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사 신규 레포트 2>
기업은행 - 배당, 금리 그리고 핀테크 - 신한금융투자
과거 3년 평균 배당 성향 24% 넘으며 올해 주당 배당금은 480원 이상 전망
일관된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평균 배당 성향은 25% 내외다. 최근 3년평균 배당 성향은 24%를 조금 넘는다. 올해 예상 지배주주 순이익 기준으로 주당 배당금은 480원이다. 배당 수익률 3.6%에 해당된다. 시장에서 기대하는 500~530원보다는 다소 보수적이다. 이는 3분기 중국유한공사 관련 환손실 350억원과 중소기업 신용평가가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가정했다. 올해 당사의 예상 지배주주 순이익 1.1조원은 컨센서스 하단의 가장 보수적 전망치다. 따라서 예상보다 실적이 잘 나오거나 배당 자율화에 부응하는 성향 확대가 있을 경우 주당 배당금은 500원을 훌쩍 넘을 수 있다.
조달의 39.5%가 만기 1년 미만의 중금채로 금리 인하에 유리한 구조
조달 구조가 일반은행과 달리 중소기업금융채 (이하 중금채) 비중이 50%에 달한다. 중금채의 경우 예금보험료와 지준료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에 일부는 고객에게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고 나머지 일정 부분은 마진에 기여한다. 만기 또한 1년 미만의 비중이 전체 중금채의 80%, 전체 조달 금액의 39.5%를 차지하기 때문에 금리 인하 분이 빠르게 조달비용에 반영된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미뤄진 만큼 국내는 추가 금리 인하 우려가 상존하기 때문에 은행 섹터내 방어적 선택이 될 수 있다.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에도 고객 잠식 가능성 매우 낮음
인터넷 전문은행은 사금고화 등의 부작용으로 거액 법인 대출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다. 동행의 경우 가계 신용대출 비중이 은행권 전체에서 가장 낮은 7.9%이다. 사실상 고객 잠식(cannibalization)에 대한 우려가 없다. 여기에 최근 인터파크와의 인터넷 전문은행 컨소시엄 등이 거론되면서 오히려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가 예상된다. 목표주가는 15F BPS에 금융위기 이후 금리 상승 및 하락기 평균 P/B 0.73x를 적용하여 산출했다.
LG이노텍 - 달달한 사과차 (사과+차) - BNK투자증권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35,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LG이노텍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35,000원(9월 21일 종가 88,200원대비 53% 상승여력보유)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투자 아이디어는 1) 차량용 시 장에 선도적으로 진출, 모터센서 및 차량통신 중심의 전장부품 시장을 선점하였으며 2) 주요 전략거래선에 공급하는 카메라모듈(광학솔루션 사업부) 매출 및 이익 확대와 고객사 다변화가 예상되고 3) LED 사업부 적자축소에 따른 추가 이익 개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전장부품 시장 내 선도적인 지위 확보
LG이노텍의 차량부품 매출은 2015년 6,320억원(+18.6% yoy)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5년 신규 수주 금액은 전년(1.5조원) 대비 큰 폭의 확대가 예상된다. 전장 시장은 문서화 작업 및 인증취득 절차가 길고 까다로운 등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진출에 대한 프리미엄이 존재하며 2000년대 후반부터 전장사업을 영위한 LG이노텍의 경쟁력 부각이 기대된다. 또한 전략거래선의 카메라 화소 확대 및 기능 추가로 안정적인 외형성장이 기대되며 자체 R&D를 통한 기술 확보와 추가 고객사 확보가 전망된다.
2016년 영업이익 3,110억원(+17.9% yoy) 전망
LG이노텍의 2015년 3분기 매출은 전략거래선의 신제품 출시 효과로 매출 1조 5,460억원(+6.8% qoq) 영업이익 670억원(+36.8% qoq)으로 전망되며 2015년 매출은 6조 2,690억원(-3.0% yoy), 영업이익은 2,640억원(-16.1% yoy)으로 예상된다. 전장부품의 추가 수주와 LED 사업부 적자축소로 2016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3.2%, 17.9%의 성장이 예상된다.
오스템임플란트 - 양호한 성장 지속 - 신한금융투자
3분기 영업이익 75억원(+142.8%, YoY)으로 양호한 실적 예상
3분기 매출액은 681억원(+21.5%, YoY)으로 예상된다. 주력 품목인 임플란트 매출 호조 때문이다. 임플란트 내수 매출액은 195억원(+25.7%, YoY), 수출은 113억원(+29.5%, YoY)으로 추정된다. 치과용 체어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한 45억원으로 전망된다. 영업이익은 75억원(+142.8%, YoY)으로 양호하겠다. 수익성이 좋은 임플란트 매출 증대로 매출원가율은 3.2%p 개선된 41.4%로 추정된다. 대규모 인력 증가(14년 3분기 917명 → 15년 2분기 1,026명)에도 매출 증대로 판관비율도 2.3%p 낮아지겠다. 3분기 영업이익률은 11.0%(+5.5%p, YoY)로 예상된다.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에 따른 시장 성장 수혜 기대
2014년 7월부터 7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이 시작되었다. 임플란트 2개까지 치료비용(임플란트 재료비 약 13~27만원 + 시술비 약 100만원)의 50% 보험 적용이 된다. 65세까지 보험 적용이 완전히 되는 2017년에는 보험 적용 신규 시장 규모가 479억원으로 추산된다. 현재 약 2천억원으로 추정되는 임플란트 시장의 24%가 새롭게 생겨난다.
목표주가 85,000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높아진 실적 추정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기존 80,000원에서 85,000원으로 상향한다. 2016년 EPS(주당순이익) 2,230원에 3년 평균 PER(주가수익비율)38.4배를 적용하였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14년 7월 75세 이상, 15년 7월 70세 이상, 16년 7월 65세 이상)에 따른 내수 시장 성장 수혜가 예상된다.
CJ E&M - 콘텐츠 사업의 ‘베테랑’다운 모습 기대 - KDB대우증권
3Q Preview: 영화 흥행 및 방송 전통/신규 매체 호조 반영하여 상향 조정
CJ E&M의 3분기 실적 예상치를 기존 추정치 대비 상향 조정했다. 3분기 예상 영업이익을 기존 30억원에서 120억원으로 변경했다. 주된 이유는 두 가지이다. 1) 영화 부문 호조: 8월 5일에 개봉한 ‘베테랑’이 누적 관객 수 1,278만명을 기록하며 올해 최고 흥행작으로 올라섰다. ‘베테랑’은 총 제작비 약 90억원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누적 총 매출액이 1,002억원에 달한다. 투자배급사인 CJ E&M은 총 매출액 중 대략 절반을 배급매출로 인식한 후, 배급 마진과 메인 투자사로서의 흥행 분배 수익까지 인식할 예정이다.
2) 방송 부문 개선: CJ E&M의 올해 실적 호조의 주된 동력은 바로 방송 부문의 개선이다. 이번 3분기에도 방송 부문은 작년 및 전분기 대비 개선된 부분이 있다. 전통 매체인 케이블방송에서는 광고 단가 인상이 진행되고 있다. 핵심 텐트폴 날짜인 금요일 프라임 시간대의 경우 8월 광고 단가가 전년 동월 대비 50%, 전분기 평균 대비 13% 상승했다. 목요일 프라임 시간대는 전년 동월 대비 무려 200%, 전분기 평균 대비 100% 인상되었다. 바로 목요일에 ‘슈퍼스타K7’이 기존 금요일로부터 이동 편성되었기 때문이다. 신규 매체인 디지털 플랫폼에서는 기존 방송 콘텐츠의 모바일 클립 동영상과 더불어, 9월부터 웹 예능 ‘신서유기’가 네이버 TV캐스트에서 방영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단기적으로 CJ E&M의 동영상 광고 단가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되며, 중장기적으로는 광고 시장 영역이 기존의 유료방송 위주에서 디지털(PC 온라인/모바일) 광고까지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 실적 안정화 및 4분기 최성수기 기대감, 중장기 중국 성과 주목
CJ E&M은 사실 과거 3분기가 경고등이 켜지던 시기였다. 작년 및 재작년 3분기에 100억원이 넘는 영업적자를 기록했었기 때문이다. 바로 방송과 음악/공연 부문이 대규모 적자의 원인이었다. 그래서 이번 3분기에 영업흑자를 기록한다면, CJ E&M의 기업 체질은 확연히 개선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라인업의 호조, 방송과 음악/공연 부문의 비용통제와 매출 증가 등이 진행되며 사업 내용이 종합적으로 개선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4분기부터는 전 사업 부문이 최성수기를 맞이한다. 방송 부문은 핵심 프로가 방영되는 광고성수기이며, 영화와 공연 시장에는 연말 성수기가 다가온다. 또한 하반기부터 중국 사업의 성과도 ‘상하이 이허야 미디어’ 법인을 통해 연결 기준으로 실적이 인식될 예정이다.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11만원 유지
CJ E&M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110,000원을 유지한다. 현재는 3분기 실적에서 불안감보다는 체질 개선이 확인될 것으로 기대되고, 4분기 최성수기와 중장기적인 중국 사업의 윤곽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68548550440A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