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ㅁ [이슈] 최근 일각에서 중국 부동산시장에 대한 우려와 함께 과거 일본이 경험한
대차대조표 불황 진입 가능성에 대한 의견이 제기(Nomura)
※ 대차대조표 불황(Balance sheet recession)이란 자산가격 하락으로 부채 부담이 커진 가계와 기업이
이전보다 부채 상환 및 축소에 집중함에 따라 소비 및 투자가 위축되어 나타나는 경기침체.
일본의 부동산 가격 거품 붕괴 이후 장기 경기침체가 대표적인 사례
중국 북경의 주택가격이 과거 일본의 부동산시장 거품 붕괴 직전 상황을 연상시킬 정도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그림1>
- 특히, 높은 청년 실업률 등 노동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줄어들면서
주택 수요도 함께 위축되어 현재의 주택가격이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
더욱이 중국정부의 완화적 통화정책에도 불구하고 `16년 이후 기업들의 차입 감소와
가계의 대출 조기상환 등은 과거 일본이 겪은 대차대조표 불황의 신호일 가능성에 주목<그림2>
- 대외교역을 통해 막대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중국 기업들이 차입을 줄이기 시작한 점에 대해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
• 과거 일본과 대만 등은 중국과 유사한 경제발전 단계에 위치했을 때
기업들이 사업확장을 위해 공격적으로 차입을 확대
ㅁ [평가] 주요 IB들은 일각에서 제기하는 중국의 대차대조표 불황 진입 가능성에 대한
주장에 대해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
(Bank of America, JPMorgan, Capital Economics 등)
무엇보다 중국 부동산 가격 추이는 과거 일본 부동산 가격 추이와 상이
- 특히, `17년 중반부터 `22년까지 중국 북경의 주택가격은 약 45% 상승하였고,
이에 대응되는 기간(`86년부터 `91년까지) 일본 대도시 주택가격은 약 150% 상승
- 일본 부동산 가격 거품형성 및 붕괴가 상업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발생한 점을 고려할 때
중국 상업용 부동산 가격 상승폭은 일본에 비해 작은 수준
• `10년과 `22년 사이에 중국 상업용 부동산 가격은 총 27.3% 상승(연평균 +1.02%)
또한, `22년 기준 중국의 도시화 비율은 65%로 `88년 일본의 도시화 비율(77%)을 하회하며
중국은 여전히 새로운 도시화 과정에서 주택 등 부동산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기대
중국 기업들의 차입 감소는 자발적 의사결정이 아니라 정부의 부채축소 정책 시행에 기인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일본과 같은 대차대조표 불황의 신호로 해석하기엔 다소 무리
- `15년부터 중국정부는 LGFV 부채 전환(`15~`18년), 그림자금융 규제(`16~`18년),
부동산 개발업체 레버리지 규제(`21년 이후) 등을 통해 기업들이 차입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
• 정부의 부채축소 정책이 시행되었던 시기에 기업의 GDP 대비 부채비율이 하락하였으나
이후 곧바로 다시 상승<그림3>
- 더욱이 과거 일본 기업들의 부채 축소는 부동산 거품 붕괴 직후가 아닌
`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현재 중국의 부채 축소 움직임 판단 및 비교에 어려움이 존재
• 일본기업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93년 144.9%를 정점으로 `04년 99.2%까지 하락<그림4>
한편, 최근 중국 가계들의 주택담보대출 조기 상환 움직임은 부채를 줄이려는 것 보다는
낮아진 신규 대출금리를 이용함으로써 이자비용을 줄이려는 데 주된 목적
- 중국 인민은행은 주택담보대출 금리 산정의 기준인 대출우대금리(5년물)를 지속적으로 인하
ㅁ [시사점] 중국의 대차대조표 불황 진입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부동산 경기 위축
우려가 확대될 경우 성장세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
중국 내 기업의 차입 축소 및 가계의 대출 조기상환 등은 주로 정부정책에 기인하기 때문에
중국경제가 대차대조표 불황에 진입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상황
- 민간 부문의 부채비율 뿐만 아니라 신규 은행대출 및 신용 규모 등 자금수요 추이를 추가 모니터링할 필요
다만, 중국 내 주요 도시의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부동산 경기지수도 코로나19 발병 당시
수준을 하회하는 등 부동산 경기위축을 시사<그림5,6>
- 중국 내 70개 주요 도시 중 기존주택 가격이 하락한 도시 비율이 급격히 상승<그림6>
주요 IB들이 중국의 `23년 경제성장률을 5% 이상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중국 부동산시장 전망 악화가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하면서
`23년 성장률 전망치를 7월에 이어 추가 하향 조정(JPMorgan: 5.0% → 4.8%, Barclays: 4.7% → 4.2%)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