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 세미나 4차시. 발제 김현근]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총서 8
<마오쩌둥 주요 문선> 모택동 저, 이등연 역, 학고방, 2018.
신민주주의론(1940년 1월)
구삼민주의와 신삼민주의
[공산당의 정치적 기초] 공산당은 ‘삼민주의를 항일 민족통일전선을 삼는다. 삼민주의는 쑨원 선생이 ’중국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선언 중에서 새로 해석한 삼민주의다. 이 선언은 삼민주의를 역사적으로 두 시기로 구분, 선언 이전의 삼민주의는 반(半)식민지 자산계급민주혁명의 삼민주의이고 선언 이후의 삼민주의는 새로운 시기의 혁명적 삼민주의, 즉 신삼민주의이다.
[신삼민주의의 3대 정책] 신삼민주의는 소련과 연합하고[煙蘇] 공산당과 연합하여[聯共] 농민・노동자를 돕는다[扶助農工]는 3대 정책의 삼민주의다. 현재 상황으로 보아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과 연합하지 않으면 제국주의와 연합할 수밖에 없는데, 식민지 지배 세력인 제국주의와 투쟁하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그들과 연합하는 것은 ’혁명적 삼민주의‘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또한 신삼주의는 공산당과 연합해야 한다. 백성들이 공산당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공산당과 연합하지 않고서 삼민주의를 실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나아가 농민・노동자 정책을 갖춰야 한다. 중국 인구의 80% 이상이 농민인 현실에서 농민문제는 중국혁명의 근본문제이고 농민은 중국혁명의 주요 역량이다. 또한 노동자는 산업경제의 생산자이며 혁명성이 가장 풍부하며 중국혁명의 영도자이다. 따라서 농민・노동자 정책은 기본적일 수밖에 없다.
[신삼민주의와 쑨원] 3대 정책의 삼민주의는 구삼민주의가 발전된 형태. 이는 쑨원 선생의 공로이자 중국혁명이 사회주의 세계혁명의 일부분이 되는 시대의 산물. 1924년 국민당 개각 이전의 구삼민주의는 한계에 봉착하는데, 쑨원은 그것을 간파하고 소련과 중국공산당의 도움을 얻어 삼민주의를 다시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역사적 특성을 지니게 했고, 이로써 삼민주의와 공산주의의 통일전선을 마련하고 제1차 국공합작을 성립시켜 전국 인민의 지지와 성원을 획득한 결과, 1924년에서 1927년에 이르는 혁명을 수행.
신민주주의 문화
[중국의 반동문화] 일정한 문화는 어떤 일정한 사회의 정치・경제의 관념 형태로서의 반영인데, 중국에는 두 가지 반동문화가 있다. 우선 제국주의 문화는 제국주의가 중국을 정치적・경제적으로 통치 또는 반(半)통치하는 것의 반영이고, 반(半)봉건문화는 반(半)봉건 정치와 경제를 반영한 것. 제국주의 문화와 반봉건문화는 대단히 친숙한 형제로서, 그들은 문화적 반동동맹을 결성하여 중국의 신문화에 반대하는데, 이는 제국주의와 봉건계급을 위해 복무하므로 당연히 타도해야 할 대상이다.
[신문화의 개념] 신문화란 관념 형태에 새로운 정치・경제가 반영된 것으로서, 새로운 정치・경제를 위해 복무[영향]. 자본주의 경제 발생으로 중국은 반(半)봉건사회로 변화, 자산계급・소자산계급과 무산계급의 새로운 정치역량이 형성됨. 이러한 새로운 경제와 새로운 정치역량이 관념형태로 반영되어 그것을 위해 복무하는 것이 신문화.
중국의 낡은 정치・낡은 경제・낡은 문화는 중국 내에서 형성된 반(半)봉건적 정치・경제・문화와 제국주의적 정치・경제・문화가 결합된 것. 중국 사회의 신・구 투쟁은 인민대중이라는 새로운 세력과 제국주의 및 봉건계급의 구세력 사이의 투쟁으로, 아편전쟁으로부터 100년에 걸치는 투쟁은 앞 80년은 낡은 범주의 자산계급민주혁명이고, 뒤 20년은 새로운 범주의 자산계급민주혁명.
중국 문화혁명의 역사적 특징
[중국 문화전선의 두 시기] 중국의 문화 전선은 5・4운동을 기점으로 두 시기로 구분.
① 5・4운동 이전
자산계급의 신문화와 봉건계급의 구문화 사이의 투쟁의 시기. 학교・신학・서학이라는 것들은 기본적으로 자산계급 대표들이 필요로 하는 자연과학과 자산계급의 정치사회학설. 그러나 구자산계급의 신문화는 제국주의 시대에 외국 제국주의 노예사상과 중국 봉건주의 복고사상의 반동동맹의 타격과 부패로 실패.
② 5・4운동 이후
이 시기에는 중국 공산당원들이 이끄는 공산주의적 문화사상, 즉 공산주의적 세계관과 혁명론에 입각한 새로운 문화주력군이 탄생. 이들은 제국주의 문화・봉건주의 문화에 대항하여 사회과학 영역과 문화예술 영역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는데 루쉰[魯迅]이 대표적인 인물.
[신민주주의 문화의 성격] 5・4운동 이전의 중국의 신문화는 세계자산계급자본주의 문화혁명 일부분에 속하고, 이후는 세계 무산계급 사회주의 문화혁명 일부분에 속한다. 신민주주의 문화는 인민대중의 반제・반봉건문화이며 항일통일전선의 문화로서 공산주의 사상으로 무장한 무산계급이 영도하는 문화.
[문화혁명 통일전선의 네 시기] 문화혁명의 통일전선은 네 시기로 구분.
① 제1기[1919~1921] 5・4운동에서 중국공산당 성립 시기까지로 5・4운동이 중요한 지표. 이 운동은 철저하고 비타협적인 반제국주의와 반봉건주의를 내세웠는데, 이는 중국 자본주의의 발전, 3대 제국주의 붕괴, 러시아 무산계급의 사회주의 국가 건설 및 여타 나라에서의 무산계급 혁명의 영향때문. 그러나 5・4운동은 공산주의적 지식인과 혁명적 소자산계급 지식인, 자산계급 지식인이 통일전선을 이루었지만, 지식인들에게만 국한된 채 노동자・농민 등이 참가하지 않음. 또한 철저히 봉건문화를 반대하고 ’평민문학‘을 구호로 내세웠지만 시민계급 지식분자에 국한되었으며, 중국공산당 창건과 북벌전쟁으로 이어졌으나 자산계급지식인들은 두 번째 시기가 다가오자 적과 타협하여 반동적 방향으로 돌아섬.
② 제2기[1921~1927] 중국공산당 창립과 5・30운동, 북벌전쟁 등이 지표. 5・4운동 시기 세 계급의 통일전선을 유지하면서 농민계급의 참여하는 통일전선 형성, 제1차 국공합작. 쑨원이 3대 혁명정책을 제시하며 삼민주의를 새롭게 해석하여 수립한 신삼민주의는 국・공 양당과 각 혁명계급의 통일전선에 그 정치적 기초를 두었으며, 이는 무산계급・농민계급・도시소자산계급・자산계급의 통일전선이었음. 그리하여 반제・반봉건을 내용으로 하는 신문학과 백화문(白話文을 제창하고, 광둥전쟁과 북벌전쟁 과정에서는 처음을 중국 군대에 반제・반봉건사상을 주입해 개조시킴.
③ 제3기[1927~1937] 새로운 혁명 시기. 대자산계급과 민족자산계급은 제국주의와 봉건세력의 진영으로 넘어가고, 통일전선도 무산계급・농민계급・소자산계급으로 축소되어 중국공산당이 단독으로 혁명 영도. 군사・문화 양면의 반혁명적인 ’포위토벌‘이 진행되고, 혁명은 농촌혁명[1927년 토지혁명전쟁]과 문화혁명 등으로 심화됨. 군사적 포위토벌의 결과로 홍군(紅軍)이 항일에 나서게 되고, 문화적 포위토벌로 인해 ’12・9운동’이라는 청년혁명운동 폭발, 결국 포위토벌의 결과로 나타난 것은 전국 인민의 각성.
이 시기 인민대중은 반제・반봉건의 신민주주의와 신삼민주의를 견지하고, 반혁명 방면에서는 제국주의 지휘 아래 지주계급과 대자산계급이 연합한 전제주의 진행됨. 이러한 전제주의는 정치적・문화적으로 쑨원의 3대 정책이나 신삼민주의를 중도 포기함으로써 중화민족에게 심대한 재난 초래.
④ 제4기[1937~현재] 오늘날의 항쟁 시기. 네 계급-상층계급으로 많은 통치자, 중간계급으로 민족자산계급과 소자산계급, 하층계급으로 모든 무산자-을 포함하는 계급의 통일전선이 이루어져 일본 제국주의에 대해 항거. 하지만 일부 대자산계급은 적에게 투항하고, 문화면에서는 반동세력이 등장하고 언론출판의 부자유가 나타남.
문화의 성격문제에서의 편향성
[신민주주의 문화의 성격①] 자산계급 완고파 정치의 출발점은 자산계급 전제주의이며, 문화에서도 자산계급 문화전제주의. 그러나 신민주주의 정치・경제・문화는 모두 무산계급이 영도하기 때문에 사회주의적 요소를 지니며, 이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현 단계 혁명의 기본 임무는 외국 제국주의와 국내 봉건주의를 반대하는 자산계급 민주주의 혁명이지 자본주의 타도를 목표로 삼는 사회주의 혁명이 아님. 즉, 현재 중국혁명은 세계 무산계급 사회주의 혁명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중국의 신문화 역시 무산계급 사회주의 문화사상이 영도하는 반제・반봉건적 신민주주의 문화의 일부분이며 동맹군임.
민족적・과학적・대중적 문화
[신민주주의 문화의 성격②] 신민주주의 문화는 제국주의의 압박을 반대하고 중화민족의 존엄과 독립을 주장한다는 면에서 민족적임. 그것은 모든 민족들의 사회주의 문화 및 신민주주의 문화와 연합하여 상호 흡수하고 상호 발전하는 관계를 수립, 세계의 신문화를 형성한다. 민족적 형식, 신민주주의적 내용이 중국의 신문화.
또한 신민주주의 문화는 과학적임. 일체의 봉건사상과 미신사상을 반대하고 실사구시를 주장하며, 객관적 진리를 주장하고, 이론과 실천의 일치를 주장함. 이러한 점에서 중국 무산계급의 과학적 사상은 진보성을 지닌 자산계급 유물론자 및 자연과학자와 더불어 반제・반봉건・반미신의 통일전선을 건립할 수 있음.
나아가 신민주주의 문화는 대중적이며 민주적임. 그것은 전 민족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노동자・농민 등 근로민중에 봉사해야 하며, 또한 혁명적 문화는 인민 대중에게 혁명 전에는 혁명을 위한 사상적 준비이고 혁명 중에는 중요한 전선이기에 유력한 혁명의 무기임. 따라서 혁명적 문화의 무한하고 풍부한 원천인 민중을 위해 문자를 반드시 개혁하고, 언어도 반드시 그들에 맞게 접근시켜야 한다.
민족적・과학적・대중적 문화는 인민 대중의 반제・반봉건문화이고, 신민주주의 문화이며, 중국민족의 신문화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