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 1.2조규모 인프라 투자법안 통과, 백신접종완료자에 한해 美 여행 제한 완화
* 테슬라(TSLA) 일론 머스크 지분 매각 설문 (351.9만명 참여 : 찬성 57.9% 반대 42.1%)
* 이번주 11/11, 재항군인의 날로 채권시장 휴장
[해외 증시 동향]
-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인프라 투자 법안 통과 소식에 상승 마감
- 美의회 인프라 투자 법안 통과, 1.2조달러 규모의 투자 법안이 통과되면서 5,500억달러 자금은 교통과 유틸리티, 광대역에 투자될 예정
- 미국 여행 제한 완화, 코로나19 백신 접종 외국인들에게 전면적 국경 개방
- 섹터별로는 소재 업종 강세인 반면 유틸리티 업종 약세, 종목별로는 테슬라(TSLA)는 CEO 머스크의 대규모 지분 매각 가능성에 -4.92% 하락, AMD(AMD)는 새로운 칩 제품 공개와 메타(구 페이스북)와의 데이터 센터 관련 공급 계약 소식에 +10.14% 상승
- WTI 상승, 美 인프라 투자 법안 통과와 사우디의 아시아 원유 판매가격 인상 소식에 0.66달러(0.81%) 상승한 배럴당 81.93달러 기록
_
* 주요 지수
다우존스: 36432.22 (0.29%)
S&P500: 4701.7 (0.09%)
나스닥: 15982.36 (0.07%)
유로Stoxx: 4352.53 (-0.24%)
FTSE100: 7300.4 (-0.05%)
CAC40: 7047.48 (0.10%)
DAX30: 16046.52 (-0.05%)
닛케이225: 29507.05 (-0.35%)
상해종합: 3498.631 (0.20%)
항셍: 24763.77 (-0.43%)
VIX: 17.22 (4.49%)
_
S&P 500 은행 인덱스: 446.74 (0.71%)
유로Stoxx 은행 인덱스: 104.51 (-0.19%)
닛케이 은행 인덱스: 146.38 (0.12%)
LIBOR-OIS 스프레드: 0.0645 (-3.59%)
_
* 주요 지표 (서베이, 발표치 or 발표시간, 이전치)
전거래일 ( 8일 )
일본 9월 선행지수CI ( 99.8, 99.7, 101.3 )
유로 11월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 15.0, 18.3, 16.9 )
금일 ( 9일 )
독일 11월 ZEW 서베이 예상 ( 20.0, 19:00, 22.3 )
독일 11월 ZEW 서베이 현재상황 ( 18.3, 19:00, 21.6 )
미국 10월 PPI 최종 수요 MoM ( 0.6%, 22:30, 0.5% )
_
* 환율
파운드달러: 1.36 (0.50%)
아시아통화 인덱스: 108.06 (0.13%)
달러인덱스: 94.06 (-0.28%)
원달러: 1184.3 (-0.08%)
원엔: 10.44 (-0.16%)
원위안: 184.83 (0.17%)
엔달러: 113.22 (0.17%)
달러유로: 1.16 (0.18%)
위안달러: 6.39 (0.10%)
_
* 상품
WTI: 82.29 (1.26%)
현물 금: 1824.9 (0.36%)
LME 3개월 구리: 9518 (0.84%)
BDI: 2715 (-1.95%)
_
* 채권
미국10y: 1.49 (3.839bp)
미국2y: 0.443 (4.181bp)
독일10y: -0.25 (3.79bp)
그리스10y: 1.06 (1.34bp)
스페인10y: 0.43 (3.20bp)
이탈리아10y: 0.89 (1.74bp)
포르투갈10y: 0.34 (3.26bp)
SHIBOR 1w: 2.12 (-0.008)
중국 CDS 5y: 53.33 (4.355)
한국 CDS 5y: 19.14 (0.072)
브라질 CDS 5y: 237.35 (-1.174)
_
* S&P500 섹터별
커뮤니케이션: (-0.16%)
IT: (0.58%)
자유소비재: (-1.38%)
필수소비재: (-0.94%)
에너지: (0.85%)
헬스케어: (0.53%)
산업재: (0.39%)
소재: (1.23%)
유틸리티: (-1.45%)
금융: (0.52%)
부동산: (-0.02%)
_
* S&P500 Winners & Losers
UP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10.14%)
Viatris Inc (6.92%)
프리포트 맥모란 (6.45%)
CF 인더스트리스 홀딩스 (5.64%)
불칸 머티리얼스 (4.95%)
DOWN
라이브 네이션 엔터테인먼트 (-5.38%)
테슬라 (-4.84%)
펜 내셔널 게이밍 (-4.49%)
AES (-4.32%)
킴코 리얼티 (-4.19%)
$$$ S&P 500 섹터별 주요종목 등락
[주요종목]: 페이스북 (-0.74%), 아마존 (-0.85%), 애플 (-0.56%), 넷플릭스 (0.89%), 구글 (0.07%), 엔비디아 (3.54%), AMD (10.14%), 마이크론 (2.25%), 테슬라 (-4.84%)
[IT]: 인텔 (1.24%), 시스코 (-0.12%), 어도비 (0.50%), 페이팔 (1.61%), 오라클 (0.20%), 세일즈포스 (0.88%), 브로드컴 (0.01%), IBM (0.75%), 텍사스인스트루먼트 (-0.54%), 퀄컴 (1.73%),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0.22%), 램리서치 (-0.28%), 마이크로칩 (-1.85%)
[커뮤니케이션]: 버라이존 (0.17%), 디즈니 (0.71%), AT&T (-0.88%), 컴캐스트 (-0.76%), 액티비전 블리자드 (-1.49%), EA (-1.01%), 트위터 (1.75%)
[자유소비재]: 홈디포 (0.05%), 나이키 (-3.19%), 스타벅스 (-1.50%), 로우스 (-0.32%), 부킹홀딩스 (0.80%), 타겟 (-0.37%), 샌즈 (-2.51%), GM (1.85%), 이베이 (-2.40%), 메리어트 (0.47%), 베스트바이 (0.79%), 포드 (4.46%), 익스피디아 (3.44%)
[필수소비재]: 월마트 (-0.64%), P&G (-0.75%), 코카콜라 (-0.90%), 코스트코 (-1.81%), 필립모리스 (-1.50%), 에스티로더 (-0.03%), 크래프트 하인즈 (-1.69%), 월그린스 (-0.60%)
[에너지]: 엑슨모빌 (1.08%), 쉐브론 (0.36%), EOG 리소시스 (1.97%), 파이어니어 (0.62%)
[금융]: JP 모건 체이스 (0.60%), BofA (0.79%), 웰스파고 (0.85%), 씨티그룹 (2.18%), 골드만삭스 (0.31%), 모건 스탠리 (0.20%)
[헬스케어]: 존슨앤드존슨 (-0.34%), 유나이티드헬스 (1.49%), 화이자 (-0.58%), 머크 (1.31%), 애브비 (-0.96%), 일라이 릴리 (-1.69%), 길리어드 (-0.53%), CVS 헬스 (-0.02%), 암젠 (-1.12%), 바이오젠 (-2.15%)
[산업재]: 유니온 퍼시픽 (0.26%), 록히드 마틴 (0.56%), UPS (0.52%), 보잉 (-0.79%), 캐터필러 (4.07%)
[리츠]: 아메리칸 타워 (0.33%), 이퀴닉스 (0.64%), 프로로지스 (0.94%), 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 (1.45%), 에쿼티 레지덴셜 (0.33%)
# 주요종목신고가신저가
기간별 거래소 신고가 종목
-60일 : 기아, 두산중공업, KT&G, SK아이테크놀로지, KT, 호텔신라, 메리츠증권
-52주 : 한전기술, 한샘, 오뚜기, 대한유화, 롯데하이마트
-역사적 : 디티알오토모티브
기간별 거래소 신저가 종목
-60일 : POSCO, 현대제철, 현대중공업지주
-52주 : 롯데케미칼, 현대홈쇼핑, 애경산업, 서흥
-역사적 : 없음
기간별 코스닥 신고가 종목
-60일 : 녹십자랩셀
-52주 : 갤럭시아머니트리
-역사적 : 아프리카TV, 나노신소재
기간별 코스닥 신저가 종목
-60일 : 현대바이오, 카페24, 아주IB투자, 사람인에이치알, 안트로젠, 티케이케미칼, 인터파크, 동원개발
-52주 : 코미팜, 젬백스, 동국제약, 톱텍, 다나와, 휴온스
-역사적 : 없음# 국제뉴스
- "페이팔 결제보다 간편"…몸값 112조 '스트라이프' 키운 천재형제 : https://m.mk.co.kr/news/stock/view/2021/11/1058263/
- "루이비통에 밀리네"…'까르띠에' 투자자들 칼 빼들었다 :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083363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