이라고 설명한다. ❷회의문자로 仁자는 ‘어질다’나 ‘자애롭다’, ‘인자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仁자는 人(사람 인)자와 二(두 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仁자에 쓰인 二자는 ‘두 사람’이라는 뜻을 위해 쓰인 것이다. 仁자는 본래 두 사람이 친하게 지냄을 뜻했던 글자였다. 그러나 공자가 仁을 도덕의 중심으로 삼은 후부터는 인간의 근본적인 마음가짐을 대표하는 글자로 쓰이게 되었다. 그래서 仁(인)은 (1)공자가 주장한 유교의 도덕 이념, 또는 정치 이념 오상(五常)의 하나로 모든 덕의 기초로서 공자는 이것을 극기복례(克己復禮)라고 설명하고 일반적으로 사랑 또는 박애가 그 내용으로 됨. 천도(天道)가 발현하여 인이 되고, 이를 실천하면 만사 모두 조화, 발전된다는 사상임 (2)애정(愛情)을 타에 미침. 곧 어짐, 착함, 박애(博愛) (3)식물의 씨에서 껍질을 벗긴 배(胚), 배젖의 통틀어 일컬음 (4)세포(細胞)의 핵(核) 안에 있는 작은 구형(球形)의 구조. 핵 하나에 한 개 또는 몇 개 들어 있고 리보 핵산과 단백질을 함유하여 단백 합성을 하는 것으로 생각됨. 비교적 큰 입상체(粒狀體) (5)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어질다, 자애롭다, 인자하다 ②감각이 있다, 민감하다 ③사랑하다 ④불쌍히 여기다 ⑤어진 이, 현자(賢者) ⑥인, 어진 마음, 박애(博愛) ⑦자네 ⑧씨 ⑨과실(果實) 씨의 흰 알맹이, 속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사랑 자(慈), 어질 량/양(良), 어질 현(賢)이다. 용례로는 마음이 어진 사람을 인자(仁者), 어질고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인자(仁慈), 어진 임금을 인군(仁君), 타고난 성질이 어질고 착함을 인선(仁善), 인덕이 있고 수명이 긺을 인수(仁壽), 인덕의 감화를 인화(仁化), 어질고 후덕함을 인후(仁厚), 어진 덕을 인덕(仁德), 어질고 명철함을 인명(仁明), 인자스러운 마음을 인심(仁心), 어질고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인애(仁愛), 어질며 은혜가 있는 일을 인혜(仁惠), 어진 마음으로 사랑을 베풀어 구제함을 인휼(仁恤), 어진 것과 의로운 것을 인의(仁義), 어질고 덕망이 있는 성인을 인성(仁聖), 성질이 어질고 순함을 인순(仁順), 어질고 착하지 아니함을 불인(不仁), 너그럽고 어짊을 관인(寬仁), 어질다고 소문난 명성을 인문(仁聞), 친소의 차별없이 널리 평등하게 사랑하는 일을 동임(同仁), 복숭아씨의 알맹이를 도인(桃仁),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마음가짐 곧 어짊과 의로움과 예의와 지혜를 인의예지(仁義禮智), 어진 사람은 널리 사람을 사랑하므로 천하에 적대할 사람이 없음을 인자무적(仁者無敵), 인과 의와의 도를 인의지도(仁義之道), 의를 위하여 나서는 어진 사람의 용기를 인자지용(仁者之勇), 어진 사람은 도리에 따라 행하고 양심에 거리낌이 없으므로 근심을 하지 않는다는 인자불우(仁者不憂), 인자는 의리에 만족하며 생각이 깊고 행동이 신중함이 산과 같으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한다는 인자요산(仁者樂山) 등에 쓰인다.
▶️ 焉(어찌 언, 오랑캐 이)은 ❶상형문자로 본디 새의 이름으로 새 조(鳥; 새)部에 속해야 할 글자이다. 그러나 예로부터 내려온 관례에 의해 부수(部首)는 연화발(灬=火; 불꽃)部에 포함시키고 있다. 음(音)을 빌어 의문의 말이나 구말(句末)의 어조사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焉자는 ‘어찌’나 ‘어떻게’, ‘어디’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焉자는 正(바를 정)자와 鳥(새 조)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焉자의 금문을 보면 긴 꼬리를 가진 새와 正자가 함께 그려져 있었다. 焉자는 본래 새의 일종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그러나 지금은 음을 빌어 ‘어찌’라는 뜻으로만 쓰이고 있다. 그래서 焉(언, 이)은 ①어찌, 어떻게 ②어디, 어디에 ③보다, ~보다 더 ④이에, 그래서 ⑤이(지시 대명사) ⑥~느냐? ⑦~도다! ⑧그러하다, ~와 같다, 그리고 ⓐ오랑캐(이)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어찌 감히 또는 감히 하지 못함을 뜻함을 언감(焉敢), 글자가 서로 닮아 틀리기 쉬운 일을 언오(焉烏), 벌써나 어느새를 어언(於焉),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모자람을 결언(缺焉), 죽거나 없어져서 존재가 끝남을 이르는 말을 종언(終焉), 뜻하지 않은 사이에 갑자기를 홀언(忽焉), 글자가 서로 닮아 틀리기 쉬운 일을 오언(烏焉), 빨리 흩어지는 모양을 곽언(霍焉),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있으랴의 뜻을 이르는 말을 언감생심(焉敢生心),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을 이르는 말을 어언지간(於焉之間),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함 또는 그런 태도를 이르는 말을 오불관언(吾不關焉), 무슨 일이든 운수가 있어야 된다는 말을 유수존언(有數存焉), 글자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여 다른 자를 쓴다는 말을 오언성마(烏焉成馬)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