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화양비(救火揚沸)
불에 타고 있는 자를 구하려고 끓는 물을 퍼 올린다는 뜻으로, 방법이 잘못되어 괴로운 자를 더욱 괴롭힘 또는 관(官)의 다스림이 과격하고 어수선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救 : 건질 구(攵/7)
火 : 불 화(火/0)
揚 : 오를 양(扌/9)
沸 : 끓을 비(氵/5)
출전 : 사기(史記) 혹리전(酷吏傳)
이 성어는 사기(史記) 권122 혹리열전(酷吏列傳)에서 태사공(사마천)이 한 말에서 유래한다. 혹리열전의 서두는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법령으로 인도하고 형벌로 바로잡으면 백성은 형벌을 피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덕으로 이끌고 예로 바로잡으면 부끄러움을 알고 바르게 살아간다.”
孔子曰 : 導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導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노씨(老氏; 노자)가 또 이렇게 말했다. “상덕(上德)은 덕을 의식하지 않으므로 덕을 지니게 되고, 하덕(下德)은 덕을 잃지 않으려 하므로 덕을 지니지 못한다. 법령이 늘수록 도둑은 많아진다.”
老氏稱 :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法令滋章, 盜賊多有。
태사공은 말한다. “진실로 옳구나! 법령이란 다스림의 도구일 뿐(백성의) 맑고 탁함을 다스리는 근원은 아니다. 옛날 진(秦)나라에는 천하의 법망(法網)이 치밀했으나, 간사함과 거짓은 싹이 움트듯 일어나 극도에 이르러 법에 저촉시키려는 관리와 법망을 빠져나가려는 백성의 혼란이 구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당시 관리들은 불을 그대로 둔 채 끓는 물만 식히려는 것처럼 정치를 조급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하고 준엄하며 혹독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그 임무를 기쁘게 감당할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도덕(道德)을 말하는 사람도 자기가 맡은 일을 감당하지 못했던 것이다. 공자는 ‘송사를 처리하는 일은 나도 남과 다를 것이 없지만, 나는 송사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라고 했고, 노자도 ‘하찮은 인간은 도를 듣고 크게 웃기만 할 뿐이다.’라고 했는데 이는 허튼 소리가 아니다.”
太史公曰 : 信哉是言也。法令者治之具, 而非制治清濁之源也。昔天下之網嘗密矣, 然奸偽萌起, 其極也, 上下相遁, 至於不振。當是之時, 吏治若救火揚沸, 非武健嚴酷, 惡能勝其任而愉快乎。言道德者, 溺其職矣。故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下士聞道大笑之。非虛言也。
(史記/卷122 酷吏列傳)
■ 구화양비(救火揚沸)
불로 불을 끄고 끓는 물로 뜨거운 물을 식히다, 방법이 잘못돼 어리석은 일
불을 끄는 消火(소화)와 같은 말이 救火(구화)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성어가 救火投薪(구화투신)이다. 불을 끄는데 물이 필요하지 섶을 던져 넣는다면 더 활활 타게 키울 뿐이다. 섶은 長斫(장작)이나 마른 나무를 통틀어 부르는 말인데 이처럼 분별없는 짓을 ‘섶을 지고 불로 들어가려 한다’는 속담으로 꼬집었다.
섶 위에서 자고 곰쓸개를 씹으며 복수를 다짐하는 臥薪嘗膽(와신상담) 등 사자성어가 다수 사용되고 있어도 섶은 땔감으로 쓰지 않아 구경하기 힘들다. 어리석은 행동을 말하는 말이 더 있다. 펄펄 끓는 물을 식히려고 그 위에 끓는 물을 붓는 揚湯止沸(양탕지비)다.
이 두 말을 각각 줄여 불로 불을 끄고(救火) 물로 물을 식히려 한다(揚沸)고 한 성어는 司馬遷(사마천)이 ‘史記(사기)’ 열전에서 처음 사용했다. 방법이 잘못되어 급한 일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어리석음의 결정판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官(관)이 법만을 앞세워 도로 괴롭히는 酷吏(혹리)를 지칭했다.
덕치를 추구했던 循吏(순리)에 비해 정리에 좌우되지 않고 혹독하게 법을 이행한 혹리는 그러나 적을 만들고 부패에 연루돼 끝이 좋지 못했다. 열전의 서두에 孔子(공자)와 老子(노자)의 말을 인용한다. ‘정치로 인도하고 형벌로 다스리면 그것을 피할 뿐 부끄러움이 없게 된다(導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법령이 정비되면 될수록 도둑이 많아진다(法令滋章 盜賊多有/ 법령자장 도적다유)‘.
법령이 정치의 도구이긴 하나 청탁을 다스리는 도구는 아니라면서 이야기를 이어간다. 옛날 秦(진)나라 때 천하의 법망은 치밀했지만 올바르지 못하고 거짓된 일이 끊임없이 생겼다. 위아래 가릴 것 없이 법령을 교묘히 피해(上下相遁/ 상하상둔) 나라가 휘청거렸다.
이렇게 되자 ‘관리들의 다스림은 마치 불로 불을 끄려 하고 물로 끓는 물을 식히려 하는 것과 같았다(吏治若救火揚沸/ 이치약구화양비)’고 표현했다. 중국을 처음 통일했던 진나라가 가혹한 법 집행으로 질서는 일사불란했더라도 백성들의 마음은 얻지 못해 단명으로 끝난 원인으로 봤다.
법만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겉으로 승복할 뿐 백성들은 형벌에 대한 두려움이 앞서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고만 하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법이 없었을 때는 양심적으로 가책되던 일도 세세하게 제정된 후엔 범법자가 된다. 살짝 피하기만 하면 오히려 떳떳하다.
많은 사람의 편익을 위해 소수의 권리를 규제하는 것은 모두 수긍한다. 그러나 오늘날 민주화가 된 이후에도 소소한 규제는 갈수록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법을 제정하는 민의의 전당에서도 숫자만 믿고 지지자만 의식한 법령을 제정하는 일이 잦다. 옛날 혹리와 같이 불을 끄지 않고 키우는 짓이다.
▶️ 救(구원할 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등글월문(攵=攴; 일을 하다, 회초리로 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求(구; 정리하다, 모으는 일)로 이루어졌다. '손으로 말리다', '구원하다'는 뜻이 있다. 나쁜 길로 빠지려는 사람은 때려서라도 구해 주어야 한다는 뜻도 있다. ❷회의문자로 救자는 '건지다'나 '구원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救자는 求(구할 구)자와 攵(칠 복)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求자는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그린 것으로 '구하다'나 '탐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救자는 이렇게 '구하다'라는 뜻을 가진 求자에 攵자를 결합한 것으로 누군가를 구한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니까 救자에 쓰인 攵자는 위기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 나뭇가지를 내민다는 뜻으로 응용된 것이다. 그래서 救(구원할 구)는 ①구원하다, 건지다, 돕다 ②고치다, 치료하다 ③막다, 못 하게 하다, 금지하다 ④도움, 구원(救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건널 제(濟)이다. 용례로는 어려운 지경에 빠진 사람을 구하여 냄을 구제(救濟), 위험한 상태에서 구하여 냄을 구출(救出), 빈민이나 이재민 등에게 금품을 주어 구조함을 구휼(救恤), 구원하고 도와 줌을 구조(救助), 도와서 보호함이나 부상자나 병자를 간호함을 구호(救護), 사람의 목숨을 구함을 구명(救命), 위급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을 구하는 일을 구급(救急), 어려움에 처하여 있는 사람을 도와서 건져줌을 구원(救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함을 구국(救國), 어려운 고비를 도와주는 사람을 구인(救人), 어려움을 도와 구해 줌을 구난(救難), 병을 고치는 약을 구약(救藥), 사람들의 괴로움을 구해 줌을 구고(救苦), 극히 가난한 사람을 구제함을 구빈(救貧), 세상 사람을 죄악으로 부터 구원함을 구세(救世), 호응하여 구원함을 구응(救應), 위태롭거나 곤란한 지경에 처한 사람을 구원하여 살려 줌을 구활(救活), 스스로를 구함을 자구(自救), 도와 구해줌을 원구(援救), 서로 구해줌을 상구(相救), 힘써서 구원함을 역구(力救), 완전히 구제함을 완구(完救), 중생을 불쌍히 여겨 구제함을 자구(慈救), 구원하러 감을 부구(赴救), 잘못된 풍습이나 폐단을 바로잡아 구제함을 교구(矯救), 나라를 구하는 방패와 성이란 뜻으로 나라를 구하여 지키는 믿음직한 군인이나 인물을 의미하는 말을 구국간성(救國干城), 불을 끈답시고 땔나무를 던진다는 뜻으로 폐해를 없애려고 한 행위가 폐해를 조장하게 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구화투신(救火投薪), 곤란이 몹시 심하여 다른 일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구사불첨(救死不瞻), 세상을 구하고 민생을 구제함을 일컫는 말을 구세제민(救世濟民), 같은 배에 탄 사람이 배가 전복될 때 서로 힘을 모아 구조한다는 뜻으로 이해 관계가 같은 사람은 알거나 모르거나 간에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을 동주상구(同舟相救), 옹기를 깨뜨려서 친구를 구한다는 말을 파옹구우(破甕救友),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을 배수구거(杯水救車), 땔나무를 지고 불을 끈다는 뜻으로 재해를 방지하려다가 자기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을 부신구화(負薪救火), 땔나무를 안고 불을 끄러 간다는 뜻으로 재해를 방지하려다가 자기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을 포신구화(抱薪救火), 치료약을 구할 수 없다는 뜻으로 일이 만회할 수 없을 처지에 이른 것을 이르는 말을 불가구약(不可救藥), 급히 서둘러 구한다는 말로 포복은 손과 발이 함께 간다는 뜻으로 남의 상사에 힘을 다하여 도움을 이르는 말을 포복구지(匍匐救之), 병이 나면 돕고 죽으면 장례를 치러 줌을 일컫는 말을 병구사장(病救死葬), 먼저 폐단을 말하고 그 폐단을 바로잡음을 일컫는 말을 설폐구폐(說弊救弊), 물로써 물을 구한다는 뜻으로 잘못을 바르게 하려다가 그것을 더 번지게 만드는 일을 일컫는 말을 이수구수(以水救水), 우물에 들어가 남을 구한다는 뜻으로 해 놓은 일에 아무런 이득이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종정구인(從井救人), 불로써 불을 구한다는 뜻으로 폐해를 구해 준다는 것이 도리어 폐해를 조장함을 이르는 말을 이화구화(以火救火) 등에 쓰인다.
▶️ 火(불 화)는 ❶상형문자로 灬(화)는 동자(同字)이다. 불이 타고 있는 모양을 본떠 화산이 불을 뿜는 모양이라고도 일컬어진다. 나중에는 火(화)가 化(화)와 같은 음(音)이므로 물건의 모양을 변경시키거나 없애는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아주 옛날엔 毁(훼; 태워서 없애 버리다)와 음(音)이 비슷하였다. ❷상형문자로 火자는 ‘불’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火자는 불길이 솟아오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열’이나 ‘불의 성질’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火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집니다. 만약 한자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다면 이때는 네 개의 점(灬)으로 표현됩니다. 그러나 灬자가 쓰였다고 할지라도 반드시 ‘불’과 관련된 뜻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爲(할 위)자와 烏(까마귀 오)자처럼 일부 한자에서는 ‘불’과는 관계없이 같이 단순히 사물 일부를 灬자로 표현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火(화)는 (1)화기(火氣) (2)오행(五行)의 하나. 제2의 위치하며 방위로는 남쪽, 시절로는 여름, 색(色)으로는 적(赤)이 됨 (3)화요일(火曜日) (4)몹시 노염을 타거나 못마땅해서 또는 뜻대로 되지 않거나 언짢아서 나는 성 등의 뜻으로 ①불, 열과 빛 ②타는 불 ③화재(火災) ④화, 한의학 용어 ⑤양, 태양(太陽) ⑥화성(火星), 별의 이름 ⑦긴급함의 비유 ⑧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한패 동행자, 동반자 ⑩급하다 ⑪불사르다, 불에 태워 없애다, 태우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물 수(水)이다. 용례로는 불이 나는 재앙 또는 불로 인한 재난을 화재(火災), 땅속에 있는 가스체나 바윗물이 땅껍질의 터진 틈을 통하여 땅거죽으로 나와 쌓여서 이루어진 산을 화산(火山), 불꽃으로 타는 불에서 일어나는 붉은빛의 기운을 화염(火焰), 불의 힘을 화력(火力), 걷잡을 수 없이 타는 불과 같이 썩 급함을 화급(火急), 불을 때는 아궁이의 아가리를 화구(火口), 열을 이용하기 위하여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을 화로(火爐), 화재의 원인을 화인(火因), 죽은 사람을 불에 살라 장사 지냄을 화장(火葬), 불이나 뜨거운 열 따위에 데어서 상함 또는 그 상처를 화상(火傷), 불에 익혀 만든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음식을 화식(火食), 주로 산간 지대에서 풀과 나무를 불질러 버리고 파 일구어 농사를 짓는 밭을 화전(火田), 불을 내뿜음을 분화(噴火), 화재가 꺼짐을 진화(鎭火), 번쩍이는 불을 섬화(閃火), 사람이 일부러 불을 지르는 것을 방화(放火), 불을 켬을 점화(點火), 불이 나는 것을 미리 막음을 방화(防火), 불이 일어나거나 타기 시작함을 발화(發火), 건물이나 물건 등에 붙은 불을 끔을 소화(消火), 불빛이 하늘이라도 찌를 듯이 그 형세가 맹렬함을 이르는 말을 화광충천(火光衝天), 바람 앞의 등불이란 뜻으로 사물이 오래 견디지 못하고 매우 위급한 자리에 놓여 있음을 가리키는 말을 풍전등화(風前燈火), 등불을 가까이 할 수 있다는 뜻으로 가을 밤은 시원하고 상쾌하므로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이르는 말을 등화가친(燈火可親),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함을 일컫는 말을 명약관화(明若觀火),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데의 불을 끄는 데는 쓸모가 없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멀리 있는 것은 급할 때에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원수근화(遠水近火), 무서운 기세로 타오르는 벌판의 불길이라는 뜻으로 미처 막을 사이 없이 퍼지는 세력을 이르는 말을 요원지화(爎原之火), 땔나무를 지고 불을 끈다는 뜻으로 재해를 방지하려다가 자기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을 부신구화(負薪救火),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이는 것처럼 극히 짧은 시간이나 아주 신속한 동작 또는 일이 매우 빠른 것을 가리키는 말을 전광석화(電光石火) 등에 쓰인다.
▶️ 揚(날릴 양)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 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昜(양; 오름, 위)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손으로 위로 올리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揚자는 ‘오르다’나 ‘칭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揚자는 手(손 수)자와 昜(볕 양)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昜자는 햇볕이 제단을 비추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볕’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그런데 금문에서는 태양이 제단을 비추는 곳에 두 손을 높이 들고 있는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제단은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곳이다. 그러니 금문에 그려진 것은 신을 찬양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揚자는 ‘(손을)쳐들다’나 ‘칭송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었지만, 후에 ‘오르다’나 ‘올리다’라는 뜻이 확대되었다. 두 손을 들고 신을 찬양하던 모습은 후에 昜자가 모습을 대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揚(양)은 (1)화살이 과녁의 위를 맞힌 것을 이르던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날리다 ②하늘을 날다 ③바람에 흩날리다 ④오르다, 올리다 ⑤쳐들다 ⑥나타나다, 드러나다 ⑦들날리다, 알려지다 ⑧말하다, 칭찬하다 ⑨누그러지다, 고르게 되다 ⑩밝히다, 명백하게 하다 ⑪불이 세차게 타오르다 ⑫슬퍼하다, 애도하다 ⑬도끼, 부월(斧鉞) ⑭고대(古代)의 구주(九州)의 하나 ⑮눈두덩 ⑯흉배(胸背: 학이나 범을 수놓아 붙이던 사각형의 표장表章) ⑰이마(앞머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높이 들 게(揭),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누를 억(抑)이다. 용례로는 이름을 드날림을 양명(揚名), 닻을 감아 올림을 양묘(揚錨), 방울을 울림을 양령(揚鈴), 미천한 사람을 벼슬자리에 올려 씀을 양루(揚陋), 의기가 솟음을 양기(揚氣), 뜨게 하거나 뜨는 힘을 양력(揚力), 물 속에 잠겨 있는 물건을 뭍으로 건져 올림을 양륙(揚陸), 물을 끌어 올림을 양수(揚水), 득의한 마음이 얼굴에 나타나는 모양을 양양(揚揚), 뱃심 좋게 하는 말을 언양(揚言), 들어서 빛냄을 양휘(揚輝), 접본을 옮겨 심은 후에 접목하는 일을 양접(揚椄), 치거나 던진 그물을 끌어 올림을 양망(揚網), 소매를 올림 또는 춤추는 모양을 양몌(揚袂), 돛을 올림을 양범(揚帆), 먼지를 일으킴을 양진(揚塵), 어떤 물건을 들어 던짐을 양척(揚擲), 아름다움을 기리고 착함을 표창함을 찬양(讚揚), 가라앉은 것이 떠오르거나 떠오르게 함을 부양(浮揚),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을 지양(止揚), 높이 거는 일을 게양(揭揚), 권위나 명성 등을 드러내어서 널리 떨치게 함을 선양(宣揚), 북돋우어 드높이는 것을 고양(高揚), 기운이나 감정이 몹시 움직이어 일정하지 않은 상태를 격양(激揚), 혹은 억누르고 혹은 찬양함을 억양(抑揚), 드러내어 찬양함을 표양(表揚), 생각이나 주장을 드러내어 밝혀서 널리 퍼뜨림을 천양(闡揚), 높이 받들어 올림을 거양(擧揚), 대등함이나 필적함을 대양(對揚), 바다에 있는 것을 뭍으로 올림을 육양(陸揚), 세력이나 지위가 높아서 드날림을 등양(騰揚), 이름이나 지위를 세상에 높이 드러냄을 현양(顯揚), 속된 욕망을 한 몸에 다 모으려는 짓의 비유를 양주지학(揚州之鶴), 뜻과 같이 되어서 몹시 뽐내며 끄덕거림을 양양자득(揚揚自得), 활과 화살을 높이 든다는 뜻으로 승리를 비유하는 말을 양궁거시(揚弓擧矢),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를 만큼 바람이 세차게 붊을 형용하는 말을 양사주석(揚沙走石) 등에 쓰인다.
▶️ 沸(끓을 비, 용솟음칠 불, 어지럽게 날 배)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弗(불)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沸(비, 불, 배)는 ①끓다 ②끓이다 ③들끓다 ④분분히 일어나다 ⑤샘솟다 ⑥(물이)솟아오르다 ⑦끓는 물, 그리고 ⓐ용솟음치다(물 따위가 매우 세찬 기세로 위로 나오다)(불) ⓑ(물을)끼얹다(불) ⓒ뿌리다(불) ⓓ거세게 이는 물결 소리(불) ⓔ샘솟는 모양(불) 그리고 ㉠어지럽게 날다(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용솟음칠 흉(洶), 물 솟을 용(湧), 끓일 탕(湯)이다. 용례로는 액체가 끓어 오름 또는 물 끓듯 떠들썩 하여짐을 비등(沸騰), 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끓기 시작하는 온도를 비점(沸點), 분기가 치받쳐서 속이 답답함을 비울(沸鬱), 끊는 물을 비탕(沸湯), 물 따위가 펄펄 끓음 또는 펄펄 끓임을 자비(煮沸), 매우 놀라서 어찌할 줄을 모름을 진비(震沸), 액체가 폭발하듯이 갑자기 끓어 오름을 돌비(突沸), 솥 안의 탕이 끓는 것처럼 요란하고 혼잡함을 이르는 말을 정비(鼎沸), 고체를 용융할 때에 고체 자신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포비(泡沸), 불에 타고 있는 자를 구하려고 끓는 물을 퍼 올린다는 뜻으로 방법이 잘못되어 괴로운 자를 더욱 괴롭힘 또는 관의 다스림이 과격하고 어수선함을 비유하는 말을 구화양비(救火揚沸)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