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쿠바 원유시장 개요
ㅇ 쿠바는 90년대 초 소련해체에 따른 원유공급 중단을 시점으로 유전개발 및 생산을 지속 확대해 왔음. 특히 캐나다 Sheritt사의 자본 및 기술 도입으로 1991-2003년 기간 중에는 연평균 생산량이 50%씩 증가(2005-2015년 기간 중 생산량은 일평균 4.5만 배럴)
ㅇ 2000년 중반부터는 베네수엘라로부터 일평균 10만 배럴의 원유를 공급받아 왔으나, 베네수엘라 경제위기 여파로 2014년부터는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 일일 5만배럴 정도로 규모 축소
ㅇ 쿠바의 원유는 대부분 초중질유(extra-heavy)로서 채굴이 쉽지 않아 전반적인 회수율이 매장량의 5% 수준에 그치고 있음.
ㅇ 현재 생산이 가장 활발한 유전은 아바나시 동쪽 Matanzas지역 유전으로 일평균 2.6만 배럴 생산
Havana- Matanzas 해안선 유전

자료 : Cuba Standard
ㅁ 최근 탐사 및 개발 동향
ㅇ 미국 지질조사국(USGS,2004년)에 의하면, 쿠바 서부지역의 북쪽 절반 및 멕시코만 배타적 경제수역(EEZ)을 포함하는 소위 ‘North Cuba Basin’ 지역에 46억배럴의 원유, 9.8조입방피트의 천연가스, 9억배럴의 액화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 특히 북부 및 서부 해안 50~80KM 부근에 매장원유의 70%가 위치하고 있음
ㅇ 쿠바는 유전개발에 외국자본 및 기술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며, 탐사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심해 49개 블록, 인근해 8개 블록, 육상 19개 블록을 지정하여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고 있음.
ㅇ 멕시코만 유전탐사에는 Repsol(스페인), Petronas(말레이시아), Gazprom(러) 등이 참여했으나 실패했고 현재 Sonangol(앙골라), PDVSA(베네수엘라) 등이 참여했으나, 현재까지 별다른 성과는 거두지 못함
ㅇ 현재 가장 유망한 탐사 프로젝트는 호주 Melbana Energy사가 참여하고 있는 Matanzas 연안의 Block 9지역(규모 : 919 평방마일)으로 2018년 중반부터 시추 진행 예정임. Melbana사에 따르면 Block 9지역의 원유매장량이 최소 12억배럴에서 최대 127억배럴에 이를 것으로 추정.
ㅁ 전망 및 시사점
ㅇ 쿠바는 전력생산의 96%를 석유원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2000년대부터 베네수엘라의 대량 원유공급으로 경제가 유지되어 왔으나 최근년도 원유공급이 점차 축소되면서 신규유전개발이 시급하며 한편으로는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외국인투자를 집중 유치하고 있음
ㅇ 쿠바 원유는 초중질유로서 원유적출에 고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바, 현 원전의 원유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기술을 통한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며, 이 분야에 대한 외국기업의 진출 유망
ㅇ 쿠바는 최근 20여년 동안 원전 개발을 위해 생태계보호 등을 고려하지 않고 천공작업을 진행해 오고 있어 유전지역의 자연훼손이 심각한 상태에 있음. 특히 최대유전지역인 Havana-Matanzas 구간은 해안선을 따라 천해의 해변, 산호지역으로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아 향후 자연복구, 부동산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Cupet, 주요 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