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하나로 알고 있는 북쪽의 기준점은 진북, 자복, 도복 3가지가 있다. 진북은 자전상의 북쪽으로 사주 명리학의 기준으로 삼고, 자북은 지구 자력의 북쪽으로 풍수 패철의 기준으로 삼는다. 사람도 과일에도 자기장이 측정되고 있다.
지형도 아랫부분 난외주기란을 보면 방위표에 진북, 자북, 도북이라는 표시가 있는데 이것은 지역과 국가마다 도북과 자북이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표시한 것이다.
진북(眞北, true north)이란 언제나 변하지 않는 북쪽으로 북극성의 방향이며, 진북을 나타내는 기호는 ‘★’를 쓴다.
자북(磁北, magnetic north)이란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북쪽으로 북반구에 있는 캐나다 북쪽 허드슨 만 부근에 위치한 천연자력지대를 가리키며, 자력은 해마다 조금씩 이동하고 있다. 지구도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기 때문에 지구 둘레로 자기장이 만들어지며, 나침반의 바늘은 이 자기장을 따라 나란히 놓이게 된다. 이때 지구 자기장이 북쪽으로 모이는 곳이 허드슨 만이기 때문에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과 북극성 방향인 진북 사이에 편차가 생기는 것이다. 자북을 나타내는 기호는 반쪽 화살표(↿)이다.
도북(圖北, grid north)은 지도상의 북쪽으로 지도의 세로선 위쪽이 도북이다. 지형도에 있는 세로선은 모두 도북선이며, 기호는 화살표 ‘↑’다.
진북, 도북, 자북이 가리키는 세 가지 북쪽에는 각각 편차가 있습니다. 진북과 도북의 차이는 도편각이라 하고, 진북과 자북의 차이는 자편각이라 하며, 도북과 자북의 차이는 도자각이라고 합니다.
지도를 정치하거나 산길을 운행하면서 독도를 할 때 중요한 것은 도북(지도상의 세로선)과 자북(자침이 가리키는 곳)의 차이인 도자각입니다. 이 도자각은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오차를 수정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합니다.
(지역별 자북, 진북)
우리나라는 자북이 도북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5°30´~8°30´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처럼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지역을 서편각 지역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어느 지역의 서편각이 7°30´인 경우는 나침반의 자침이 도북을 기준으로 했을 때 서쪽으로 7°30´ 만큼 기울어져 가리키고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도를 보고 운행을 할 때는 도북과 자북 사이의 편차각을 수정한 것이 북쪽이 됩니다.
Tip 도북선 기준시의 오차 발생 편차각 수정 없이 도북선만 기준으로 해 운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차가 발생한다.
편차각이 1° 차이날 때 100m를 운행하면 서쪽으로 1.7m의 오차가 생기고, 1,000m의 거리를 운행하면 서쪽으로 17m의 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6° 차이일 때 1,000m를 운행하면 서쪽으로 102m의 오차가 발생한다.
"진짜의 북쪽" 일명 절대 변하지 않는 북쪽이라 부르기도 하며 "북극성"의 방향을 진북으로 결정한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로 기울어져 자전하는데 이때 자전축을 기준으로 가장 꼭대기 북쪽 방향이 진북 방향으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진북의 기호는 공통적으로 "★" 별 모양의 기호를 사용합니다.
자북
진북과 자북의 위치 그리고 "편차"
자북은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을 자북이라 말합니다. 진북은 아까 말했다시피 절대 변하지 않는 북쪽으로 고정적인 개념이지만 자북은 지구의 자기장 변동으로 상시 변합니다. 왜냐면 지구 내부의 외핵은 액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철과 니켈 등으로 이루어진 이들이 계속 순환하면서 유도전류를 생성해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북의 북쪽은 캐나다 북부 지역 허드슨만 부근 혹은 그 주변 인근을 북쪽으로 가리키지만 이마저도 매년 조금씩 이동하고 있습니다.
예시를 들자면 1980년대 서울과 부산의 편차는 서편차(West VAR) 약 6˚로 관측되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서편차 약 9˚로 바뀌었습니다. "편차"란 진북과 자북의 차이를 편차라 이야기 하는데 영어로 "Variation"이라 부릅니다. 항공업계에선 "진항로(True Course)"에서 편차를 계산해 "자항로(Magnetic Course)" 를 구한뒤 임무를 시작합니다.
자북은 중요합니다. 항공, 해운, 도로 등 거의 모든 일상생활에 자북을 중심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자북의 움직임은 실시간으로 감시되며 매년마다 관측해야됩니다.
인천공항 표준 접근 절차 차트의 편차 설명 (사진상 빨간색 네모)
위 사진은 인천공항의 STAR 표준 계기 접근 절차 차트입니다. 좌측 상단의 글씨를 해석하자면 공항의 표고는 Feet의 단위를 사용하고 거리는 Nautical Mile(해리)를 사용하며 그 아래 BRG(Bearing) 방향은 MAG(Magnetic) 자기(磁氣)방위를 사용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맨 아래에 VAR 9˚ W 라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인천공항의 위치는 진북과 자북의 차이가 서쪽으로 9도 벗어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문적으로 "서"편차 9도라 부르기도 합니다.
도북
간단하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종이 지도에서 그냥 위쪽을 가리키면 "도북"입니다. 아무것도 없습니다. 일반인들이 보기에 가장 편한 방법입니다. 옛날 전국 지도를 펼쳐보면 오른쪽 상단에 숫자 4가 적혀 있고 동, 서, 남, 북을 표시했었는데 4의 위쪽이 북쪽 즉, 그것을 도북이라 지칭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기실겁니다. "아 그래 진북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북쪽이라 했는데 도북도 그럼 가만히 있는 북쪽 아냐? 지도상의 북쪽이면 그게 진짜 북쪽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진북과 자북은 다른 개념입니다.
진북과 도북의 차이 진북과 도북의 차이
위 사진을 보면 True North와 Grid North의 위치가 조금 차이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이는 지구가 둥글고 기울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진북 파트에서 말씀드렸듯이 지구는 23.5도로 회전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북쪽을 진북이라 언급했는데 기울었으니 진북의 방향도 기운 방향을 가리킵니다.
하지만 도북은 그런거 없습니다. 둥근 지구를 평평하게 펼친 뒤, 그냥 위쪽 가리키면 북쪽인 것입니다. 도북은 둥근 지구를 평평하게 펼친 종이 지도에서 강제적으로 윗 방향을 북쪽으로 삼았으니 둥글고 기울어진 지구의 북쪽과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첫댓글 이글은 질문방에 있던 글을 스크랩한 것입니다. 이게 글의 내용이 누구나 보게해야하는 글인데 그렇게 안되어 있어 아무나 볼 수 있게 풀어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