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주구검[刻舟求劍]
변화와 흐름을 모르고 보이는 것만 믿어서는 안된다.
어떤 초(楚)나라 사람이 조그만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가게 되었다. 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중에 무심코 몸을 돌리려는 순간 그만 몸에 지녔던 칼 한 자루를 물에 빠뜨렸다.
깜짝 놀란 그 사람은 빠뜨린 칼을 건지려고 하였으나 목적지에 다다르는 일이 바빠 미쳐 물속에 빠뜨린 칼을 건져내지 못하고 그저 주머니에서 작은 칼을 꺼내 칼이 떨어진 뱃전에다 표를 해 놓기만 하였다.
그리고 혼잣말로 중얼거렸다. “이렇게 표시를 해 두었으니 우선 목적지에 도착하여 일을 본 다음 다시 돌아와 빠뜨린 칼을 건지면 되겠지...”
그리고는 아무 걱정 없다는 듯이 강을 건넜다. 제 딴에는 뱃전에 한 표시를 따라 물에 들어가면 잃은 칼을 찾을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 여겼겠지만 결과는 당연히 찾을 길이 없는 것이다.
강을 건너는 배는 계속 이동을 하고 있으니, 설사 칼이 물밑으로 떨어져 한 곳에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어찌 뱃전의 표시로 칼을 찾을 수 있겠는가. 어리석기 짝이 없는 일이다.
각주구검(刻舟求劍)이란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다, 객관성이 없어 외곬으로 나간다, 임기웅변을 모르는 고집불통이다, 시세의 추이도 모르고 눈앞에 보이는 것만을 고집한다」등의 뜻으로 쓰인다.
이따금 연목구어(緣木求魚)와 각주구검을 같은 뜻으로 쓰는 사람들이 있는데 연목구어는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이니, 뻔히 얻을 수가 없는 데 헛된 애만 쓴다는 말이다.
연목구어(緣木求魚)는 머리가 단순한 사람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헛되이 애쓰며 무익한 일을 굳이 하려고 한다는 뜻으로
수중로월(水中撈月 : 물 속에서 달을 찾다), 해저로침(海底撈針 : 바다 밑에서 바늘을 건진다)라는 말과 같이 쓰인다.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고사이다.
첫댓글
아멘
융통성 없는사람
변화와 흐름을 모르고
어리석긴^^^
미련하고 고집불통
각주구검이 그런뜻이 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