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박명지(淡泊明志)
마음이 맑고 깨끗하지 않으면 뜻을 밝게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명리를 좇지 않고 뜻을(심지를) 분명히 하다는 말이다.
淡 : 묽을 담(氵/8)
泊 : 배댈 박(氵/5)
明 : 밝을 명(日/4)
志 : 뜻 지(心/3)
출전 : 제갈량(諸葛亮)의 계자서(誡子書)
삼국지(三國志)의 제갈량이 54세에 여덟 살배기 아들에 남긴 계자서(誡子書)는 중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이기도 하며, 일찍이 우리나라 학자들도 이 말을 학문하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마치 전통처럼 내려왔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자서(誡子書) 제갈량(諸葛亮)
夫君子之行, 靜以修身, 儉以養德.
군자의 행동은 마음을 고요히 하여 몸을 닦고 알뜰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면서 그 덕을 쌓아야 한다.
非澹泊無以明志, 非寧靜無以致遠.
마음이 넉넉하고 담백하지 않으면 뜻이 밝을 수가 없고, 고요하지 않으면 큰일을 도모할 수 없다.
夫學須靜也, 才須學也.
무릇 배움은 요란하지 않고 반드시 평온한 마음으로 임해야 하며, 재능은 모름지기 배움에서만 길러진다.
非學無以廣才, 非志無以成學.
배우지 않는다면 재능을 넓힐 수가 없고, 뜻이 없다면 학문을 이룰 수가 없다.
慆慢則不能勵精, 險躁則不能冶性.
거만하거나 나태하면 정밀하고 미묘한 이치에 접근할 수 없고, 조급하거나 버둥대면 성품을 잘 다스릴 수가 없다.
年與時馳, 意與日去. 遂成枯落, 多不接世, 悲守窮廬, 將復何及.
세월은 말 달리듯 하고, 의지는 차츰 미약해진다. 설사 뜻을 이루었다 하더라도 차츰 쇠락하는 것이거늘, 막다른 곳에 가서야 한탄하고 궁색함을 안다고 한들, 이미 흘러간 세월을 돌이킬 수가 있겠는가.
제갈량은 유명한 이 글을 남겨 동양 정신문화 순화와 학문고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곧 ‘마음을 비워야만 세상 이치를 깨칠 수가 있고, 심성이 맑고 편안해야 멀리 바라볼 수 있는 것’이 아닌가.
담박명지(淡泊明志)
마음이 맑고 깨끗해야 뜻을 밝게 펼칠 수 있다.
제갈량(諸葛亮)은 삼국지(三國志)에서 촉(蜀)의 유비(劉備)를 도와 맹활약을 펼친 군사전략가다. 그의 자를 딴 사공명 주생중달(死孔明 走生仲達)은 죽은 뒤 인형으로 적장 사마중달(司馬仲達)을 쫓았다는 전설적 지략을 말한다. 뿐만 아니라 명재상으로 충절로도 이름을 남긴 제갈량은 중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제갈량이 남긴 출사표(出師表)는 우국충정이 절절한 명문으로 읽히는데 그에 못지않게 알려진 아들을 위한 글도 남겼다. 그가 죽음을 앞두고 남긴 86자의 편지 ‘계자서(誡子書)’다. 8세가 된 늦둥이 아들 제갈첨(諸葛瞻)에게 보낸 배움과 수신에 관한 당부이고 처세의 잠언이다.
마음이 맑고 깨끗해야(淡泊) 뜻을 밝게 펼칠 수 있다(明志)는 이 성어는 글 중에서도 잘 알려져 서예를 하는 사람들이 즐겨 쓰는 구절이다. 첫 부분부터 군자의 마음가짐은 어떠해야 한다며 이어지는 글에 등장한다.
夫君子之行, 靜以修身, 儉以養德.
군자의 행동은 마음을 고요히 하여, 몸을 닦고 검소하게 생활하면서 덕을 쌓아야 한다.
非澹泊無以明志, 非寧靜無以致遠.
마음이 넉넉하고 깨끗하지 않으면 뜻이 밝을 수가 없고, 마음을 한 곳에 모아 평온하지 않으면 큰일을 도모할 수 없다.
원문의 담백(澹白)은 담백(淡白)과 같고, 뒤의 영정치원(寧靜致遠)과 함께 많이 쓰인다.
이 문장 다음의 이어지는 글도 학문의 자세를 일러주니 함께 보자.
夫學須靜也, 才須學也.
무릇 배움이란 반드시 평온한 마음으로 임해야 하며, 재능은 모름지기 배움에서만 길러진다.
非學無以廣才, 非志無以成學.
배우지 않는다면 재능을 넓힐 수가 없고, 뜻이 없다면 학문을 이룰 수가 없다.
이런 교육을 받은 아들 제갈첨은 곧게 자라 후주 유선(劉禪)의 부마(駙馬)가 되고 환관의 발호를 막는 등 정권을 바로잡으려 애썼다.
위(魏)나라의 총공세에 항복하면 낭야왕(琅耶王)에 봉하겠다는 제의도 뿌리치고 전사했다. 항복하여 즐거움에 나라를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는 낙불사촉(樂不思蜀)의 후주와 대조적이었다.
제갈량이 빈한한 가정에서 자랐어도 초야에 묻힌 지혜의 와룡(臥龍)으로 소문이 자자했다. 인재를 찾던 유비가 삼고초려(三顧草廬)한 이야기는 잘 알려졌는데 그 때 젊은 공명이 읽었다는 시 구절은 세속에 물들지 않은 꼿꼿한 자세를 보여줬다.
鳳翱翔於千仞兮, 非梧不棲,
봉황은 하늘 천 길을 날아도 오동나무 아니면 깃들이지 않고,
士伏處於一方兮, 非主不依.
선비는 외로운 땅 쓸쓸히 있어도 참되고 어진 주인이 아니면 따르지 않네.
곧은 자세로 높은 지위에 있었어도 주위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았던 그는 공직자의 표상이기도 했다.
▶️ 淡(맑을 담, 질펀히 흐를 염)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적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炎(담)으로 이루어지며, 맛이 적은 국물의 뜻이 전(轉)하여 담담하다의 뜻이 되었다. 그래서 淡(담, 염)은 빛의 엷은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로 ①맑다 ②빛깔이 엷다 ③맛이 싱겁다 ④담백하다 ⑤묽다 ⑥거친 음식 ⑦맛없는 음식 그리고 질펀히 흐를 염의 경우는 ⓐ질펀히 흐르다(염) ⓑ어렴풋하다(염) ⓒ물이 감도는 모양(염) ⓓ그림자가 희미한 모양(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맑을 열(洌), 맑을 숙(淑), 맑을 청(淸), 맑을 호(淏), 맑을 재(渽), 맑을 린(潾), 맑을 징(澄), 맑을 철(澈), 맑을 담(澹), 맑을 찬(澯), 맑을 류(瀏), 깨끗할 정(瀞), 물 맑을 식(湜), 물 맑을 영(渶), 물 맑을 형(瀅),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짙을 농(濃), 짤 함(鹹)이다. 용례로는 짠맛이 없는 맑은 물을 담수(淡水),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을 담담(淡淡),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을 담박(淡泊), 진하지 아니한 맛을 담미(淡味), 담담하고 소박함을 담소(淡素), 진하지 아니한 먹물 또는 먹빛을 담묵(淡墨), 짠 음식을 많이 먹지 아니함을 담식(淡食), 욕심이 없고 깨끗함을 담연(淡然), 엷게 낀 연기를 담연(淡煙), 엷고 맑게 낀 구름을 담운(淡雲), 엷게 채색한 그림을 담화(淡畫), 연한 빛깔로 진하지 아니한 빛을 담색(淡色), 대단하지 아니한 걱정을 담수(淡愁), 은은하게 향긋한 향기를 담향(淡香), 담백하고 우아함을 담아(淡雅), 소금을 약간 뿌려서 조금 절임 또는 그런 간을 담염(淡鹽), 아담한 자태를 담자(淡姿), 요란하지 아니한 담박한 화장을 담장(淡粧), 담박한 교제를 담교(淡交), 태도나 마음이 쌀쌀함을 냉담(冷淡), 짙음과 옅음 또는 그 정도를 농담(濃淡), 조촐하고 산뜻함을 아담(雅淡), 청렴 결백하여 욕심이 없음을 고담(枯淡), 욕심이 없고 담백함을 염담(恬淡), 마음이 깨끗하고 담박함을 청담(淸淡), 맑은 물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담박하고 변함없는 우정을 담수지교(淡水之交), 엷은 화장과 짙은 화장이라는 뜻으로 갠 날과 비 오는 날에 따라 변화하는 경치를 이르는 말을 담장농말(淡粧濃抹), 느긋하고 침착하여 서두르지 않음을 우유염담(優遊恬淡), 바다 물은 짜고 민물은 맛이 담백함을 해함하담(海鹹河淡), 욕심이 없이 마음이 깨끗하고 담담함을 무욕염담(無慾恬淡) 등에 쓰인다.
▶️ 泊(머무를 박/배 댈 박, 잔 물결 백)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두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白(백, 박)으로 이루어지며 물 위에 배를 머물게 한다는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泊자는 '머무르다'나 '(배를) 대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泊자는 水(물 수)자와 白(흰 백)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白자는 촛불을 그린 것으로 '희다'나 '깨끗하다'는 뜻이 있다. 泊자는 본래 '(배를) 대다'나 '정박하다'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배를 정박하기 위해서는 수심이 얕은 물가까지 배를 대야 했다. 그래서 泊자에 쓰인 白자는 수심이 얕아 물밑이 비쳐 보일 정도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의 泊자는 배를 정박하는 것 외에도 어느 한 지점에 잠시 머무른다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그래서 泊(박, 백)은 ①머무르다 ②묵다 ③배를 대다 ④담백하다 ⑤뒤섞이다 ⑥얇다 ⑦조용하다 ⑧물의 모양 ⑨머무는 곳 ⑩여관(旅館), 여인숙(旅人宿) ⑪호수(湖水) 그리고 잔 물결 백의 경우는 ⓐ잔 물결(백) ⓑ빽빽한 모양(백)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머무를 정(停), 머무를 두(逗), 머무를 유(留), 머무를 주(駐)이다. 용례로는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는 곳을 박지(泊地), 여관이나 주막에 들어 밤을 자고 머무름을 숙박(宿泊), 쉬려고 머무름을 게박(憩泊), 보통 살림집에 숙박함을 민박(民泊),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을 담박(淡泊), 여행 도중에 머무름을 여박(旅泊), 열을 지어 머무름을 열박(列泊), 일정한 숙소 이외의 딴 데서 잠을 외박(外泊), 호수 가운데 물 밖으로 드러나 있는 땅을 호박(湖泊), 이틀 밤 숙박하는 일을 이박(二泊), 휴식하며 숙박함을 휴박(休泊),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름을 정박(碇泊), 풍랑을 만난 배가 정처 없이 물 위에 떠도는 것을 표박(漂泊), 선박 따위를 어떤 곳에서 대어 쉬고 묵음을 헐박(歇泊), 배가 어떤 곳에 와서 정박함을 내박(來泊), 배로 와 닿음을 도박(到泊), 배를 처음으로 댐을 초박(初泊), 배가 돌아오거나 돌아가서 머무름을 귀박(歸泊), 배가 온전하게 정박함을 온박(穩泊), 밤중에 정박함을 야박(夜泊), 타는 배를 매어 둠을 계박(繫泊),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름을 묘박(錨泊), 일정한 직업을 가지지 아니하고 정처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일을 일컫는 말을 유리표박(流離漂泊), 여기저기로 돌아다니거나 옮겨 다니면서 삶을 일컫는 말을 전전표박(轉轉漂泊) 등에 쓰인다.
▶️ 明(밝을 명)은 ❶회의문자로 날 일(日; 해)部와 月(월; 달)의 합해져서 밝다는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明자는 '밝다'나 '나타나다', '명료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明자는 日(날 일)자와 月(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낮을 밝히는 태양(日)과 밤을 밝히는 달(月)을 함께 그린 것이니 글자생성의 의도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밝은 빛이 있는 곳에서는 사물의 실체가 잘 드러나게 될 것이다. 그래서 明자는 '밝다'라는 뜻 외에도 '명료하게 드러나다'나 '하얗다', '똑똑하다'와 같은 뜻까지 파생되어 있다. 그래서 明(명)은 (1)번뇌(煩惱)의 어둠을 없앤다는 뜻에서 지혜 (2)진언(眞言)의 딴 이름 (3)사물의 이치를 판별하는 지력(智力)으로 이치가 분명하여 의심할 것이 없는 것 (4)성(姓)의 하나 (5)중국 원(元)나라에 뒤이어 세워진 왕조(王朝)로 태조(太祖)는 주원장(朱元璋) 등의 뜻으로 ①밝다 ②밝히다 ③날새다 ④나타나다, 명료하게 드러나다 ⑤똑똑하다 ⑥깨끗하다, 결백하다 ⑦희다, 하얗다 ⑧질서가 서다 ⑨갖추어지다 ⑩높이다, 숭상하다, 존중하다 ⑪맹세하다 ⑫밝게, 환하게, 확실하게 ⑬이승, 현세(現世) ⑭나라의 이름 ⑮왕조(王朝)의 이름 ⑯낮, 주간(晝間) ⑰빛, 광채(光彩) ⑱밝은 곳, 양지(陽地) ⑲밝고 환한 모양 ⑳성(盛)한 모양 ㉑밝음 ㉒새벽 ㉓해, 달, 별 ㉔신령(神靈) ㉕시력(視力) ㉖밖, 겉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밝을 금(昑), 밝을 돈(旽), 밝을 방(昉), 밝을 오(旿), 밝을 소(昭), 밝을 앙(昻), 밝을 성(晟), 밝을 준(晙), 밝을 호(晧), 밝을 석(晳), 밝을 탁(晫), 밝을 장(暲), 밝을 료(瞭), 밝힐 천(闡),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꺼질 멸(滅), 어두울 혼(昏), 어두울 암(暗)이다. 용례로는 명백하고 확실함을 명확(明確), 밝고 맑고 낙천적인 성미 또는 모습을 명랑(明朗), 분명히 드러내 보이거나 가리킴을 명시(明示), 분명하고 자세한 내용을 명세(明細), 밝고 말끔함을 명쾌(明快), 밝음과 어두움을 명암(明暗), 명백하게 되어 있는 문구 또는 조문을 명문(明文), 밝은 달을 명월(明月), 분명하고 똑똑함을 명석(明晳), 세태나 사리에 밝음을 명철(明哲), 똑똑히 밝히어 적음을 명기(明記), 일정한 내용을 상대편이 잘 알 수 있도록 풀어 밝힘 또는 그 말을 설명(說明), 자세히 캐고 따져 사실을 밝힘을 규명(糾明), 사실이나 의사를 분명하게 드러내서 밝힘을 천명(闡明), 날씨가 맑고 밝음을 청명(淸明), 흐리지 않고 속까지 환히 트여 밝음을 투명(透明), 틀림없이 또는 확실하게를 분명(分明), 마음이 어질고 영리하여 사리에 밝음을 현명(賢明), 어떤 잘못에 대하여 구실을 그 까닭을 밝힘을 변명(辨明), 의심나는 곳을 잘 설명하여 분명히 함을 해명(解明), 의심할 것 없이 아주 뚜렷하고 환함을 명백(明白), 어떤 사실이나 문제에서 취하는 입장과 태도 등을 여러 사람에게 밝혀서 말함을 성명(聲明),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하다는 말을 명약관화(明若觀火),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이라는 뜻으로 사념이 전혀 없는 깨끗한 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명경지수(明鏡止水), 새를 잡는 데 구슬을 쓴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을 명주탄작(明珠彈雀), 아주 명백함이나 아주 똑똑하게 나타나 의문의 여지가 없다는 말을 명명백백(明明白白), 맑은 눈동자와 흰 이라는 말을 명모호치(明眸皓齒) 등에 쓰인다.
▶️ 志(뜻 지, 기치 치)는 ❶형성문자로 恉(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마음심(心=忄; 마음, 심장)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땅에서 초목(草木)이 싹터 자라는 모양을 나타내는 之(지), 止(지)와 결부되어 간다는 뜻을 나타낸다. 마음이 가다, 뜻하다의 뜻이다. 또 음(音)이 비슷한 識(식)과 결부되어 표하다, 표의 뜻으로도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志자는 '뜻'이나 '마음', '감정'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志자는 士(선비 사)자와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금문에 나온 志자를 보면 본래는 之(갈 지)자와 心자가 결합한 것이었다. 이것은 '가고자(之)하는 마음(心)'이라는 뜻이다. 그러니 志자는 자기 뜻을 실천한다는 의지를 표현한 글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서에서는 之자가 士자로 잘못 옮겨지면서 본래의 의미를 유추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志(지, 치)는 기전체(紀傳體)의 역사에서 본기(本紀), 열전(列傳) 외에 천문(天文), 지리(地理), 예악(禮樂), 정형(政刑) 등을 기술한 것, 기록(記錄)의 뜻으로 ①뜻 ②마음 ③본심(本心) ④사사로운 생각 ④⑤감정(感情) ⑥기록(記錄) ⑦표지(標識: 표시나 특징으로 다른 것과 구분함), 표기(標旗: 목표로 세운 기) ⑧문체(文體)의 이름 ⑨살촉 ⑩뜻하다, 뜻을 두다 ⑪알다 ⑫기억하다 ⑬의로움을 지키다, 절개가 있다 ⑭적다, 기록하다, 그리고 ⓐ기치(旗幟: 군대에서 사용하던 기)(=幟)(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뜻 정(情), 뜻 의(意), 뜻 취(趣)이다. 용례로는 곧은 뜻과 절조를 지조(志操), 뜻이 있어 지망함을 지원(志願), 뜻이 쏠리는 방향을 지향(志向), 절의가 있는 선비를 지사(志士), 뜻이 있어 소망함을 지망(志望), 고상한 마음과 뜻을 지상(志尙), 고상한 뜻과 품격을 지격(志格),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의 상태나 작용을 의지(意志), 뜻과 주장과 목적이 서로 같음 또는 그런 사람을 동지(同志), 뜻을 세움을 입지(立志), 역사의 사실을 기록한 책을 승지(乘志), 죽은 사람이 생전에 이루지 못하고 남긴 뜻을 유지(遺志), 싸우고자 하는 의지를 투지(鬪志), 본래부터 품은 뜻을 소지(素志), 높은 뜻이나 고상한 뜻 또는 남의 뜻을 높여 일컫는 말을 고지(高志), 큰 뜻이나 원대한 희망을 대지(大志), 찬성하는 뜻을 긍지(肯志), 굽히지 않는 굳센 의지를 강지(剛志), 뜻이 돈독함 또는 인정이 두터운 마음씨를 독지(篤志), 어린 마음과 뜻 또는 속으로 품은 자그마한 뜻을 박지(薄志), 바라던 것이 뜻대로 됨 또는 뜻을 이룸을 득지(得志), 마을이나 지역에서 명망 있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 또는 어떤 일에 뜻이 있거나 관심이 있음을 유지(有志), 뜻을 정하여 굳게 마음을 먹음을 결지(決志), 뜻이 천리에 있다는 뜻으로 뜻이 웅대함을 이르는 말을 지재천리(志在千里), 바라는 바를 남김 없이 만족시켜서는 아니 됨을 이르는 말을 지불가만(志不可滿), 두 사람 사이의 의지와 기개가 서로 잘 맞음을 이루는 말을 지기상합(志氣相合), 학문에 뜻을 둘 나이라는 뜻으로 열 다섯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을 지학지세(志學之歲), 처음에 세운 뜻을 이루려고 끝까지 밀고 나감을 이르는 말을 초지일관(初志一貫), 높은 베개를 베고 마음대로 한다는 뜻으로 하는 일 없이 편안하고 한가하게 지냄을 이르는 말을 고침사지(高枕肆志), 청운의 뜻이라는 말로 남보다 훌륭하게 출세할 뜻을 갖고 있는 마음을 이르는 말을 청운지지(靑雲之志), 기산의 지조란 뜻으로 은퇴하여 자기 지조를 굳게 지킨다는 말을 기산지지(箕山之志), 마음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에 드러내지 않고 힘쓴다는 말을 명명지지(冥冥之志), 큰 기러기와 고니의 뜻이라는 뜻으로 영웅 호걸의 뜻이나 원대한 포부를 비유해 이르는 말을 홍곡지지(鴻鵠之志), 뜻이 있어 마침내 이루다라는 뜻으로 이루고자 하는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유지경성(有志竟成)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