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한 <모래톱 이야기>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낙동강 하류의 외떨어진 모래톱 조마이섬을 배경으로 일제 시대부터 1960년대에 이르는 주민들의 삶의 역사를 조명한 이야기이다. 서술자인 ‘나’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이들의 삶의 내력을 보고하는 위치에 서서 소수 유력자와 선량한 다수 민중 사이의 동태를 선명하게 부각시킨 것이 특징이다. 외세의 압제와 제도의 불합리성으로 말미암아 항상 토지를 이용하면서도 한 번도 소유하지는 못했던 민중들의 땅에 대한 사무치는 원한은 핍박하는 자에 대한 갈밭새 영감의 살인 행위를 통해 극대화된다. 비참하게 짓밟히며 살아가는 농민들의 삶을 통하여 부조리한 현실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현실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개관적인 태도로 형상화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작가가 소설속에서 창조해 낸 섬인 조마이섬은 낙동강 하류의 조그만 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마이섬의 소유권 변천 과정을 통해 당시 우리 나라가 처한 부조리한 현실을 압축적으로 보여 주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줄거리
1. 발단 : 글을 쓰게 된 동기와 가정방문
나는 20년 전 교원 노릇을 하게 되면서 알게 된 소년과 낙동강 하류의 외진 모래톱(조마이섬)에 얽힌 기막힌 사연을 묻어 둘 수 없어 붓을 든다. K학교 교사인 나는 나룻배 통학생인 까닭에 지각을 하는 건우에게 관심을 갖게 된고, 가정 방문을 가게 된다.
2. 전개 : 조마이섬 사람들의 비참한 삶
가정방문을 마친 후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안면이 잇는 윤춘삼 씨와 건우 할아버지인 갈밭새 영감을 만나서 몇 가지 섬 이야기를 듣는다.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땅은 순식간에 유력자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었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저항하는 과정에서 섬 사람들이 줄줄이 경찰에 붙들려 가기고 했다는 것이다. 건우 할아버지 또한 그 때의 상처가 남아 있다고 한다.
3. 위기 : 극심한 장마로 조마이섬이 범람함
그 해 장마가 극심할 때 낙동강이 범람한다는 소식을 듣는다. 나는 조마이섬이 걱정되어 하단 나루께로 간다. 장마의 실상을 엄청나다. 거기서 접낫패들로부터 어제 눈가림으로 해 놓은 둑을 건우 할아버지가 섬 사람들과 달려가서 물길을 본래대로 틔었다는 얘기를 듣는다.
4. 절정 : 갈밭새 영감의 저항
조마이섬이 더욱 궁극함여 구포 다릿목으로 갔으나 윤춘삼 씨를 만나 주막집에서 그간의 사정을 듣는다. 건우 할아버지가 섬 사람들과 둑을 파헤치고 있을 때, 매립을 한 유력자의 앞잡이들이 건우 할아버지의 곡괭이를 강물에 던져 버리자, 화자가 난 건우 할아버지가 그 사람들을 강물에 태질해 살인죄로 끌려갔다는 것이다.
5. 결말 : 장마 뒤의 이야기
폭풍우가 끝난 뒤 건우 할아버지는 감옥살이를 하게 되고, 2학기 되었으나 건우는 학교에 나타나지 않는다. 황폐한 모래톱 조마이섬은 군대가 정지한다는 소문이 들린다.
■핵심정리
주제 : 소외된 사람들의 비극적 삶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저항
서술 시점의 특징
1인칭 관찰자 시점은 현실을 객관적 사실적으로 제시하기에 적절하다. 이 작품에서 서술자인 ‘나’는 현실 고발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갈밭새 영감을 중심으로 한 조마이섬 사람들의 삶과 저항을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이 작품의 주체가 되는 낙동강변의 조마이섬 주민들은 역사 속에서 수난과 고통을 당해 온 소외 지대의 가난한 농민 계층으로, 부조리한 현실의 모순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는 데다 자연적 재앙까지 겹쳐 비참한 생활을 하고 있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은 이러한 생활상을 관찰하여 전달함으로써 감상에 치우치지 않고 사실성을 확보하고 있다.
■「모래톱 이야기의 특징」
1. 농민 문학
▪비뚤어진 시대상에 저항하는 한 농민의 항의의 몸짓을 통해 그늘진 농촌 현실과 생존의 힘겨움을 그려냄
▪농촌의 현실 속에 글쓴이가 직접 파고들어 현실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이를 고발하는 정신이 나타남
2. 행동 문학
▪갈밭새 영감이 유력자의 하수인을 강에 집어 던지고 유력자가 만든 엉터리 둑을 파헤치는 행동을 함
▪갈밭새 영감의 행동을 통해 억울하게 짓밟힌 삶을 되찾으려는, 자기 희생을 통해 자유를 선택하려는 의지가 드러냄
3. 사실주의 문학
▪낙동강 유역 농촌 마을의 곤궁한 삶과 살 터전을 잃은 소외받은 사람들의 사연을 사실적으로 그림
▪현실의 비리와 비도덕적 권력에 대항했던 글쓴이의 체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사실적으로 표현하려 한 ㄴ