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한글 모음의 짜임 규칙 훈민정음해례본에 나오는 모음은 단독으로 나오는 기본모음 11종, 두 개이상의 모음이 합하여 이루어진
중모음 20종 등 모두 31종이 된다. 기본이 되는 · ㅡ ㅣ 기본자를 1, 2 차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모음을 ·를 중심점 위치에
놓아 (도4)와 같이 구성하면 모음의 구조적 형성원리가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모음 · 를 기본으로 ㅡ 를 상하, ㅣ를 좌우로
배치하고 다시 상하로 ㅗ ㅜ, 좌우로 ㅓ ㅏ를 배치한 후 마지막으로 상하좌우에 ㅛ ㅠ ㅕ ㅑ를 배치하면 + 자 형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한쪽으로
보아 형성되는 ㅣ ㅏ ㅑ를 좌우 상하로 돌려서 배치한 회전성의 모음 획형이 이루어지는 + 형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 자형으로 놓아진
단모음 사이에 중모음들이 형성되는데 오른쪽 위 부분에 ㅐ,ㅒ, , ㆇ,ㆈ, 오른쪽 아래 부분에 ㅓ,ㅢ, , , ㆋ, 왼쪽
아래 부분에 ᆝ,ᆜ,ㅟ,ㅝ,ㅞ 왼쪽 위 부분에 ㅔ, ㅖ, ㅚ, ㅘ, ㅙ가 형성되는 구조적 규칙이 이루어진다. (도5 참조) ㅁ 는 예리한
각형으로 가장자리 모서리가 이루어졌으며, 가로나 세로 중심선에 기준하여 완전한 대칭형을 이룬다. |
단모음 * 점 모양으로 된 · 은 원형으로, ㅡ ㅣ는 같은 굵기의 직선으로 처음과
끝 부분이 둥근모양으로 생겼다. * 2개 이상의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ㅗ ㅛ ㅜ ㅠ ㅏ ㅑ ㅓ ㅕ 의 점은 둥근 원형으로선과 사이를
띄웠고, 원형과 직선획의 배치위치는 한 개인 경우는 중간부분, 두 개인 경우는 3/1, 3/2정도 부분에 위치하되 ㅗ ㅛ ㅜ ㅠ 는 점을 가로선
위와 아래에 위치하도록 했고, ㅏ ㅑ ㅓ ㅕ 는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나타냈다.
중모음 * ㅢ ㅚ 같은 중모음은 서선이 수평과 수직으로 놓이되 서선 굵기 정도로
띄어서 나타냈다. * ㅐ ㅔ 같은 중모음은 긴서선은 평행으로, 서선 굵기와 크기는 서로 같게 하여 획 사이를 닿지 않게 나타냈다. *
ㆋ ㆈ 같은 점획수가 많은 중모음은 가로폭을 크게 나타내되 획 사이를 붙지 않게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