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57069
일본은 예비시험이 있어서 로스쿨을 다니지 않은 사람에게도 사법시험 응시자격을 주고 있고, 미국도 여러 주에서 통신강좌 이수자 등에게 변호사시험 응시기회를 부여하고 있음로스쿨이랑 예법시험 제도를 둘 다 두고 변호사시험 응시 자격을 이원화해서 각자 사정에 따라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서 퍼옴
첫댓글 사법고시로 변호사 되신 분들은 시험 만드는 거 원하시더라. 지금도 변호사 너무 많아서 난제네. 근데 개인적으로 법조계엔 로스쿨 안나와도 지식 많으신 분들 많아서 시험 꼭 생겼으면 좋겠어.
삭제된 댓글 입니다.
변호사들이 일이 없으니까 변리사 법무사 세무사 일까지 다 한대
나 아무생각 없이 그냥 뉴스 퍼왔었는데...찾아보니 예비시험이 있는게 맞더라
잘모르겠네..
대법협은 원래 사시존치파들이 모여서 만든 단체니까
그럼 로스쿨 가는 사람들 없어지지 않을까? 3년간 돈들고 시간드는데 다 저렇게 하지 않을까
근데 또 그렇게 따지면 미국은 저런제도 있어도 다수가 로스쿨가고 있지...모르겠다🙀
첫댓글 사법고시로 변호사 되신 분들은 시험 만드는 거 원하시더라. 지금도 변호사 너무 많아서 난제네. 근데 개인적으로 법조계엔 로스쿨 안나와도 지식 많으신 분들 많아서 시험 꼭 생겼으면 좋겠어.
삭제된 댓글 입니다.
변호사들이 일이 없으니까 변리사 법무사 세무사 일까지 다 한대
나 아무생각 없이 그냥 뉴스 퍼왔었는데...
찾아보니 예비시험이 있는게 맞더라
잘모르겠네..
대법협은 원래 사시존치파들이 모여서 만든 단체니까
그럼 로스쿨 가는 사람들 없어지지 않을까? 3년간 돈들고 시간드는데 다 저렇게 하지 않을까
근데 또 그렇게 따지면 미국은 저런제도 있어도 다수가 로스쿨가고 있지...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