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민(民)자는 입구(口)자와 성씨씨(氏)자를 합친 글자로써 아이(口=입구자는 아이가 태어날때 응아하고 입으로 운다는것)가 태어나면 새로운 성씨(氏)가 자꾸 성겨나서 많은백성이 만들어진다는 뜻을 가지고있다
그러니까 백성민자는 아이가 태어난다는 입구(口)자와 새로운 성씨(氏)가 자꾸만 생겨난다는 것을 합쳐서 백성민(民)자가 되어진것이다
쓰임새 1.민간질고(民間疾苦)=정치를 잘못하여 백성들이 받는 고로움
2.민족(民族)=온세계사람을 그 생활양식 문화 언어 풍속 혈연 지연 종교 등의 특색에 따라 분류한 인간의 집합체
3.민주정치(民主主義)=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의 의사에 의하여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는 주의
4.민가사유지(民可使由之)=백성은 우매하기때문에 위에서 무슨일이든 하라고 시킬 따름이지 그 시키게된 이유를 설명할 필요는없다 논어에있는말이다 출전:論語泰伯篇에
子曰{民은可使由之요 不可使知之니라}
공자가 말씀하시되 백성들은 옳은길로 걸어가도록 시켜서 따르게 할뿐이지 그 시키는 이유릏 설명할필요는 없느니라
5.민생어삼(民生於三)=민은 군(君-먹여주고)부(父-낳아주고)사(師-가르쳐주고)에 의하여 생존한다는 뜻-----그래서 군사부인체(君師父一體)라는 말이 생겨났음
----------그래서 여기를 보면 또 다른 해석이 나오는 백성민(民=目+矢)자를 보게되는것이다---------------민은 맹야(民 盲也)라 그래서 백성민(民=目+矢-눈을 화살로 쏘아서 청맹관이를 만들어버리다)자는 눈목(目)자에다가 화살시(矢)자를 꽂은것 즉 백성들은 화살로 그 눈을 쏘아서 아무것도 보지못하게 만들어야한다는 데서 생겨난 글자라고해석하는것이다-----4.5번의 사상을 본다면 특히 그렇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