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은퇴자의 5대 리스크 : 은퇴창업, 금융사기, 중대 질병, 성인자녀, 황혼이혼
ㅇ 은퇴자의 가구당 평균수입 추이 : 50대 441만원 → 60대 282만원 → 70대 이상 154만원.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하면 50대 384만원 → 60대 215만원 → 70대 이상 95만원
ㅇ 은퇴 후 가용시간(60세 은퇴 85세 사망기준) : 총 22만 시간 중 가용 시간은 11만 시간으로 근로자의 50년 간 일하는 시간에 해당
ㅇ 은퇴 전후 5년이 골든타임
ㅇ 자산개념 노후 설계의 리스크 : 수명 리스크, 금리하락 리스크, 자산 가격하락 리스크, 이벤트 리스크
ㅇ 생애 설계 : 일의 비중을 높여라. 금융자산과 인적 자본의 비중을 조절하라
ㅇ 1인 1기 실천 전략 : 퇴직 후 치킨집이 아닌 학교로 가라. 혼자 배우지 말고 코칭을 받아라. 모바일 활용법을 배워라. 사업 마인드를 가져라. 장인정신을 가져라. 핵심에 집중하라. 작은 것을 차별화하라. 점-선-면 전략으로 네트워크에 투자하라. 나만의 브랜드를 쌓아라. - 정체성과 표현 방법을 생각하자. 고유한 마크나 표시를 가져보자. 일관성과 지속성을 갖자. 고객을 쫓지 말고 자신의 핵심역량에 집중하자. 장기적 고객관계를 위해 정서적 연계가 필요하다. 작은 일에 최선을 다하자. 나의 브랜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파악하자.
<어디서 배울 수 있을까?>
고용노동부 HRD-Net : '정부지원 훈련‘ 안내에 들어가면 고용노동부가 하는 훈련과 타 정부기관에서 시행하는 훈련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한국폴리텍대학의 기능교육과 직업훈련
서울시의 취업훈련센터
<창업을 하려면 어디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K-스타트업의 시니어 기술창업스쿨 -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창조경제타운과 창조경제혁신센터 - 미래창조과학부
어르신 창업, 고령자친화기업 - 복지부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서울시 창업스쿨
소상공인 특화지원센터 - 소상공인진흥시장공단에서 운영
<재취업을 하려면 도움 기관>
고용노동부 워크넷
노사발전재단 장년 일자리 희망넷
보건복지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일자리 사업
서울시 50+캠퍼스, 50+센터, 고령자취업알선센터
경기도 노인일자리 지원센터
전경련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양천도서관 소장도서. 유익하게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