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 생태계에서 정점에 선 동물을 논하면
각 생태계마다 다르겠지만
역시 범고래를 빼놓을수 없다.
범고래의 영명은 Killer whale과 Orca인데,
이 Killer whale이 이름에 포함된 또 다른 동물이 존재한다.

가짜 범고래란 뜻을 지닌 False killer whale은 한국에서 '범고래붙이' 또는 '흑범고래'로 불린다.
'가짜범고래'라는 이름처럼 생김새는 범고래와 그리 닮은것 같지 않지만 두개골을 보면 은근 비슷하다.

사실 False killer whale이란 이름은 이 두개골의 유사함때문에 붙여졌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흑범고래는 유전적으로 큰코돌고래쪽에 가까우며 범고래와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있는 종이다.
1.크기

평균적으로 길이가 4.9m로 범고래와 달리 호리호리한 몸을 지녔다.
암컷은 최대 5m에 1.2톤까지 자라고 수컷은 최대 6m에 2.2톤에 이를 정도지만 암수 모두 평균적으로 비교해보면 거의 비슷한 크기다.
범고래에 비하면 크기가 아성체 수준이지만 이정도 크기면 포식자로서는 충분하다.
2.먹이

범고래라는 이름을 가진것처럼 흑범고래들도 꽤 뛰어난 포식자에 속한다.
대개 어류와 두족류(오징어 같은 동물들)를 주식으로 삼는데, 어류들중 큰 종인 다랑어를 주로 노린다.

자신들보다 작은 상어들을 사냥하는걸로도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드론에 상어를 잡아먹는 모습이 관측된적이 있다.
사냥모습을 보면 범고래처럼 상어를 추격해서 뒤집어 사냥하는것 같다.
태평양 동부에 사는 무리들은 작은 돌고래들도 사냥한다. 기록상으로는 향유고래와 혹등고래를 공격한 사례도 존재하는데, 사냥하기 위해서인지 단순히 유희로 괴롭히기 위해서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3.생활양식
위의 내용까지 살펴보면 이거 완전 범고래2 아닌가 생각할수도 있지만
흑범고래들은 범고래와는 생김새 뿐만 아니라 생활양식도 차별화된다.

범고래의 무리가 많으면 30-40마리 정도인것에 비해서 흑범고래들은 많으면 500마리에 이르는 대규모 무리를 형성한다.

범고래가 다른 돌고래류를 사냥하는것과 달리 흑범고래들은 병코돌고래나 거두고래(pilot whale), 난쟁이 범고래 같은 돌고래류 동물들과도 무리를 이루어서 같이 사냥하고 심지어 짝짓기를 시도한다.(무려 동성애도 존재함.)

간혹 암컷 병코돌고래와 수컷 흑범고래 사이에서 홀핀이라는 잡종이 탄생하는데, 야생에서도 관측된 기록이 있다.

범고래라는 이름을 가진 동물답게 적수가 없어보이지만 '진짜' 범고래들은 흑범고래를 사냥하는 천적이다.
백상아리나 뱀상어처럼 큰 상어들도 흑범고래에게 충분히 위협적일거라고 추정되지만 실제 이들이 조우할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기록된바가 없다.
(서식지역은 겹치는데 관측된 사례가 없는듯.)
5.인간과 관계

흑범고래도 범고래처럼 포획되어 수족관에 전시되는데,
적응력이 좋아서 수족관에 잘 적응하며 병코돌고래와 합사하거나 훈련시킬수도 있다.
오늘날 포경에 대한 비판여론과 금지가 확산되면서 흑범고래를 인간이 직접 사냥하는 경우는 드물다.(일본이랑 몇몇 불법적인 포경 빼고)
허나 인간의 그물과 낚시바늘은 흑범고래를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주요원인인데, 그물에 걸려 익사하거나 낚시바늘을 삼켜서 많은 흑범고래들이 죽음에 이른다.

흑범고래도 범고래처럼 포획되어 수족관에 전시되는데,
적응력이 좋아서 수족관에 잘 적응하며 병코돌고래와 합사하거나 훈련시킬수도 있다.
오늘날 포경에 대한 비판여론과 금지가 확산되면서 흑범고래를 인간이 직접 사냥하는 경우는 드물다.(일본이랑 몇몇 불법적인 포경 빼고)
허나 인간의 그물과 낚시바늘은 흑범고래를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주요원인인데, 그물에 걸려 익사하거나 낚시바늘을 삼켜서 많은 흑범고래들이 죽음에 이른다.

거기다 인간의 어획량은 그 어느시대보다 증가해서 흑범고래가 먹이로 삼는 어족자원들이 바다에서 줄어들고 있다.
뿐만 아니라 흑범고래는 먹이사슬에서 최상위에 속하는 종이라서 중금속과 화학물질이 체내에 축적되고 있는데, 이런 간접적인 영향들이 모여 흑범고래의 생존에 점차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나마 희망적인 이야기를 하면
어획으로 어족의 씨가 마르는걸 막기위해 인간은 쿼터제를 도입하고 다른 동물들이 걸리지 않는 그물을 도입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 환경규제를 통해 해양오염을 점차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서 이런 노력들이 지속된다면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수 있을지도 모른다
첫댓글 왜 애 이름을 저렇게 지었댜 내 이름이 가짜김영희면 너무 속상하잖아
그러네! 여시말들으니까 그러네! 생각못했는데 여시생각이 따숩고 귀엽다
무서워... ㅅㅂ
재질 🌈존💖㉯😊 디지몬
헤엑 너 이빨이 왜그래
뭔가 까맣고 이빨이 보여서 그런지 좀 무섭다 ㅋㅋㅋㅋ건강하게 살았으면...
우와 돌고래 무리를 이루고 다니는건 흥미롭다
가짜 진짜가 어딨어! 넘해
와 500마리 무리... 진짜 상상도 안 된다
귀여워 ㅠㅠㅠㅠ 근데 수족관에 잘 적응한다는거 넘 인간 중심적인 생각인듯...
222 나도 이해가 안가서 계속 읽음.. ㅠ
33 나도.. 걍 죽지않으니 잘 적응한다 하는거 아냐..?
인간이 여기서 제일 나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