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사무엘하 16:12) 아멘! 다윗이 그의 아들 압살롬에게 쫓겨 도망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사울 왕의 친족 중 한 사람인 시므이라는 사람이 쫓아오면서 다윗을 저주합니다. 이때 다윗 주위에 있는 사람 중 한 사람인 아비새가 그를 죽이겠다고 합니다. 이에 아비새를 말리면서 다윗이 하는 말이 오늘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그 저주 때문에 자기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실 것이라고 다윗은 말합니다. 다윗은 아들에게 쫓겨가면서 얼마나 원통했을까 싶습니다. 이미 감정은 상할대로 상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런 상태에서는 누가 건들기만 해도 짜증이 나고 화를 낼 만도 한데 다윗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좋은 말도 곡해하며 오해할 수 있는 그런 상황에서 다윗은 선을 베풉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면서 선을 베풉니다. 그런 다윗에게 하나님은 다시 그의 왕위를 회복시켜주셨습니다. 힘들 때 죄를 짓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그런 상황에서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시도록 선을 쌓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힘들고 어려울 때 하나님께서 회복해 주시고 선으로 갚으시도록 참고 견디며 선을 베푸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반드시 하나님께서 선으로 갚아주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다 보시고 계십니다.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도 그것을 회복시키실 수 있는 능력이 있으십니다.
그런데 힘들 때 선을 베푸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좋을 때도 누군가 저주하면 참기 어렵습니다. 하물며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누군가 저주를 한다면 그것은 도저히 참기 힘들 것입니다. 그런 상황이 되면 맞대어 싸우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복을 이어 받으려면 복 받을 행동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진정 하나님의 선하심을 보고 싶다면 선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은혜를 받고 싶다면 은혜를 베풀어야 합니다. “~ 나는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출애굽기 33:19절) 저주든 그 무엇이든 어려움을 만났을 때 하나님께서 선하게 갚으실 것을 기대하며 잘 참고 견디는, 나아가 도리어 선하게 행하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로 인해서 그 어려움 때문에 하나님께서 선으로 갚으시는 복을 받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샬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