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비행기에 소비되는 전류는 머리 아프게 알아서 뭐하냐고 묻는 분들이 계시는데.........
소비전류가 높은 디지털 하이토크 서보를 많이 사용하는 현 실정에서 자신의 기체에 소비전류는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만 스위치나 연장선등을 선택할 수 있고 배터리의 충전용량, 방전율, 충전당 비행횟수
등을 정하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헬기,비행기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알려면 각 한개의 서보가 소비하는 전류를 알면 계산이 됩니다.
아래는 일본의 미야다라는 유저가 자신의 방식대로 하이텍, JR, 후타바, KO PROPO사의 소형,표준형,
대형서보의 토크와 최대소비 전류를 6V, 30A의 안정화 전원을 소스로 측정한 자료입니다.


하이텍의 홈페이지 기술자료실에 공개된 HS-5945MG의 자료는 아래와 같다고 밝혀
Idle current : 3mA 대기 상태로 움직이지 않을때
Running current : 280mA 무부하 상태에서 움직일때
Stall current : 2400mA 최대 부하시
위 실험 결과치와 근사합니다.
띠라서 위의 자료로 헬기의 소비전류를 자이로(70mA) 포함 5개의 서보로 가정, 계산하면
무부하 운전 : 280mA X 5 EA = 1400mA = 1.4 A
최대부하 운전 : 2.24 A X 5 EA = 11.2 A
물론 5개 채널 모두에 최대 부하가 걸릴 확률은 극히 희박하고 평균 30% ~ 50% 범위로 사용되며
호버링 및 가벼운 플라잉에는 약 1~2A, 3D등 과격한 기동에는 약 3~4A 전후의 전류가 측정되고
순간 피크치는 10A에 근접한다고 합니다. 여러 사용자의 의견, 배터리의 용량, 비행시간, 비행횟수,
효율등 모든 자료를 취합한 계산치로는 서보 5개를 합쳐 평균 2000mA(2A)의 전류가 흐릅니다.
따라서 스위치나 전원부는 이를 감안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배선재가 되어야 합니다.

위의 표는 AWG(American Wire Gauge)표준 규격으로 서보 배선재는 #22 전,후 그리고 대형스위치,
배터리 리드선등 메인전원 배선재는 #20 전,후의 규격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허용전류(안전전류)는 약 5A~10A가 됩니다. 다만 이 전류값은 전선만의 허용전류가 되고
커넥터나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따라 결과치는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의 충,방전시는 비교적 큰 전류를 장시간 일정하게 흘리게 됨으로 위에 설명한 커넥터
부위의 접점상태나 오염여부에 따라 예상치 못한 전선부의 발열을 초래하고 누적된 열에 피복이 녹아
합선사고도 일어날 수 있으니 가능하면 규정치 이내의 전류로 사용하고 커넥터나 스위치의 청결상태,
접점상태등 관리에 신경을 써야합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3000~4000mA 의 수소 배터리를 1C 충,방전(3~4A)사용에 전선이 녹거나
커넥터가 열로 변형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여러 조건을 감안하여 안전율을 적용한다면 그값은
대략 0.5~0.8C 정도가 적당할것입니다.
* 특히 스위치는 진동등으로 인해 접점의 경련변화가 심한 편인데 수시로 배터리 단자에서 직접
측정한 전압과 스위치를 경유한 전압을 측정 비교하여 전압강하가 발견되면 즉시 교체하도록
합니다.
첫댓글 전 스윗치부터 대용량으로 밧데리 접속은 딘스로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