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구사서(酒狗社鼠)
술집에 개와 사당의 쥐라는 뜻으로, 군주에 붙어 권력을 휘두르는 자와 군주의 눈을 흐르게 하는 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酒 : 술 주(酉/3)
狗 : 개 구(犭/5)
社 : 토지 신 사(礻/3)
鼠 : 쥐 서(鼠/0)
출전 : 한비자(韓非子) 외저설우상(外儲說右上)편
한 나라의 고위 공직자란 어떠해야 하는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드러난 청와대 인사들의 비리를 보면서 절로 나오는 질문이다.
이 물음에 대한 중국 전국시대 법가 사상가인 한비자(韓非子)의 답을 들어보자. 한비자 외저설우상(外儲說右上)편에 나오는 얘기다.
송(宋)나라 사람으로 술파는 자가 있었다. 나눠주는 술의 양이 공정했고, 공손했고, 맛도 일품이었다(升概甚平,遇客甚謹,為酒甚美).
간판도 높이 달아 눈에 띄게 했다. 그런데도 술이 팔리지 않았다(然而不售). 팔리지 않으니 술이 시곤했다(酒酸).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그는 동네 어른 양천(楊倩)에 그 이유를 물었다. “품질도, 서비스도, 마케팅도 좋은데 왜 술이 안 팔리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양천(楊倩)이 말했다. “당신 집의 개가 사납소(汝狗猛耶)?”
술집 주인이 “개와 술이 무슨 관계입니까?”
양천이 “두렵기 때문이오. 사람들은 대부분 어린 자식을 시켜 술을 사오게 합니다. 아이는 개가 무서워 당신 주막집을 가지 않습니다. 조금 멀더라도 다른 주막집을 찾겠지요. 그러니 당신 집 술이 시는 것이오.”
人畏焉. 或令孺子懷錢挈壺雍而往酤, 而狗迓而齕之, 此酒所以酸而不售也.
한비자는 말한다. 무릇 나라에도 그와 같은 개가 있다. 나라를 다스리는 도와 덕을 지닌 현사(有道之士)가 그 방법을 만승지국(萬乘之國) 대왕에 밝히려 해도 대신이 사나운 개가 되어 그들을 물어뜯는다.
이것이 바로 군주가 몽매하게 속임을 당하고, 인재들이 중용되지 못하는 연유이다(此人主之所以蔽肋, 而有道這士所以不用也).
이어 제(齊)나라 군주 환공(桓公)과 재상 관중(管仲)의 대화가 소개된다.
환공(桓公)이 “나라를 다스리는 데 무엇을 가장 걱정해야 하는가(治國最奚患)?”
관중(管仲)이 “사당의 쥐(最患社鼠矣)입니다.”
환공이 “왜 그러한가?”
관중이 “군주께서 집짓는 광경을 보신 적이 있다면 아실 것입니다. 먼저 목재를 세우고 흙을 바르는데, 쥐새끼는 거기에다 구멍을 뚫고 살게 됩니다.
그런데 그 놈들을 쫒아내려고 불을 지르자니 목재가 탈 염려가 있고, 물을 붓자니 벽이 무너질 염려가 있습니다.
이것이 곧 사직에 들끓고 있는 쥐새끼를 잡지 못하는 까닭입니다. 지금 군주의 좌우 측근들은 궁 밖에서 세도를 부리며 백성들로부터 이익을 거둬들이고, 또한 궁 안에서는 한 무리가 되어 자기들의 비행을 모르도록 군주의 이목을 가리며, 군주의 실정을 밖으로 알리는 등 안팎의 일을 자기들 멋대로 조정하기 때문에, 신하들은 모두 그러한 측근들의 권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법관이 그들을 벌하지 않으면 국법이 문란해지고 그들을 처벌하자니 군주의 지위가 평안치 않을 것이므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그 측근들이 사당의 쥐가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此亦國之社鼠也)?
그러므로 신하된 자가 상벌권을 쥐고 마음대로 법령을 위반하여 자기들을 따르는 자에게는 반드시 이익을 주고, 자기들을 위해서 일하지 않는 자에게는 반드시 손해를 입히는데, 그러한 자를 일컬어 ‘사나운 개’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대신은 무서운 개가 되어 도를 터득한 선비를 물어뜯고, 좌우 측근들은 사직의 쥐새끼가 되어 군주의 실정을 내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군주께서는 이러한 실정을 깨닫지 못하시고 계십니다.
이와 같으니 어찌 군주와 신하 사이에 소통이 제대로 되겠으며, 또한 어찌 나라가 망하지 않겠습니까?”
夫大臣為猛狗而齕有道之士矣, 左右又為社鼠而間主之情, 人主不覺. 如此, 主焉得無壅, 國焉得無亡乎?
▶️ 酒(술 주)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동시에 음(音)을 나타내는 닭 유(酉; 술, 닭)部와 水(수; 액체)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酒자는 ‘술’이나 ‘술자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酒자는 水(물 수)자와 酉(닭 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酉자는 술을 담는 술병을 그린 것이다. 이렇게 술병을 그린 酉자에 水자가 더해져 있으니 酒자는 ‘술’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사실 고대에는 酒자와 酉자의 구별이 없었다. 酉자도 ‘술’이라는 뜻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酉자가 십이지(十二支)의 열째 글자인 ‘닭’을 뜻하게 되면서 지금은 酒자가 ‘술’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酒(주)는 어떤 명 아래에 쓰이어 술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①술(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어 마시면 취하는 음료) ②잔치, 주연(酒宴) ③술자리, 주연(酒筵) ④무술(제사 때 술 대신에 쓰는 맑은 찬물) ⑤술을 마시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술을 마시며 즐겁게 노는 간단한 잔치를 주연(酒宴), 시골의 길거리에서 술이나 밥 따위를 팔고 또 나그네도 치는 집을 주막(酒幕), 술을 따라 마시는 그릇을 주배(酒杯), 술 친구를 주붕(酒朋), 술을 마시며 노는 자리를 주석(酒席), 술을 파는 집을 주가(酒家), 술집을 주점(酒店), 주포(酒舖), 주옥(酒屋), 주청(酒廳), 술의 종류를 주류(酒類), 술에 취하여 말이나 행동을 함부로 하거나 막되게 하는 것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을 주정(酒酊), 술을 마시는 분량을 주량(酒量), 술을 잘 마시는 사람으로 주량이 아주 큰 사람을 주호(酒豪), 술을 마심을 음주(飮酒), 아침에 마시는 술을 묘주(卯酒), 약주를 뜨고 남은 찌꺼기를 모주(母酒), 끼니 때 밥에 곁들여서 한두 잔 마시는 술을 반주(飯酒), 술을 먹던 사람이 술을 끊음을 단주(斷酒), 술을 못 먹게 금함 또는 먹던 술을 끊고 먹지 않음을 금주(禁酒), 빛과 맛이 좋은 술을 미주(美酒), 별다른 방법으로 빚은 술 또는 이별할 때 마시는 술을 별주(別酒), 약재를 넣어서 빚은 술을 약주(藥酒), 아무렇게나 빚어서 맛이 좋지 않은 술을 박주(薄酒), 아는 사람을 찾아다니며 술을 우려 마심 또는 그 술을 엽주(獵酒), 곡식으로 만든 술을 곡주(穀酒), 술을 마실 때 곁들여 먹는 고기나 나물 따위를 안주(按酒), 술을 썩 좋아함을 애주(愛酒), 술이 못을 이루고 고기가 수풀을 이룬다는 뜻으로 매우 호화스럽고 방탕한 생활을 이르는 말을 주지육림(酒池肉林), 술을 마시는 사람은 장이 따로 있다는 뜻으로 주량은 체구의 대소에 관계 없음을 이르는 말을 주유별장(酒有別腸), 술과 밥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주대반낭(酒袋飯囊), 술 마시는 용과 시 짓는 범이라는 뜻으로 시와 술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주룡시호(酒龍詩虎), 술이 들어가면 혀가 나온다는 뜻으로 술을 마시면 수다스러워진다는 말을 주입설출(酒入舌出), 돼지 발굽과 술 한 잔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으로 많은 물건을 구하려 한다는 돈제일주(豚蹄一酒) 등에 쓰인다.
▶️ 狗(개 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개사슴록변(犭=犬; 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句(구)로 이루어졌다. ❷형성문자로 狗자는 ‘개’나 ‘강아지’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狗자는 犬(개 견)자와 句(글귀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句자는 말뚝에 줄이 엮여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개를 뜻하는 글자로는 이미 犬자가 있기 때문에 狗자가 따로 만들어진 것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다.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서는 이에 대해 큰 개는 犬으로 불렀고 작은 개는 狗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의 狗자는 이와는 관계없이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개’나 ‘강아지’를 뜻하고 있다. 그래서 狗(구)는 ①개(작은 개) ②강아지 ③범의 새끼 ④곰의 새끼 ⑤개새끼(행동이 나쁜 사람 비유) ⑥별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개고기를 구육(狗肉), 개의 간을 구간(狗肝), 개장국을 구장(狗醬), 바닷 장어를 구어(狗魚), 너구리를 구환(狗獾), 개의 목에 다는 방울을 구황(狗鎤), 개의 가죽을 구피(狗皮), 개의 쓸개를 구담(狗膽), 개가 앓는 돌림병을 구역(狗疫), 개고기를 쪄서 만든 음식을 구증(狗蒸), 개와 돼지를 구체(狗彘), 개를 통째로 진하게 고아 낸 국물을 구고(狗膏), 개를 잡음을 구도(狗屠), 개가 짖음을 구폐(狗吠), 개와 말이라는 뜻으로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을 낮추어 이르는 말을 구마(狗馬), 개와 쥐의 뜻으로 인격이 비천한 사람을 구서(狗鼠), 개나 말이 그 주인에게 다하는 충성심이라는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일컫는 말을 구마지심(狗馬之心),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진 신하가 모이지 않음을 비유한 말을 구맹주산(狗猛酒酸), 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좋은 것 다음에 나쁜 것을 잇는 것 또는 쓸 만한 인격자가 없어 자질이 부족한 사람을 고관에 등용함을 이르는 말을 구미속초(狗尾續貂), 개밥의 도토리라는 속담의 한역으로 따돌림을 당하거나 외톨이가 되는 것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구반상실(狗飯橡實), 사냥하러 가서 토끼를 잡으면 사냥하던 개는 쓸모가 없게 되어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 요긴하게 써 먹고 쓸모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린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토사구팽(兎死狗烹), 양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은 훌륭해 보이나 속은 그렇지 못한 것 또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양두구육(羊頭狗肉), 서당 개 3년에 풍월을 한다는 뜻으로 무식쟁이라도 유식한 사람과 사귀면 견문이 넓어짐 또는 무슨 일 하는 것을 오래 오래 보고 듣고 하면 자연히 할 줄 알게 된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당구풍월(堂狗風月), 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의 흉내를 잘 내는 좀도둑이라는 뜻으로 천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때로는 요긴하게 쓸모가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계명구도(鷄鳴狗盜), 초상집의 개라는 뜻으로 별 대접을 받지 못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상가지구(喪家之狗), 진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강인한 성격의 함경도 사람을 평한 말 또는 명분이 서지 않는 일로 몰골 사납게 싸움을 일컫는 말을 이전투구(泥田鬪狗), 큰 일을 하려다가 그 일을 이루지 못할 때는 모든 것이 실패로 돌아가 한 가지의 작은 일도 이룰 수가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화룡유구(畫龍類狗), 토끼를 발견한 후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게 하여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사태의 진전을 관망한 후에 응하여도 좋다는 말을 견토방구(見兔放狗) 등에 쓰인다.
▶️ 社(모일 사/토지신 사)는 ❶회의문자로 토지(土)의 신에게 제사(示) 지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제사를 지내다는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社자는 ‘모이다’나 ‘행정단위’, ‘토지 신’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社자는 示(보일 시)자와 土(흙 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示자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단을 그린 것으로 여기에 土자가 결합한 社자의 본래 의미는 ‘토지의 신’이었다.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는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제물을 바친다. 그래서 社자는 ‘토지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많은 사람이 모였다는 의미가 확대되면서 후에 ‘모이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고대 중국에서는 적은 수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작은 행정단위를 社라고 했다. 그래서 社(사)는 (1)회사(會社), 통신사(通信社), 신문사(新聞社) 등을 줄여 이르는 말 (2)조선시대 때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주(州), 현(懸)의 아래, 동(洞), 이(里), 촌(村) 보다 높은 행정 단위로 함경도(咸鏡道)에 많았음. 우두머리는 사장(社長)임 (3)고대(古代) 중국에서 토지(土地)의 수호신(守護神) 및 그 제사(祭祀), 또는 그 수호신(守護神)을 중심으로 한 스물다섯 집의 부락(部落). 원(元)나라 때에는 오십 집을 단위로 하여 권농을 중심으로 한 촌락(村落) 자치제 (4)옛날, 대만(臺灣)의 행정 구역의 최하급(最下級) 등의 뜻으로 ①모이다 ②제사(祭祀)를 지내다 ③땅귀신 ④토지신(土地神) ⑤단체(團體), 모임 ⑥사창(社倉: 각 고을의 환곡(還穀)을 저장하여 두던 곳집) ⑦사학(社學) ⑧행정(行政)의 단위 ⑨어머니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모을 모(募), 모일 총(叢), 둥글 단(團)이다. 용례로는 모든 형태의 인간의 집단적 생활을 사회(社會), 회사에 근무하는 사람을 사원(社員), 회사의 사업을 사업(社業), 회사나 결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사주(社主), 회사의 규칙을 사규(社規), 같은 사에 근무하는 동료를 사우(社友), 사원이 지켜야 할 회사의 방침을 사훈(社訓), 여러 사람이 모여 서로 교제함을 사교(社交), 조선시대에 환곡을 저장해 두던 각 고을의 창고를 사창(社倉), 숨어 사는 쥐란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사람의 세력을 의지하여 간사한 일을 하는 자를 이르는 말을 사서(社鼠), 상행위를 목적으로 두 사람 이상이 설립한 사단법인을 회사(會社), 자기가 소속해 있는 회사를 자사(自社), 지국이나 지사에 대하여 그 본부를 본사(本社), 회사 등에 취직하여 들어감을 입사(入社), 회사를 처음으로 세워서 엶 또는 그 일을 창사(創社), 사원이 퇴근함 또는 회사의 직원이 그 회사를 그만두고 물러남을 퇴사(退社), 회사에 근무하고 있음을 재사(在社), 다른 회사를 타사(他社), 회사나 신문사 등에 찾아옴을 내사(來社), 나라의 안위를 맡은 중신을 사직지신(社稷之臣), 사직이 폐허가 되었다는 뜻으로 나라가 망하는 일을 사직위허(社稷爲墟), 성곽에 사는 여우와 사단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를 이르는 말을 성호사서(城狐社鼠) 등에 쓰인다.
▶️ 鼠(쥐 서)는 ❶상형문자로 쥐의 이와 몸을 본 뜬 모양이다. ❷상형문자로 鼠자는 ‘쥐’나 ‘좀도둑’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鼠자의 갑골문을 보면 쥐의 주둥이 주위에 흩어진 낱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곡식을 갉아먹고 있는 쥐를 표현한 것이다. 쥐는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의 곡식을 훔쳐 먹고 살던 동물이다. 그러다 보니 鼠자에는 ‘좀도둑’이나 ‘간신배’와 같은 부정적인 의미가 있다. 鼠자는 금문으로 넘어오면서 모양이 크게 변형되었는데, 쥐의 앞니는 臼(절구 구)자로 바뀌었고 꼬리와 발은 생략되었다. 鼠자는 쥐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鼢(두더지 분)자나 鼬(족제비 유)자처럼 설치류와 관련된 동물을 뜻하게 된다. 그래서 鼠(쥐)는 ①쥐(쥣과의 포유 동물) ②좀도둑 ③병(病)의 이름, 임파선(淋巴腺) 결핵(結核) ④간신(奸臣)의 비유 ⑤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쥐며느리를 서고(鼠姑), 족제비를 서랑(鼠狼), 쥐의 족속 또는 몹시 교활하고 잔일에 약게 구는 사람을 서족(鼠族), 좀도둑으로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을 서도(鼠盜), 목에 결핵성 림프선염이 생겨 곪아 뚫린 구멍에서 늘 고름이 나는 병을 서루(鼠瘻), 갈매나무를 서리(鼠李), 소인배들을 서배(鼠輩), 쥐의 털과 같은 빛깔 곧 짙은 잿빛을 서색(鼠色), 곡식을 쥐가 먹어서 나는 축을 서축(鼠縮), 쥐가 쏠아서 결딴냄을 서파(鼠破), 쥐의 가죽을 서피(鼠皮), 두 다리의 사이를 서혜(鼠蹊),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한 것을 얕잡아 이르는 말을 서담(鼠膽), 들쥐를 야서(野鼠), 캥거루를 대서(袋鼠), 박쥐를 비서(飛鼠), 사향쥐를 사서(麝鼠), 토끼를 토서(兔鼠), 두더지를 토서(土鼠), 다람쥐를 산서(山鼠), 날다람쥐를 청서(靑鼠), 족제비를 낭서(狼鼠), 족제비를 황서(黃鼠), 흰쥐를 백서(白鼠), 땅강아지를 석서(石鼠), 두더짓과에 딸린 포유 동물을 분서(鼢鼠), 다람쥐과에 딸린 작은 동물을 석서(鼫鼠), 들쥐과에 딸린 포유 동물을 수서(水鼠),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매우 쓸모없고 하찮은 것을 이르는 말을 서간충비(鼠肝蟲臂), 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을 서절구투(鼠竊狗偸)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