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오행(五行)표
출처 : 중국 고의서 황제내경 素問
오행 구분 | 목 | 화 | 토 | 금 | 수 |
군화 | 상화 |
육장 | 肝 | 心 | 心包 | 脾 | 肺 | 腎 |
육부 | 膽 | 小腸 | 三焦 | 胃 | 大腸 | 膀胱 |
음양 | 음 중의 양 | 양 중의 양 | 음 중의 지음 | 양 중의 음 | 음 중의 음 |
상생 | 심장을 돕는다. | 비장을 돕는다. | 폐장을 돕는다. | 신장을 돕는다. | 간장을 돕는다 |
정기 | 혼(魂) | 신(神) | 의(意) | 백(魄) | 지(志) |
자연 | 나무(목) | 불(화) | 흙(토) | 쇠(금) | 물(수) |
오시 | 春 | 夏 | 長夏 | 秋 | 冬 |
시간 | 새벽 | 아침 | 낮 | 저녁 | 밤 |
방향 | 동 | 남 | 중앙 | 서 | 북 |
오상 | 仁 | 禮 | 信 | 義 | 智 |
오체(勞) | 힘줄(筋) | 피(血) | 살(肉 : 비계) | 기육(피부) | 뼈(骨) |
병증 | 근육(筋) | 五臟 | 舌本 | 肩 | 계(谿) |
혈맥(脈) | 살(肉: 비계) | 피부, 머리카락 | 뼈(骨) |
오관 | 눈 | 혀 | 입 | 코 | 귀 |
오영 | 조(爪) | 색(色) | 순(脣) | 모(毛) | 발(髮) |
오미 | 산(酸) | 고(苦) | 감(甘) | 신(辛) | 함(鹹) |
오색 | 靑 | 赤 | 黃 | 白 | 黑 |
눈의 흰자위가 청색으로 변함 | 혀가 적색으로 변함 | 입술이 황색으로 변함 | 피부전체가 흰 색으로 변함 | 귀가 검은 색으로 변함 |
오음 | 각 | 치 | 궁 | 상 | 우 |
오기 | 바람(風) | 더위(暑) | 습기(濕) | 건조(燥) | 추위(寒) |
오축 | 닭(鷄)(개) | 양(羊) | 소(牛) | 말(馬)(닭) | 돼지(豚) |
오곡 | 보리(麥), 팥 | 기장(黍),수수 | 피(稷), 기장 | 벼(稻) | 콩(豆) |
오과 | 자두 | 살구 | 대추 | 복숭아 | 밤 |
오지 | 분노(怒) | 기쁨(喜) | 생각(思) | 근심(憂) | 공포(恐) |
오성 | 호(呼) | 소(笑) | 가(歌) | 곡(哭) | 신(呻) |
오수 | 3, 8 | 2, 7 | 5, 0 | 4, 9 | 1, 6 |
오취 | 누린내(조) | 탄내(焦) | 향내(香) | 비린내(腥) | 썩은 내(腐) |
오액 | 泣 | 汗 | 연 | 涕 | 唾 |
증상 | 손에 땀이 남(握) | 우울증(憂) | 딸국질(홰) | 기침(咳) | 몸이 떨림(慄) |
천간 | 갑, 을 | 병, 정 | 무, 기 | 경, 신 | 임, 계 |
지지 | 인, 묘 | 사, 오 | 축, 진, 미 | 신, 유 | 자, 임, 해 |
☞ 토용(土用) : 각 계절마다 있는데 입하 전이 봄의 토용, 입추 전이 여름의 토용, 입동 전이 가을의 토용, 입춘 전이 겨울의 토용이다.
그 기간은 각각 18일 간이며, 이 시기에는 비장(脾臟)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여서 오장을 보양한다. 이같이 토용은 1년에 네 번 있는데, 요즈음에는 여름의 토용(長夏)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