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先入見(선입견)
서울신문 儒林(150) 에 先入見(먼저 선,들 입,볼 견)이 나온다.
先자는 발을 의미하는 止(그칠 지)아래 人(사람 인)을 쓴 글자로,본래 ‘발로 사람을 밟다.’라는 뜻이며 요즘 통용되는 ‘먼저’‘앞서다’는 파생된 뜻이다.
先자가 쓰인 성어에는 先見之明(선견지명:앞을 내다보는 밝은 지혜),先憂後樂(선우후락:국가의 안위를 걱정하는 지사의 마음 씀씀이를 이름)이 있다.
入자를 從來(종래)에는 끝이 뾰족하여 다른 물체를 뚫기에 용이한 사물의 상형,혹은 초목의 뿌리가 땅속으로 뻗어들어가는 모양 등의 異說(이설)이 분분하였다.
최근에는 갑골의 연구 성과에 따라 入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감을 표시하는 부호이며,‘들어가다’나 ‘들어오다’가 본래의 뜻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入자가 들어있는 성어에는 單刀直入(단도직입:여러 말을 할 것도 없이 바로 요점이나 본문제를 중심적으로 말함),四捨五入(사사오입:넷 이하는 버리고 다섯 이상은 반올림하는 계산법)이 있다.
見은 目(눈 목)과 人(사람 인)이 결합된 글자인데,人보다 目 부분을 크게 표기한 것으로 보아 ‘가까이 서서 눈으로 보다.’가 본 뜻으로 推定(추정)된다.
見자가 쓰인 성어로는 見物生心(견물생심: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갖고 싶은 욕심이 생김),見蚊拔劍(볼 견,모기 문,뽑을 발,칼 검:사소한 일에 크게 성내어 덤빔)이 있다.
先入見이란 ‘事物(사물)이나 事項(사항)에 대해 미리 접한 정보나 처음 접했을 때 가진 지식이 강력하게 작용,그들 대상에 대한 고정적이며 변화하기 어려운 評價(평가) 및 見解(견해)’를 말하며,미리 들은 말로 생각이 고정되어 새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한 故事(고사)는 다음과 같다.
漢(한)나라 哀帝(애제)때 息夫躬(식부궁)이라는 사람은 뛰어난 言辯(언변)과 社交術(사교술)로 한 시대를 風靡(풍미)하였다.
그는 애제를 親見(친견)한 자리에서 곧 있을 흉노의 侵攻(침공)에 대비,국경지역의 警戒(경계)태세를 강화해야 한다고 力說(역설)하였다.
식부궁의 주장에 眩惑(현혹될 현,미혹될 혹)된 애제는 이 문제를 승상 王嘉(왕가)와 상의하였다.
그러나 왕가는 식부궁의 주장을 사실무근의 浪說(낭설)이라고 一蹴(일축)하면서,‘폐하께서는 百里奚(백리해)의 주장을 무시하였다가 낭패를 경험한 秦穆公(진목공)의 교훈을 통찰해,먼저 들으신 말을 마음에 담아 이것만이 절대 옳다고 여기지 않도록 하십시오.’라고 진언한다.
처음에는 왕가의 忠告(충고)를 무시하였으나 식부궁의 말이 거짓임이 判明(판명)되면서 그를 除去(제거)하는 것으로 매듭지었다.
선입주(先入主), 선입지어(先入之語), 선입관(先入觀)이라고 쓴다.
고려시대의 문인 李奎報의 蝨犬說(이 슬,개 견,말씀 설)은 선입견 내지 偏見(치우칠 편,볼 견)에서 벗어나야 본질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의 글로 유명하다.
처참하게 개를 慘殺(처참할 참,죽일 살)하는 광경을 보고 개고기를 먹지 않겠다고 公言(공언)하는 객에 대해,자신은 화롯불에 타죽는 이가 너무 불쌍하여 이를 잡지 않겠다고 和答(화답)한다.
객은 다시 개는 큰 짐승이고 이는 하찮은 미물이기 때문에 둘을 견주는 것은 옳지 않다고 抗辯(항변)한다.
이에 대하여 이규보는 살고 싶어하고 죽기 싫어하는 것은 모든 생명체의 속성이라며,자신의 주장이 의심스럽거든 열 손가락을 깨물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김석제 반월정보산업고 교사(철학박사)
내용출처:서울신문.儒林 속 한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