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덜이 나다
"살림이나 무슨 일이 흔들려 재산이나 살림이 없어지는 것." 이라는 뜻이다.
거덜은 조선시대에 가마나 말을 맡아보는 관청인 사복시(司僕寺)에서 말을 맡아보던 하인을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한다
거덜이 하는 일은 궁중의 행차가 있을 때 앞길을 틔우는 것이었습니다.
비록 낮은 신분이지만 지체 높은 사람들을 직접 모시다 보니 우월감에 사로잡혀 몸을 몹시 흔들며 우쭐거리며 걸었습니다.
이 때문에 사람이 몸을 흔드는 것을 가리켜 ‘거덜거린다’, ‘거들먹거린다’ 하고, 몹시 몸을 흔드는 말을 ‘거덜마’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그래서 잘난 체 거드름 피우는 것을 "거덜거리다" 라고 하게 되었고, 이렇게 "흔들흔들" 한다는 뜻이 더욱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살림이나 그밖에 어떤 일의 기반이 흔들려서 결딴이 나는 상황을 가리킬 때 ‘거덜 나다’라고 사용합니다
오늘날에는 거덜이 나다를 "살림이나 무슨 일이 흔들려 재산이나 살림이 없어지는 것." 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예시문 : 노름으로 살림이 거덜 났다.
조선 시대 ‘거덜’의 역사는 오늘날에도 종로 뒷골목 ‘피맛골’에 그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지체높은 지배자의 곁에서 “쉬~ 물렀거라” 하고 권마성을 외치는 거덜은, 단지 권마성을 외치는 데서 멈추지 않고 길거리에서 온갖 악행을 다 저질렀다고 합니다.
그래서 조선 시대 수도의 주요 통로였던 종로 주변의 백성들은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높은 관리들이 지나갈 때마다 고개를 굽히며 예를 갖춰야 했기 때문인데, 이처럼 일일이 예를 갖추다 보면 도무지 제 갈 길을 갈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예를 갖추지 않았다가는 현장에서 바로 거덜의 발길질에 치도곤을 당하기 십상이었죠.
그래서 생겨난 것이 ‘피맛길’입니다.
이른바 ‘아랫것’들은 아예 구불구불한 뒷골목으로 다니는 것이 차라리 마음 편했던 것이죠. ‘피맛길’은 높은 사람의 말[馬]을 피(避)한다는 데서 온 말인데, 사실은 그 말 옆에 따르는 거덜을 피하는 길이죠..
‘피맛길’은 높은 사람의 말[馬]을 피(避)한다는 데서 온 말인데, 사실은 그 말 옆에 따르는 거덜을 피하는 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