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시 : 2023. 7. 30(일)
◇ 산행장소 : 기산봉 - 군관봉(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 산행코스 : 부안댐 주차장 - 직소천 안전교육센터 - 직소교 - 벼락폭포(back) - 벼락폭포 입구 - 암릉
- 벼락폭포 상단 - 군관봉 3거리 - 기산봉(back) - 군관봉 - 댐(무넘이) - 마상봉 - 부안댐 망향탑
- 군막교 - 주차장
◇ 거리 및 시간 : 10.22km, 4시간 9분
☆부안댐
부안댐(扶安dam)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위치해 있는 다목적댐으로 1990년 2월에 착공하여 1996년 12월에 완공되었다.
댐 규모는 높이 50m, 길이 282m이며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 일대에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를 공급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부속 시설로는 한국 수자원공사 부안댐지사와 부안댐 물문화관이 있다. - 위키백과
☆벼락폭포의 유래
비가와서 부안댐에 수량이 많아지면 벼락처럼 생겼다하여 “벼락폭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 안내간판
☆벼락폭포 & 군관봉 등로찾기
군관봉 산행은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 잼버리’(2023. 8. 1~8.12) 관련 ‘직소천 잼버리 탐방로’를 조성하면서 기존의 희미한 등로마저 찾기 어렵게 되었으니 독도에 상당히 신경을 써야 하겠다.
1. 지금은 직소천을 가로지르는 ‘직소천 잼버리 탐방로’(위, 아래 어느쪽을 선택해도 마찬가지) 데크길이 조성되어 있어 기존의 아래쪽 보나 직소교 다리까지 갈 필요가 없다. 그쪽으로 가면 등로를 찾기 어렵다.
‘직소천 잼버리 탐방로’를 따라가다가 벼락폭포 입구 암릉에서 계곡 물길을 따라서 7~8분 진행하면 벼락폭포가 나온다.
2. 뒤돌아 나와 벼락폭포 입구에서 암릉을 타고 바로 오르면 거리도 짧아지고 조망도 좋다. 다만 암릉을 통해서 벼락폭포 상단부로 올라가는 구간은 아무런 안전장치가 없으니 비가 오거나 바위가 젖어있으면 우회하여야 한다.
3. 암릉을 우회하는 코스는 ‘직소천 잼버리 탐방로’ 아래쪽 탐방로로 직소천을 건넌 다음 왼쪽으로 탐방로를 벗어나서 천변으로 10여 미터를 걸어가면 오른쪽 산으로 오르는 희미한 옛길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