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덩굴(烏蘞莓)의 효능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오렴매, 오룡초(五龍草), 발룡갈(拔龍葛)이라고도 한다.
잎에 다세포의 백색 털이 약간 있을 뿐 털이 거의 없으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고 새싹이 곳곳에서 나온다.
원줄기는 녹자색으로서 능선(稜線)이 있고 마디에 긴 털이 있으며 다른 식물체로 뻗어가서 왕성하게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 겹잎이며,작은
잎은 5개이고 달걀모양 또는 긴 달걀모양
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8월에 황갈색 꽃이 산방형 취산(聚散)
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작으며 꽃잎과 수술은 각각 4개
이고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서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뿌리를 오렴매(烏蘞莓)라고 하며 약용한다.
여름-가을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그대로 썰어서 사용한다.
성질은 차고 맛은 맵고 시며 뿌리는고(苦)
,신(辛)하다. 심, 간, 위경에 작용한다.
약효(藥效)→해열(解熱), 제습(除濕), 해독(解毒)하고 부기(浮氣)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옹종(癰腫), 정창(疔瘡), 유행성 이하선염
(耳下腺炎), 단독(丹毒), 풍습통(風濕痛), 황달(黃疸), 전염성 하리증(下痢症), 요혈(尿血), 백탁(白濁)을 치료한다.
뿌리를 진통 및 이뇨제(利尿劑)로 사용한다.
종기(腫氣), 해열(解熱), 단독(丹毒), 타박상(打撲傷), 간염(肝炎), 동상(凍傷), 황달(黃疸), 혈담(血痰), 변비(便秘)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하루 19~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를 내거나 술에 담가복용한다.
또는 찧은 즙을 복용해도 된다.
외용약을 쓸 때는 찧어 환부에 바른다.
★골절(骨折)→거지덩굴 뿌리를 햇볕에 말려 곱게 갈아서 끓는 물에 붉은 설탕과 함께 넣어 합친 후 환부를 싸맨다.
(귀주성중의험방비방)
★풍습성 관절통 →오렴매 37.5g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귀주초약)
★방광결석(膀胱結石) →오렴매, 금전초, 계골초, 활석, 저령 등을 환제로 하며 3∼6
개월 간 연복하면 결석(結石)이 소산된다.
★백탁(白濁) →거지덩굴의 뿌리를 찧은 즙을 마신다(절강민간초약)
★벌에 쏘였을 때 →생잎을 달인 즙으로 씻는다(강서 초약수책)
★사교상(蛇咬傷, 뱀에 물린데) →생거지
덩굴 전초를 찧어 짜낸 즙 75g을 미주
(米酒)에 타서 복용한다.(절강민간초약)
★여드름 →그늘에서 말린 거지덩굴 잎2 줌 정도를 3컵의 물에 넣고 양이 반으로 줄때까지 달여서 하루 3회로 나누어마신다.
거지덩굴은 해독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어 여드름을 없앤다.
우수한 항균작용 화농성 감염 질환에 대해 빠른 효과를 보인다.
오렴매의 수전제는 렙토수피라에 대해 억제 작용을 하고 용혈성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대장균, 이질균에 대해 억제작용을 한다.
★이하선염(耳下腺炎) →붉게 부으면서 통증이 나면서 아직 곪지 않은 단계라면, 오렴매 40g을 진하게 달여 내복한다.
오렴매 가루와 청대 가루를 기름에 섞어 바르면 소염·소종효과가 있다.
★항하열종(項下熱腫, 유행성 이하선염)
→거지덩굴을 찧어 환부에 바른다.
(단계찬요)
★인후종통(咽喉腫痛) →오렴매에 차전
초, 마란(馬蘭, 타래붓꽃)을 배합하여 찧은 후 짜서 천천히 먹는다.
★세균성 이질(痢疾) : 발병 초기에 할미
꽃 뿌리와 함께 진하게 달여 12시간마다 1첩씩 3일간 복용한다.
경과를 봐서 호전되지 않으면 2일간을 더 복용한다.
★접골(接骨), 부종(浮腫) →생 뿌리600
g과 볶은 병미(餠米, 떡쌀) 반 사발을 잘 찧어 고약을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말린 뿌리를 가루로 만들어 백주(白酒)와 함께 섞어 풀처럼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만약 약을 발라서 12~24시간 사이에국소
에 화끈거리는 느낌이 있으면 즉시 약을 바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포(水疱)가 쉽게 생긴다.
관절염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3~7일 바른다.
♥임상
오른손 척골(瘠骨)의 골절에서 단면에 이상은 없으나 환부에 부종 및 동통을 보인한 예에서 는 교정 후에 거지덩굴의 고약을 바르고 3일에 1회 약을 바꾸어 치료하였더니 일주일 만에 부목을 제거하고 보름 만에완치되었다 (중약대사전)
★타박상(打撲傷) →거지덩굴의 찧은 즙을 사내아이 소변과 더운 술에 섞어 복용하고 땀을 씻는다(간편단방)
★폐결핵(肺結核), 해혈(咳血) →오렴매 11~1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측백(側柏), 지유(地楡), 청석단(靑石蛋) 각각 11g을 더하여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절강민간초약).
★하지궤양(下肢潰瘍) : 생잎을 찧어 환부에 바르고 싸맨다.
거지덩굴을 햇볕에 말려 가루로 만든 것을 1회에 37.5g씩 생 돼지비계 113g과 함께 찧어서 고약(膏藥)을 만들고 종이에 발라
서 매일 환부에 붙인다.(강서 민간초약)
★혈뇨(血尿) →그늘에서 건조한 거지덩
굴을 가루로 만들고 1회에 7.5g을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위생이간방)
★감염성 화농(化膿) →생 전초 또는줄기
와 잎을 깨끗이 씻고잘 찧어환부에 바른다
♥임상
잎과 뿌리를 곱게 가루 내어 바셀린과 20% 연고를 만들거나 그 원액을 불에 건조시키고 가루로 만들어 외용한다.
매일 1회 바꾼다.
절종(癤腫), 옹(癰), 봉소염(蜂巢炎), 화농성 림프절염, 외상 감염 창구, 소상감염 잔여 창면, 농포창, 천포창(天疱瘡), 동창 궤란(潰爛), 습진, 피부염 치료에 사용하면 부기를 가라 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키고 신진대사작용을 발휘한다.
초기, 중기의 절(癤), 옹(癰) 등 화농성 감염에 바르면 청량감이 있고 1-2회 바꾼 후에 염증이 없어진다.
터진 난(爛) 또는 화농면에 대해서는 치료 후 농액은 뚜렷이 감소되고 새살이 자라며 상피의 형성을 가속한다.
녹농균에 감염된 상처는 1~2회의 시약으로 분비물이 음성으로 전환된다.
생 거지덩굴을 짓찧어 진흙 모양으로 한것을 발라도 관절이 뒤틀리거나 접질린 경우에 효과가 있다.
부작용 및 부작용이나 나쁜 반응은 보이지 않는다.
이외에 1:1 또는 1:2의 비율로 신선한 거지덩굴을 달인 내복제도 있다.(중약대사전)
★무명 종독(無名腫毒) →거지덩굴의잎 을 찧어 볶은 다음 식초를 뿌린 것으로 환부를 덮는다(절강민간초약)
★등창, 둔옹(臀癰 : 궁둥이에 난 종기), 횡현(橫痃, 가래톳이 서는 성병의 하나) → 거지덩굴 전초를 물로 2번 달이고 여과(濾過) 한다.
2번 달인 즙을 한 그릇에 합쳐 중탕하고 농축 해서 고약을 만든다.
이것을 가제에 발라서 환부에 붙인다.
1일 1회 바꾼다(강서민간초약)
모든 종독,등에 생긴악성종기,유옹(乳癰), 횡현(橫痃가래톳, 여러 원인으로 자개미 림프 절이 腫大된 것을 통틀어 이른 말.
★악성 종기의 초기 증상 →거지덩굴 또는 뿌리 한 줌과 생강 한 조각을 찧어 양질의 술 1컵에 넣은 후 즙을 짜내어 데워서 복용한다. 땀을 닦은 후 짠 찌꺼기를 환부에 바른다.
마늘로 생강을 대신하여도된다(수성신방)
★후두결핵(喉頭結核)→마란국(馬蘭菊) 거지덩굴, 질경이 각 한 줌을 찧어 나온 즙을 천천히 마신다(의학정전)


첫댓글 거지덩굴 본듯도 한대. 효능이 대단하군요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