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의 및 합의 결과
1. 이름을 바꾸자.
치료적 맞춤운동 연구소
인체 부정렬 연구소
치료적 부정렬 연구소
신체 정렬운동 연구소 등
- 단순히 인체의 부정렬만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적 대안을 주자는 의미에서 "치료적 맞춤운동 연구소"가 더 적합하다라는 의견이 3:2상황임.
2. 목적을 제대로 세우자
- 아직 완성하지 못한 공부의 지속을 위해
- 책 저술, 치료적 물리치료 장비 개발 등
- 연구소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토의를 통해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3. 연구소 멤버에 대한 토의
- 지금 공부하고 있는 멤버(과장 문형철, 레지던트 3년차 이성용, 2년차 나원민, 이승희, 1년차 장은하, 인턴 임나라)에 물리치료사(새 병원 1인)을 추가, 가능하다면 양방재활의학과 전문의, 양방 정형외과전문의 영입하여 총 9명으로 출발
- 연구소의 외연은 목적의 확대에 따라 확장될 수 있으나 지금은 위 멤버정도로 출발하자.
4. 컨퍼런스 횟수
- 1주일에 1회, 2주에 1-2회
- 필요에 따라 좀더 자주하고, 방학도 갖고..
5. 목표
1) 인체부정렬의 패턴이해
2) 간단한 자세분석법 완성
3) 치료적 운동처방 완성
4) 각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법 완성
5) 운동치료 장비, 검사장비 등의 이용법 공부
6) MT(도수치료) 스킬 업데이트
- -> 인체 부정렬 패턴파악 -> 임상에서 흔한 인체부정렬 명명(규정) -> 환자의 자가 테스트, 의료인의 테스트, 기구를 이용한 테스트로 나누어 검사법 정리 -> 규정된 부정렬상태에서 유발되는 흔한 질병파악, 문제해결(근육이완, 근력강화, 기타) -> 치료적 맞춤운동 만들기 -> 체조, 춤처럼 재미있게 변형시키기
6. 연구소의 위치
- 새로 오픈하는 병원
- 이유는 검사 장비, 치료장비가 있기 때문
7. 연구소의 세부 분과
1) 연구분과
2) 응용분과
3) 알림분과
8. 기타
-
"치료적 맞춤운동 연구소" 만들기 기획안
1. 서론
안녕하십니까?
치료적 맞춤운동 연구소 기획자 문형철입니다. 인체의 부정렬이 의학 연구의 범주로 들어온지가 어언 20년이 넘었습니다. 현대인이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내는 컴퓨터하는 자세, 운전하는 자세, 공부하는 자세를 생각해보면 인체는 500만년 동안 진화해 자세와 움직임 등 진화동작에 심각한 역행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결과 인체의 부정렬은 더욱 심해져 평발, 휜다리, 척추 측만증, 거북목증후군 등이 늘어나 근골격계질환의 근본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 동작을 마지막으로 한 것은 언제입니까?
철봉 매달리기
손과 무릎으로 기기
어깨위로, 어깨 아래로 공던지기
나무 오르기
어깨를 사용해서 팔돌리기
10킬로 이상 나가는 물체 양손으로 들어올리기
바위를 기어 올라가기, 내려가기
낙엽쓸기나 풀베기
무거운 물체 잡아당기기
양손으로 방망이 휘두르기
양손에 5킬로 이상들고 운반하기(farmer's work)
팔과 손으로 강하게 치기
한발로 균형잡기
한번에 계단 하나이상 올라가기 내려가기
춤추기
몇년동안 한번도 하지 않은 동작이 있을 것입니다. 500만년 동안 진화속에서 얻어진 인체의 관절이 고유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사는 시대입니다. 동작을 잃어버린 관절은 기능을 잃고 통증을 유발합니다. 동작과 기능 상실과 인체의 부정렬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첫째, 상부교차 증후군입니다. 거북목처럼 목이 앞으로 빠져나오면서 대흉근, 소흉근이 짧아지고 중하부 승모근이 약화되는 패턴입니다. 흔히 round shoulder(둥근어깨패턴)이라고 합니다. 하루종일 컴퓨터, 운전에 노출된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동일한 문제패턴입니다. 이 문제패턴의 해결은 간단합니다(진화순응 균형운동법 참조).
둘째, 하부교차증후군입니다. 복근이 약해 복부가 앞으로 빠져 나오면서 척추기립근, 장요근이 짧아지고 복직근, 복사근이 약화되는 패턴입니다. 하루종일 좌식생활을 하면서 운동부족으로 복근이 약화되면서 나타나는 문제패턴입니다. 이 문제패턴의 해결도 간단합니다(진화순응 균형운동법 참조).
셋째, 우측흉추 변형 측만증입니다. 척추 측만증은 70% 이상(제가 관찰한 바로는 거의 대부분 즉 90%이상)이 우측흉추 변형 측만증입니다. 측만증의 문제는 쉽사리 해결되지 않는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적 문제입니다.
넷째, 골반변형의 패턴입니다. 골반변형은 척추의 문제와 족부(슬부, 고관절)문제의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그래서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적 문제입니다.
다섯째, 슬관절 내반슬(O다리 변형)입니다. 아래서 언급
여섯째, 족관절 과회내 패턴입니다. 인체가 보행을 정상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족궁을 유지해야 하는데, 연구에 의하면 전체 인류의 45%가 보행시 한쪽 족궁이 무너진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보행시 좌측족궁이 무너지면 좌측 족저근막, 아킬레스 건, 비복근 등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집니다. 슬개골은 내측 염전되고, 고관절은 내회전되면서 골반이 하강하는 일련의 인체부정렬을 유발합니다. 슬개골 내측, 하강된 골반, 하강된 골반쪽의 허리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서 족저근막염, 아킬레스 건염, 무릎관절염, 이상근 증후군, 허리디스크 등이 유발될 위험성이 커지는 것입니다.
민족마다 인체의 부정렬은 매우 다릅니다. 한국과 같이 좌식문화가 발달한 민족과 서구사회의 의자문화가 발달한 민족의 인체정렬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인은 내반슬(O다리 변형)이 많고, 서구인은 외반슬(X다리 변형)이 많습니다. 내반슬 변형은 고관절 내회전을 유발하고 고관절 내회전은 골반의 전방경사를 유발합니다. 골반의 전방경사는 허리를 약하게 만들고 허리디스크, 만성 요통의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인체의 부정렬을 연구하고, 진화에 순응하는 운동을 찾아 맞춤운동을 보급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책소개 코너
-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 근육평가를 통한 자세교정 및 통증치료, 부정렬 증후군, 최신 근에너지기법,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테이핑 & 근이완 자극요법, 근력트레이닝과 컨디셔닝, 달리기와 부상의 비밀 등
# FEBE자세 분석법. For adaptating evolution balance exercise posture analysis
진화에 순응하는 균형운동을 위한 자세 분석.
여기서 진화에 순응한다는 것은 다른 표현으로 인체의 가장 이상적인 정렬이라는 의미다. 즉 "인체의 이상적인 정렬을 위한 균형운동을 위한 자세분석법"이라는 의미다.
여러가지 방향으로 접근해볼 수 있다.
1. 부정렬 증후군
2. 논문
3. 도제식 교육에 참가
우선 부정렬 증후군,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에서 자세역학, 캔달책, 최신근에너지기법 등의 책을 통해 정리하고, 이미 찾아놓은 논문으로 검증해가고...
또 하나의 문제는 인체부정렬의 패턴을 단순화하는 문제다. 너무 복잡한 이해는 의미가 임상에서 의미가 없기 때문에 교과서적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인체부정렬을 연구할 필요는 없다. 몇가지 정리된 인체부정렬패턴을 정리해내고 그것에 대한 검사, 진단, 심한정도판단 그리고 그것의 routine 치료법을 정리해내는 일이 중요하다.
1. 상지교차증후군 패턴(Round shoulder)
1) 정의 : 흉추가 과후만되고 대(소)흉근이 단축되고 중하승모근, 능형근 등 등근육이 약화되어 어깨가 둥글게 말린 상태
2) 검사방법
가. x-ray로 흉추 과후만 상태(거북목상태)
나. 대(소)흉근 단축검사 -> 만세검사
- 반듯이 누워 어깨가 바닥에서 떨어진 높이 측정
- 누운상태에서 만세를 하여 대흉근 단축 상태 측정
다. 옆에서 보는 추선검사
2. 요부전만 패턴(골반전방경사) 하지교차증후군패턴
1) 정의 : 골반이 전방경사, 요추가 과전만된 상태로 척추기립근이 단축되고, 복근이 약화되어 허리가 과전만 된 하지교차증후군 상태
2) 검사방법
가. x-ray로 요추 과전만상태 측정
나. 다리내리기 검사로 복근의 근력 측정
다. 골반전방경사 각도측정(30도이상)
3. 요부후만 패턴(골반 후방경사)
1) 정의 : 골반이 후방경사, 요추가 일자 또는 후만된 상태로 ..........
2) 검사방법
가. x-ray로 요추 후만상태 측정
나. 골반후방경사 각도 측정
4. 척추측만증 패턴
1) 정의 : 척추가 s자 또는 c자로 틀어진 상태
2) 검사방법
가. x-ray로 cobb's angle측정
나. 어깨 높이, 골반높이 측정
- angulometer로 측정
다. 흉요추 굴곡으로 측만 측정
라. 내외복사근 근력 검사
5. 골반측굴(pelvic tilt) 패턴
1) 정의 : 골반의 한쪽이 내려가거나 올라간 상태
2) 검사방법
가. x-ray로 골반의 측굴관찰, 요추회전관찰
나. 골반높이 측정
6. 고관절 내회전 패턴
1) 정의 : 고관절 내회전 상태
2) 검사방법
엎드려 무릎붙이고 다리 벌리기 ...
6-1. 고관절 외회전 패턴
7. 내반슬 패턴(슬개골내측 염전)
1) 정의 : 경골 내회전, 슬부사이가 떨어지고, 고관절 내회전이 되는 상태
2) 검사방법
- 양측 슬부사이 거리를 측정하여 1등급 2.5cm이하, 2등급 2.5-5, 3등급 5-7.5, 4등급 7.5cm이상
- anatomical axis를 측정
7-1. 외반슬 패턴(슬개골 외측 염전)
8. 발목 과회내 패턴
1) 정의 : 거골하관절이 내측으로 염전되고 족궁이 무너진 상태
2) 검사방법
가. 족궁 지문 프린트법
나. 일자로 서기 검사법(아킬레스 건을 따라 선을 그은 뒤 양발로 서기)
다. 비디오로 촬영한 보행평가
9. 다리길이차 패턴
다리길이차이는 위의 인체부정렬 증후군의 결과물이다.
검사방법은 ..........
#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맞춤운동법
"진화순응균형운동법" 내가 만든 고유명사이다. 앞으로 내용은 앞으로 계속 진화할 것이다. 어쩌면 언젠가는 에고스큐 운동법, 메덱스 운동법, 브릴 운동법을 능가하는 운동법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인의 인체 불균형에 맞는 운동법일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좌식생활은 미국서적에서 제시되는 불균형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1. 유산소 운동
- 30분 빨리걷기 - 1시간 조깅
- 일주일 3-4회, 비만한 사람은 일주일에 1회 1시간 걷기
2. 진화에 순응하기 위한 기본근력운동
1) 철봉매달리기, 턱걸이
- 철봉매달리기는 20초, 턱걸이는 5-10개
2) 푸샵자세, 푸샵
- 푸샵자세는 20초, 푸샵은 10-30개
2)-1. 대(소)흉근 스트레칭
- 둥근어깨환자(rounded shoulder)에게 스트레칭은 가소성지점에서 20초 최소 3-4회 또는 매일.....
3) 불러운동, 프론 플라이
- 스포츠밴드를 이용한 등근육 강화 불러운동, 아령을 이용한 프론플라이
- 20회이상
4) 장요근 스트레칭
- 가소성지점에서 20초
- 특히 요부 과신전환자는 반드시
4)-1 척추기립근, 슬괵근 스트레칭
- 서서 하지 교차하고 허리숙이기, 가소성지점에서 20초 3-4회 매일
5) 복부크런치, 다리내리기, 윗몸일으키기
- 윗몸일으키기는 복근수축(골반후방경사)단계와 고관절 굴곡단계로 나뉨.
- 다리내리기는 하복근 운동, 복부크런치는 상복근 운동(요통환자)
- 20회 - 60회
6) 스쿼트, 파워스쿼트
- 20-30회
7) 하마 웃기.
-하마처럼 입을 벌리고, 복압을 상승시킬정도로 크게 10초간 웃기
7) 기타 각 관절의 문제에 맞는 운동처방
가. 둥근어깨(일자목, 경추과신전)
나. 일자허리(정상 또는 골반 후방경사), 요추과신전(골반 전방경사)
다. 고관절 외회전, 내회전
라. 슬관절(내반슬, 외반슬, 과신전) 슬개골 불안정(frog's eye, 사시성 눈)
마. 기능적 평발(과회내)
한번 운동시 3세트, 일주일에 3번 시행
기본적으로 운동처방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의료인이 되어야겠다.
지금 시행하는 운동처방의 순응도는 높지 않다. 순응도를 더 높여야 하는데....
위의 운동은 인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근육을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인체는 컴퓨터앞에서 진화에서 배운 동작을 잃어버리고 있다. 진화에 맞는 운동을 시행해야 한다.
# 논문 소개
- 카페 참조 & 지속적 업데이트...
2. 연구소 구성
- 이 분야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은 구성원이 될 수 있다. 한의사, 의사, 물리치료사, 운동처방사, 물리치료장비 판매업자 등
소장 : 000
연구분과
응용분과
알림분과
3. 연구소 운영 방안 및 원칙
- 철저한 연구조직으로 만들기
4. 장기적으로 나아갈 방향
- 연구소에 걸맞는 책 저술
- 연구결과를 응용할 수 있는 장비개발
- 연구소 구성원들의 위대한 승리
의견을 모아야 겠다...
panic bird......
첫댓글 주옥같은 글 잘보고 갑니다. 비슷한 고민을 체계적으로 하시는 군요. ^^
좀더 의견을 추가해주세요. 원격으로 연구소을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