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운현궁 사람들, 이 얼마 만인가 ‘흥선대원군과 운현궁 사람들’전
★...맨 왼쪽부터 금관조복을 입은 흥선대원군(1820~1898)의 50세 초상과 그의 장남인 흥친왕 이재면(1845~1912)의 초상, 차남인 고종(재위 1864~ 1907)의 어진.
동서고금 역사에서 몰락한 왕실의 마지막은 어김없이 비극으로 끝난다.
한일병합으로 500년 왕조사를 접어야 했던 고종과 순종, 그들의 형제들, 후견인 흥선대원군 또한 운현궁을 주무대로 비극을 연출했다. 19세기 중엽 쇄국과 개혁을 병행했던 대원군은 임오군란 뒤 중국에 끌려갔다가 귀국 뒤 다시 일본의 꼭둑각시 정객이 되는 수난을 겪었다. 고종은 퇴위당하고, 순종이 즉위한지 3년만에 나라는 망했다. 고종의 큰 형 이재면은 부친 대원군과 고종의 권력 다툼 사이에서 바람잘날 없이 살았다. 그의 아들 이준용도 구한말 동학농민군과 내통한 대원군이 반일 쿠데타를 꾀할 때 군왕 후보로 옹립됐다가 역적으로 몰려 10년 이상 일본을 떠돌았다. 요즘 인터넷에서 생전 모습이 인기를 끈 이준용의 아들 이우는 일본 육사를 나와 중일전쟁 때 일본군 장교로 싸웠다. 광복을 일주일 앞둔 1945년 8월6일 히로시마 원폭투하 현장에서 부상을 입고 숨졌다. 장례는 8월15일 일왕의 항복방송 직후 치러졌다.
서울역사박물관의 특별전 ‘흥선대원군과 운현궁 사람들’(4월15일까지)은 이 처연한 역사를 숨겨놓은 이들 왕족 5명의 갖가지 초상화를 처음 모았다. 그들이 마음의 고향으로 삼았던 운현궁 기와담과 전통문을 재현한 전시장에 대원군의 초상영정 6점을 필두로 고종의 초상 어진 3점과 첫 공개된 이재면, 이준용, 이우의 초상들이 잇따라 내걸렸다. 미술사 마당에서 생전 애증이 엇갈렸던 그들이 초상으로 재회한 셈이다
한겨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