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턴가 ‘실버타운’은 슬그머니 사라지고 ‘시니어타운’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했다. 최근 퇴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주거 강의 중에 실버타운과 시니어타운의 차이를 질문했던 적이 있다. 대부분의 수강생들은 그 차이를 모르겠다고 했고 일부는 실버타운은 문제 있는 시설이고 시니어타운은 믿을 만한 시설이라고 알고 있다고 했다.
여기서 정답은 똑같은 시설을 지칭하는 용어라는 것이다. 그동안 ‘실버타운’이 여러 가지 부정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니까 개발업자들이 새로 만들어 낸 용어가 ‘시니어타운’이다. 호박에다가 줄을 그어 수박과 헷갈리게 만든 꼴이랄까.
우리나라에는 1990년대 초반에 소위 실버타운이 수입되었다. 그 당시 필자가 운영하던 건축설계사무소에는 실버타운 사업을 하겠다는 사람들의 출입이 많았다. 그들은 하나같이 경치 좋고 공기 좋은 산 속에 거창한 실버타운을 개발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만 해도 실버타운에 관한 서적도 없었고 자문을 받을 전문가도 국내에 거의 없었다. 필자는 일본 서적을 번역해서 모 대학원에서 사용하던 교재를 어렵게 구해서 연구했다.
1980년 대 후반부터 시작된 신도시 건설이 불러온 건설 붐은 1900년 대 중반까지 온 나라를 공사판으로 만들었다. 그에 편승해서 실버타운 바람도 불었다.
충남 예산에 실버타운을 기획하고 있던 의사를 따라 조찬포럼에 간 적이 있다.
그 곳에 모인 의사들은 머잖아 인간수명 150세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는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평균수명이 75세 정도였던 그 당시로선 좀 허황된 이야기를 하는 자리라고 느꼈다. 그러나 그 자리에 참석한 실버타운 기획자들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노인 천국이 될 것이므로 대규모 실버타운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을 쏟아냈다.
미래 장수사회의 주거대안으로 떠오르던 실버타운은 그러나 정착되기도 전에 IMF와 함께 몰락했다. 개발되었거나 진행되던 여러 곳이 IMF로 부도가 났다. 그 당시 부도가 난 서울 근교 실버타운을 방문한 적이 있다. 근처에 골프장과 스키장이 있는 리조트 인근 산속에 덩그러니 서 있는 시설이었다. 겨울에 난방도 안 되는 시설에서 노인 몇 분이 식당에 모여서 직접 밥을 해 드시고 계셨다. 개발업자가 부도를 내고 도망가서 입주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어르신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계셨다.
2000년 대 들어 고급 실버타운 붐이 일었다.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도심 내에 프리미엄 시설로 개발되었다. 명칭도 시니어타운으로 바꿔 불렀다.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이런 시설들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는 듯했다. 그러나 최근 뉴스를 보면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 입주율이 저조해서 운영에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어떤 곳은 운영회사가 관리비를 유용해서 단전 단수를 겪기도 하고 퇴소하려고해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서 그냥 그곳에 살 수 밖에 없다고 하니 답답한 노릇이다.
실버타운, 시니어타운은 노인복지주택의 별칭이다. 건축법에서 공동주택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허가를 받을 수 있고 공동주택에서 규정하고 있는 부대시설 조건들도 완화된다. 외관과 내부는 공동주택과 다를 바 없다. 결국 이러한 법의 허점을 이용해서 쉽게 허가받고 나서 운영을 재대로 안하니 피해는 입주자에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필자는 우리나라 실버타운의 태동기부터 지금까지의 생생한 현장을 함께했다. 가장 안타까운 것은 앞으로 상당기간 우리나라에서 실버타운이 정착하기 힘들 것이라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만들어 놓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신뢰로 되돌리지 못한다면 실버타운은 영원히 외면 받을 것이다.
실버타운은 배려[配慮]의 시설이다. 땅값과 공사비를 계산하고 분양가를 계산해서 산술적 차익을 남기는 개발 프로젝트가 아니다. 돌이켜 생각해 보니 90년 대 중반에 실버타운 바람이 불 때 필자도 개발 업자의 요청으로 전국을 돌면서 현장답사를 했었다. 그러나 설계검토만 수십 건 했을 뿐 실제 실버타운개발로 이어진 프로젝트가 없다. 그 때는 개발 업자들에게 이용만 당했다고 억울해 했지만 지금은 가슴을 쓸어내린다. 그 때 필자가 실버타운을 설계했더라면 아마 지금 건축 인생에 있어 가장 부끄러운 프로젝트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많다. 그 당시 개발업자들도 그러했지만 필자도 ‘배려’가 무엇인지 그 개념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