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재즈 페스티벌의 새로운 메카 - 2008 인천 재즈 페스티벌
알토 색소폰의 최고봉, 케니 가렛 콰르텟
브라질 기타의 정수, 야만두 코스타 내한공연
일 시: 2008년 7월 11일(금) 오후8시 / 2008년 7월 12일(토) 오후7시
장 소: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입장권: R석 3만원 / S석 2만원
(Culture Leader 유료회원, 20인 이상 단체 및 초,중,고교생 30% 할인)
출 연: Kenny Garrett Quartet/ Yamandu Costa
주 최: 인천광역시
주 관: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아츠 사무국
협 찬: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
공연문의 및 예매
인천&아츠 사무국 02)3446-0642 / 032)420-2027 www.incheonarts.com
옥션티켓 1566-1369 ticketlink.auction.co,kr / 인터파크 1544-1555 www.interpark.com
엔티켓 1588-2341 www.enticket.com
커트 로젠 윙클, 콘잘로 루발카바, 에그베르트 지스몬티 등 한국에서 쉽게 만날 수 없었던 재즈의 거장들이 참여해 뜨거운 관심을 모으며 정통 재즈를 선보였던 ‘인천 재즈 페스티벌’이 올해에도 2008년 7월 11일과 12일 양이틀간 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알토 색소폰의 거장 케니 가렛과 브라질 출신의 각광받는 기타리스트 야만두 코스타 내한공연으로 그 명성을 잇는다.
화려한 테크닉과 마음을 사로잡는 감성/ 알토 색소폰의 거장 케니 가렛
케니 가렛은 현재 재즈계 최고의 알토 색소포니스트로 인정받는 재즈 뮤지션으로 이번 인천재즈페스티벌을 위해 그의 밴드와 함께 내한한다. 케니 가렛은 ‘98년에는 제1회 뉴욕 재즈대상에서 기자상과 재즈업계상을 수상한 바 있고, 미국 재즈 애호가들의 투표로 선출한 핫 리스트에서도 오랫동안 1위를 지켜왔으며, 윈튼 마샬리스, 조슈어 레드먼과 함께 정통 재즈 연주자로 불린다. 가렛은 디트로이트 출신으로, 테너 색소폰 주자인 아버지 덕택에 거의 태어나면서부터 '재즈'에 노출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아주 어린 시절부터 찰리 파커와 존 콜트레인의 음악을 즐겨 들었고, 색소폰은 빌 위긴스에게 사사받았다. 대학을 대신해서 열 여덟살 때 '듀크 엘링턴 오케스트라'에 합류해 일찌감치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전설적 밴드인 '아트 블래키 메신저스'를 거쳐 1986년부터 5년 동안 마일스 데이비스 밴드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쌓았다. 1992년 데이비스가 숨진 뒤에는 칙 코리아, 허비 행콕, 론 카터, 얼 그루 밀러, 엘빈 존스 같은 거장들과 협연했다. 도날드 버드, 프레디 허바드, 멀그루 밀러, 시다 월튼, 월리스 로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주자들의 앨범에 세션으로 참여하는 등 현재까지 100장이 넘는 앨범에 참여하는 아주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의 연주는 테크닉이 화려하고, 감성과 상상력이 풍부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브라질이 낳은 ‘투피 과라니(거대한 물)’ / 기타리스트 야만두 코스타
야만두 코스타는 브라질의 천재 음악인으로서 한 스타일에만 머물지 않은 기타 연주자이자 작곡가, 편곡가이며 모든 스타일을 결합시킨 그만의 스타일로 7줄 기타를 연주한다. 그의 연주는 ‘깊은 감동과 기쁨을 주는 마술과도 같은 음악’으로 극찬을 받고 있다. 브라질에서 태어나 7살 때부터 "Os Fronteiriços" 밴드 리더인 아버지 Algacir Costa 에게서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고 그 후에 브라질에 있던 아르헨티나 비르투오소 Lúcio Yanel로부터 테크닉을 완성시켰다. 15살이 될 때까지 브라질 남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음악을 공부하다가 Radamés Gnatalli의 연주를 들은 이후부터는 브라질의 유명한 음악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아오다가 마침내 자신만의 스타일을 완성시켰다. 야만두 코스트는 브라질리언 인디언의 언어로 "투피 과라니tupi-guarani" 라고 불릴 만하다는 칭송을 받고 있다.
세계적인 재즈아티스트들이 교수진으로 참여, 흥미진진한 재즈 워크숍
한편 7월10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되는 재즈 워크숍은 올해에도 재즈의 본고장 뉴욕의 New School 교수진이 교수진으로 참여, 정통 재즈를 배울 수 있는 기회로 많은 기대를 모은다.
지난 20년간 뉴욕 재즈계를 활발하게 이끌어왔고 Wayne Shoter, Baba Olatunji, Astrud Gilberto등 기라성 같은 재즈계의 명인들과 연주하면서 Bass Collective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재능있는 젊은 베이시스트들을 길러온 그레고리 존스, 혁신적인 재즈 기타리스트이자 성숙한 현대적 스타일을 갖춘 작곡가로서 재즈 타임즈지로부터 “최근 몇 년간 등장한 아마도 가장 혁신적인 정통파의 재즈 기타리스트” 라 평가받는 로리 스튜어트, 뉴욕 뉴스쿨과 매네스 음대를 졸업한 후 조 챔버스, 레지 워크맨, 졸지 가르존에게 지도를 받고 엘링톤 포르투갈에서 마크 터너와 페리코 샘빗의 엘링톤 연주에 참여하였으며 로욜라 대학에서 강사로 초청을 받은 존 엘리스, 그리고 선&예원 재즈오케스트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신예원 등 교수진이 쟁쟁하다.
** Incheon & Arts 2008 재즈 워크숍
일시: 2008년7월10일~ 7월12일
장소: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교수진 John Ellis Saxophone
Kevin Hays Piano
Ari Hoenig Drums
Rory Stuart Guitar
Gregory Jones Bass
Yeah-Won Shin Vocal
인천재즈페스티벌 출연진 프로필
케니 가렛 Kenny Garrett│ Alto Saxophone
재즈 색소폰과 플룻 연주자로 활동중인 케니 가렛은 미시간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아버지 또한 테너 색소폰 연주자이었으며 1978년도에 그는 듀크 엘링톤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4년도에는 그의 첫 앨범 ‘Introducing Kenny Garrett” 을 발매하였으며, 그후로 11장의 앨범을 발매하였다. 그는 여러 차례 그래미상 후보로도 올랐다. 재즈음악계의 유명인사들인 마일스 데이비스, 프레디 후발드, 우디 샤우, 맥코이 타이널, 패로우 샌덜스, 브라이언 블래이드, 말커스 밀러, 헐비 행콕, 바비 헛철슨, 론 칼터, 엘빈 존스 과 연주한바 있다. 그의 음반 중 2006년에 발매한 “Beyond the Wall” 은 가장 동양적인 색체를 갖은 음반이라고들 한다.
야만두 코스타 Yamandu Costa│ Guitar
야만두 코스타는 브라질 리오 그란데 도 술 주의 파수 푼두에서 태어나 7살 때부터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였고 아르헨티나의 비르투오소 Lúcio Yanel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5살이 될 때까지 브라질 남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의 음악을 공부하였으며 Radamés Gnatalli의 연주에 감명 받아 이후 Baden Powell, Tom Jobim, Raphael Rabello과 같은 브라질의 유명한 음악인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야만두 코스타는 17세에 상파울로에서 톰 브라질 스튜디오가 제작한 “Circuito Cultural banco do Brasil” BB Cultural Tour 에 참여해 브라질의 천재적인 기타 연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의 거리를 좁히는 친밀감 높은 기타연주로 관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한다. 그의 손가락을 통해 음악은 관객의 몸과 마음에 전달되는 마술과도 같은 음악으로 자리잡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야만두 코스타는 한가지 스타일에 머물지 않고 여러 장르를 추구하는 기타 연주자, 작곡가 및 편곡가로서 브라질리언 인디언의 언어로 ‘투피 과라니(거대한 물)’ 라고 불릴 만하다는 칭송을 받고 있다.
인천 재즈 워크숍 교수진 프로필
로리 스튜어트 Rory Stuart │ Guitar
로리 스튜어트는 혁신적인 재즈 기타리스트이자 성숙한 현대적 스타일을 갖춘 작곡가다. 대부분 독학인 그는 그의 오랜 친구인 턱 안드레스(Tuck Andress)와의 지속적인 음악적인 아이디어들의 교환을 통해서 혜택을 받아왔다. 그리고 잠깐이었지만 집중적으로 훌륭한 “기타리스트의 기타리스트”인 데이브 크리머(Dave Creamer)와 함께 공부를 했다. 재즈 타임즈지는 그를 “최근 몇 년간 등장한 아마도 가장 혁신적인 정통파의 재즈 기타리스트일 것이다.” 라고 평했다. 그의 최근의 2장의 음반 모두 DOWNBEAT로부터 별 네 개를 받았고, CODA로부터는 그 해의 10개의 베스트 음반 중 하나로 뽑힌 적이 있다. 그가 1982년부터 이끌어오고 있는 그의 고유한 콰르텟과도 함께 공연을 했다. 스튜어트는 GUITAR PLAYER의 Masters Series에 교육용 기사를 썼고 최근에는 재즈 즉흥연주에 대한 책을 쓰고 있다. 2008년 현재 New School의 재즈과 교수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는 Kool Jazz Festival과 오타와, 밴쿠버, 버몬트주의 벌링턴, 오스트리아의 잘펠덴(Saalfelden), 스위스의 Langnau, 콜로라도주의 Telluride의 재즈 페스티벌들에서 공연한 적이 있다. 필라델피아의 Painted Bride Arts Center, Fat Tuesday's, Lush Life, 그리고 뉴욕의 블루 노트 같은 미국 내의 무수히 많은 클럽과 공연장에서도 연주하였다.
그레고리 존스 Gregory Jones │ Bass
베이시스트 그레고리 존스는 캐나다 Nova Scotia주의 Cape Breton섬 출신으로 New England Conservatory에서 피아노와 더블 베이스를 공부했다. 지난 20년간 뉴욕 재즈계를 활발하게 이끌어온 인물이며, Wayne Shoter, Baba Olatunji, Astrud Gilberto등 기라성 같은 재즈계의 명인들과 연주했다. Bass Collective에서 후학을 양성해왔으며 그 외에도 재능있는 젊은 베이시스트들을 길러왔다.
존 엘리스 John Ellis | Saxophone
존 엘리스는 뉴욕의 뉴스쿨과 매네스 음대를 졸업했다. 그는 조 챔버스, 레지 워크맨, 졸지 가르존 에게 지도를 받았다. 졸업 후 그는 엘링톤 포르투갈에서 마크 터너와 페리코 샘빗의 엘링톤 연주에 참여하였으며 로욜라 대학에서 강사로 초청을 받았다.
현재 제이슨 말살리스 퀸텟과 롤랜드 궤린 밴드에서 활동중이며 2004년에는 하이나 음반사와 ‘원 풋 인더 스왐프’ 라는 앨범을 작업하였다.
아리 호닉 Ari Hoenig │ Drums
지휘자이자 성악가인 아버지와 바이올리니스트이자 피아니스트인 어머니로부터 다양한 음악적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했다. 북텍사스대학교에서 에드 소프(Ed Soph)와 3년간 수학하면서 “One O’clock”이란 재즈 밴드에서 연주를 했다. 1995년에는 뉴욕과 좀 더 가까운 뉴저지주의 윌림엄 패터슨대학으로 옮겼고 곧 뉴욕시에서 정규적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지난 6년간 장-미셸 필크 트리오와 케니 워너 트리오의 멤버로 활동해왔다. 2002년에는 아리 호닉 콰르텟을 결성하여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1996년 이래로 거의 60장의 음반에 참여하였고 2004년 그의 콰르텟이 녹음한 최초의 음반 “The Painter”는 팡파르(Fanfanre)지로부터 최고의 음반 5장 중 하나로 뽑히기도 했다. 그는 교육자로서 뉴욕의 New School과 Manhattan School of Music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Modern Drummer 지에 교육적인 칼럼을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다.
케빈 헤이스 Kevin Hays │ Piano
피아니스트와 작곡가로 활동중인 케빈 헤이스는 10장의 앨범을 냈으며, 다양한 재즈 음악가들의 앨범에 참여하였다. 그의 앨범 중 ‘일곱 번째 감” 은 뉴욕 타임스 가 극찬하였다. 케빈 헤이스는 재즈음악계의 저명하고 유력한 서니 롤린, 존 스코필드, 베니 골슨, 로이 헤인스, 크리스 포터, 알 포스터, 조 헨덜슨, 버스터 윌리엄스, 아트 파머 와 조슈아 레드맨 과 연주한바 있다.
뉴욕에서 출생하였으며, 코넥티컷 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는 6세에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17세에는 바리톤 색소폰 연주자 닉 브릭놀라 와 연주를 했다. 뉴욕 맨하탄 음대출신이며 할퍼 형제와 미국, 일본, 유럽을 투어를 한바 있다. 그는 미국 또한 해외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신예원 Yeah-Won Shin │ Vocal
신예원은 보컬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는 이례적인 최고의 장학금을 받으며 2004년 뉴욕의 New School University에 입학했다. 2006년 11월, New School Performance Center에서 열린 그녀의 리사이틀에서 재즈 작곡가로 변신하여 New School의 교수진과 학생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유학 전 신예원은 동덕여대 실용음악과에 재학하며 G3 Concert, 유희열의 ‘토이’ 공연 등의 코러스로 활동했다. 2002년 1집 앨범 ‘Lovely'발표하였고 이승환의 '사랑하나요', 김진표의 '유난히', 윤상의 '근심가', 영화음악 'B형 남자친구' 녹음에도 참여하였으며 노영심 음악회의 객원 가수로 활동을 하기도 했다. 현재 뉴욕의 재능있는 젊은 뮤지션들이 촉망하는 보컬리스트로 떠오르고 있으며, 최고의 색소포니스트 빌리 하퍼의 메인 보컬리스트로 뉴욕 재즈무대에서 활약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